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건강관리
학문
웜뱃의 변이 정육면체 모양이 될 수 있는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캥거루목 동물은 풀과 식물을 주로 먹는데, 이러한 식물 섬유는 미생물 발효에 의해 소화되고 분해됩니다. 이 과정에서 생성되는 분비물은 점성이 높고 응집성이 강한 성분을 가집니다. 이러한 성분들이 서로 뭉쳐 정육면체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습니다.또한 캥거루목 동물은 일반적으로 건조한 환경에서 생활합니다. 정육면체 모양의 변은 표면적인 부분이 적어짐으로써 수분이 덜 증발하고 더 오래 보관될 수 있습니다.이러한 변의 형태는 그들이 건조하고 화학적으로 복잡한 소화 과정에 적응하기 위해 진화한 결과 중 하나로 여기집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13
0
0
우리나라에 살았던 공룡 중 가장 개체수가 많은 종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에서 고생대 시대에 살았던 공룡 중 가장 개체수가 많은 종은 아시아티타누스로 알려져 있습니다. 아시아티타누스는 태고의 포즈안사우루스종으로 분류되는 공룡 중 하나로, 약 90년대 후반에 대한민국에서 발견되었습니다. 이 공룡의 화석은 경상북도 울진군 울진읍 인근에서 발견되었으며, 대한민국에서의 공룡 발견으로는 상대적으로 최근의 발견 되었습니다.이 공룡은 약 90백만 년 전인 발견 시기로부터 태고의 동아시아 지역에서 살았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 공룡의 몸집은 크고, 목이 길며, 네 다리가 강력했을 것으로 여겨집니다.공룡 화석은 발견된 지역의 지질 시대를 결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공룡 화석은 이들이 살던 환경, 식물, 동물과의 상호작용, 동식물 교환, 기후 조건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3
0
0
인조 다이아몬드는 천연 다이아몬드에 비해서 강도는 어떻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조 다이아몬드의 강도는 천연 다이아몬드와 매우 유사하며, 실제로 몇몇 인조 다이아몬드는 제조 과정에 따라천연 다이아몬드보다 더 높은 강도를 가질 수 있습니다.
학문 /
기계공학
23.10.13
0
0
달은ㅈ지구에서 점점 멀어지고 있다고 하는데 헤도지구에서부터 멀어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하자면 지구는 태양으로부터 멀어지고 있지 않습니다.지구와 달, 그리고 지구와 태양으로 다른 원리로 돌고 있습니다.달이 지구에서 멀어지는 것은 지구의 달 사이의 중력으로 인한 조력으로 인하여 달이 에너지를 얻어 지구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겁니다.반면, 지구와 태양은 조력과 무관합니다. 지구가 태양을 도는 것은 중력 상호작용이 아니라 자전 속도와 자전을 하는 원의 크기와 관련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3
0
0
이젠우리나라도 지진에 안전지대는아닌거같은데 지진이 왜일어나는지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진의 경우 다양한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지만, 일반적으로 지각선의 변동, 압력이 누적, 미끄러짐, 파열, 지하에서의 충돌 등과 관련이 있습니다.이러한 지각선 변동이나 미끄러짐 등의 현상은 지구 내부의 지각 작용으로 인하여 발생합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3
0
0
마약 백신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는데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인체의 면역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합니다.마약백신의 경우 예방 및 치료를 위하여 사용하는데, 특정 마약을 항원으로 인식시켜 마약을 면역시스템이 무력화 시키게 하는 방법입니다.하지만 현재까지는 사용화단계까지 가지 못하고 아직 개발중인 방법입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13
0
0
태초의 우주를 이해하는 왜 양자역학이 필요한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초기 우주의 경우 매우 높은 에너지와 밀도를 가졌을거라 예상되고 있습니다. 양자역학은 이러한 고에너지 및 높은 밀도 환경에서 적용되는 이론입니다.양자역학은 초기 우주의 매우 미세하고 고에너지 환경을 설명하고 이해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이며, 빅뱅 모델과 초기 우주의 형성 및 진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태초의 우주를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학문이라 할 수 있습니다.
학문 /
지구과학·천문우주
23.10.13
0
0
메뚜기떼는 하루에 몇 km나 이동하나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상황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메뚜기떼는 하루에 약 10~20km 이상을 이동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러나 메뚜기떼가 더 긴 거리를 이동하기도 하며, 심지어 100km 이상을 이동한 예도 있습니다.
학문 /
생물·생명
23.10.13
0
0
서큘레이터의 바람이 나오는 원리는 어떻게 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써큘레이터의 경우 선풍기와 비슷하지만 주로 공기 순환과 온도 조절을 위해 사용됩니다.선풍기에 비하여 바람은 약하지만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바람은 내보내는 출입구가 있어 실내의 공기를 효과적으로 순환시킬 수 있도록 만들어졌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10.13
0
0
건전지는 언제 누구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정준민 과학전문가입니다.원식 형태의 전기의 경우, 약 2500년 전인 고대 그리스에서 발리스톤이라 불리우는 석회석과 구리를 이용하여 만들어 졌습니다. 이는 지금과 달리 기계를 사용하기보다는 실험을 목적으로 사용되었습니다.현대의 우리가 사용하는 건전지는 1800년대에 알레산드로 볼타 발로니에 의하여 "볼타 전지"라고 불리는 초현대 건전지를 발명했습니다.
학문 /
전기·전자
23.10.13
0
0
235
236
237
238
239
240
241
242
24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