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육아
초등학교 3학년 남학생의 정서적 발달을 지원하기 위한 효과적인 상담이나 지원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학생이 상담을 받아야하는 이유가 있는지 필요가 있는지 판단해 주세요 학교에서의 생활 등을 담임교사와 의견을 나눠보시고 학교에서의 위클래스나 상담지원센터, 사설기관의 전문가 등과 상의해 보셨으면 좋겠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24.09.01
0
0
또래에 비해 학습속도가 빠른 아이 어떻게 교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아이가 학습을 좋아하고, 빠르게 습득한다면 그에 맞는 자극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합니다. 아이에게 다양한 학습과 경험이 이루어지도록 도와주세요
육아 /
유아교육
24.08.18
0
0
초등학생들 학원 이렇게 많이 보내는게 맞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초등학교 교사입니다.요즘 학생들 학원을 많이 다니지요 그래서 학교,학원이 아니면 또래들과 얼굴도 보기 힘들 실정입니다. 아이의 성향과 학습 수준에 따라 학원을 다니는것을 고려해 보세요. 학습이 떨어지지 않는다면(정상교육과정이내) 초등학교 고학년부터 학원을 선별적으로 다녀도 좋겠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24.07.04
0
0
학교에서 푸는 문제를 답안지를 보고 풀은 아이 어떻게?
요즘 수학교과서는 답지가 함께 있습니다 답진는 스스로 채점하기 위해 함께 포함된것 입니다. 학교 교과서는 대부분 학교에 두고 다니는 경우가 많습니다. 당분간 불편하더라도 수학익힘책을 집과 학교에 가져다니게 하면 좋겠습니다 익힘책 채점도 부모님께서 확인해주시구요
육아 /
유아교육
24.05.11
0
0
아이에게 ‘안돼, 하지 마’ 등의 언어는 언제 사용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긍정적인 대화와 칭찬은 물론 중요합니다. 하지만 단호히 안돼 하지마 라는 표현도 중요합니다 예를들어 신호등의 빨간신호일때 건너지 말아야 한다는것을 알려줄때, 다른 친구를 때리지 말거나 하는경우지요. 긍정이든 단호한 표현이든 아이가 이해할땐 그때부터 해주어야지요 단, 부정적표현도 상황에 맞게 좀 더 부드럽게 해줄순 있을것입니다. 잘못이 크지 않거나, 좀더 잘했으면 좋을땐 그 표현은 아이입장에서 해줄순 있을것입니다
육아 /
양육·훈육
24.03.31
0
0
아기 편식할때 다들 어떻게 하시나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연령이 어떻게 될지 모르겠으나, 편식의 경향이 약하면 잘먹는 음식을 줄이고 잘안먹는 음식을 맛있게 만들어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아이가 굶을까 걱정해서 좋아하는 음식만 주지 않도록 해야합니다. 펀식이 너무 심해서 좋아하는것만 먹는다면 영양학적으로도 안좋으니, 좋아라는 음식은 소량만 제공하도록 합니다.
육아 /
양육·훈육
24.01.15
0
0
어린이집은 보통 몇살때 보내나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통상 어린이집은 유치원(만6세) 보내기 이전에 학습하는 경향이 있으며 요즘은 아이가 어느정도 명확히 의사표현을 하는정도 24개월정도에 많이들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어린이집도 워낙 다양하여 딱히 연령은 정해져 있지 않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초등학교 학령기전까지 모두 보낼수 있습니다.
육아 /
유아교육
23.12.31
0
0
초음파 모기퇴치기긱 아기방에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모기가 들을 수 있는 초음파는 사람이 들을 수 있는 초음파와 상당한 주파수 차이가 있습니다 아기가 있는방에 놓아도 괜찮을것 같습니다
육아 /
놀이
23.11.06
0
0
위험하게 장난치는 아이 어떻게 교육을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장윤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사회에는 법이 있고, 학교나 공동체 생활에서는 지켜야 알 규칙과 규범 등이 있습니다. 비비탄 총을 가지고 부모님과 함께 안전하게 사용한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아이들끼리나 혼자 놀다가는 안전사고의 위험이 있습니다. 부모님이 사준적도 없는것을 가지고 위험하게 논다면 당연히 빼앗아야 할것 같습니다. 나중에 누군가 다치거나 피해를 받은 후엔 늦습니다.
육아 /
놀이
23.10.23
0
0
아이가 너무 잘 우는데 어떡해야 하죠?
안녕하세요. 장윤성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은 언어적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데 미숙합니다. 그래서 울거나 행동으로 자신의 생각을 나타내기도 하는데요. 울면 그 행동으로 자신이 원하는것을 얻거나 다른사람들이 자신의 편이 되어 주었던 과거 경험으로 울음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들어주지 못하거나 이상한 떼를 쓸때는 울음에 단호히 대처(무관심, 단호한 거절 등)가 필요할 듯 합니다.
육아 /
양육·훈육
23.10.07
0
0
1
2
3
4
5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