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코로나 백신, 맞아도 안전할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이라는게 크게 보면 무조건 맞는 것이 득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사람에 따라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의 위험성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이 사람이 맞으면 안전할 것이고 저 사람이 맞으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을 것 같다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무조건 맞는 것이 좋다라고 또 말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코로나에 걸리는 것보단 백신을 맞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됩니다만 이는 의료진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여 솔직하게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매우 어렵습니다.저는 백신을 맞았습니다만 백신의 부작용에 대해 걱정이 된다면 피하는 것이 맞습니다. 사실 백신에 대한 선택권이 없고 환자를 보기위해서는 백신을 맞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어쩔 수 없이 저는 맞는 것을 선택했지만 주변에는 안맞은 동료들도 많습니다.따라서 질문자님께서도 여러가지 생각해보시고 부작용에 대한 걱정이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믿음보다 크다면 안맞으시는게 맞고 백신을 맞았을 때 질문자님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생기고 이득이 많을 것 같다 생각되시면 맞으시면 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1.05.10
0
0
질병청에서 백신 부작용 확률은 0.1% 정도라는데 안심 할 수 있는 수치인가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백신이라는게 크게 보면 무조건 맞는 것이 득이 되는 것은 사실이나 사람에 따라서 생길 수 있는 부작용의 위험성을 무시할 수는 없습니다. 또한 이 사람이 맞으면 안전할 것이고 저 사람이 맞으면 부작용이 생길 수 있을 것 같다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이 없기 때문에 무조건 맞는 것이 좋다라고 또 말하는게 쉽지 않습니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코로나에 걸리는 것보단 백신을 맞는 것이 안전하다고 생각됩니다만 이는 의료진들 사이에서도 의견이 분분하여 솔직하게 명확한 답변을 드리기 매우 어렵습니다.저는 백신을 맞았습니다만 백신의 부작용에 대해 걱정이 된다면 피하는 것이 맞습니다. 사실 백신에 대한 선택권이 없고 환자를 보기위해서는 백신을 맞는 것이 나을 것 같다는 생각이 어쩔 수 없이 저는 맞는 것을 선택했지만 주변에는 안맞은 동료들도 많습니다.따라서 질문자님께서도 여러가지 생각해보시고 부작용에 대한 걱정이 백신의 안전성에 대한 믿음보다 크다면 안맞으시는게 맞고 백신을 맞았을 때 질문자님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이 생기고 이득이 많을 것 같다 생각되시면 맞으시면 됩니다.
의료상담 /
기타 의료상담
21.05.10
0
0
눈에 띄는 눈떨림 증상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눈이 떨리는 이유는 눈주변 근육들이 수축하기때문입니다. 그 원인으로는 수면부족, 스트레스나 마그네슘 부족, 카페인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보통 눈이나 다른 근육들의 잔떨림이 있으면 마그네슘 부족이란 말을 많이 하는데요, 마그네슘은 신체의 신경조직을 이완시키고 긴장을 완화하며 안정시켜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영양제에 마그네슘이 포함되어 있는 약을 꾸준히 복용하거나 미역, 고등어, 대두 같은 음식으로 섭취하게되면 그런 증상들을 줄일 수 있겠습니다.카페인을 과다섭취시에 그런 증이 나타나면 카페인 섭취를 중단하시면 도움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안과
21.05.10
0
0
갈비뼈에 금간거는 따로 치료방법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정말 안타깝게도 갈비뼈에 금이 간 것은 자연스럽게 붙어서 통증이 없어질때까지 기다려야합니다. 가슴뼈는 호흡하는 동안 계속 움직이는 관절로 깁스같은걸로 고정을 해놓을 수 없기 때문에 병원에서 해주신 것처럼 진통제를 복용하면서 움직임을 최소화해야됩니다. 물론 개인차가 있겠지만 움직임을 최소화한다는 것은 환자분이 통증을 느끼지 않을 정도의 움직임을 얘기합니다. 밭일을 하시는데 불편함이 없으시다면 하셔도 됩니다만 아마도 자세변경에 따라 통증이 있으실 거라 생각됩니다. 적어도 2주정도는 최대한 집에서 안정을 취하시는게 좋습니다. 허리보호대를 하신다고 해도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움직임을 완전히 제한할 수는 없기때문에 크게 효과가 있을 것 같진 않습니다.지금은 진통제를 복용하면서 충분히 휴식을 취하는게 가장 좋은 치료법일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정형외과
21.05.10
0
0
혈압약을 복용했는데 혈압이 그대로입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최근에 고혈압 기준이 변하긴 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기준혈압 140/90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카페인이나 니코틴 흡입이 없는 상태에서 정확한 자세로 측정을 했을 때 혈압으로 보고 있으며 한번 높다고 해서 바로 고혈압 진단을 하는 것은 아니니 너무 걱정마시고 일단 받으신 혈압약 복용하시면서 생활하시고 적어도 한달 정도 꾸준히 혈압을 측정해서 메모장에 적어보시고 평균 혈압을 확인해보는게 더 좋은 방법일 것 같습니다. 혈압약이 종류가 여러가지인데, 어떤 성분의 약을 받으셨는지 모르겠네요. 만약 그 성분이 잘 안맞는다고 하면 다른 성분의 약을 복용해보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혈압을 간접적으로 낮추는 약을 주셨을 수도 있기때문에 걱정이 되시면 약국에 약을 들고가서 확인해보고 상담을 받아보시거나 처방해준 병원에 의사샘께 다시한번 진료를 받아보시면 더 좋을 것 같네요.비만체중이라고 하셨는데 체중감량은 혈압을 낮추는데 매우 효과적입니다. 체중관리에도 신경을 써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1.05.10
0
0
혈뇨가 나와서 병원에서 요로결석이 있다는 판정을 받았는데 이 혈뇨가 얼마나 나오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뇨의 원인을 아셨다면 당분간 지속되더라도 큰 문제가 생길 가능성은 낮습니다만, 병원에서 처방해준 약으로 치료가 잘 안되면 다시 가보시는게 좋습니다. 물론 약으로 해결이 안되는 경우 침습적인 방법을 사용해서 돌을 제거할 수 밖에 없는데요, 이 부분이 환자들이 고통스럽기 때문에 병원에서도 우선 약으로 치료해주시려고 하는 것 같습니다.아마도 요로결석이 보인다고 들으셨다면 영상검사를 진행하셨을 것 같은데요, 만약 돌이 신장에 박혀있거나 하면 나중에 급성신손상이 올 수도 있어서 쇄석술 등을 해보자고 하셨을 것 같습니다.너무 걱정마시고 병원에서 처방해준 방법으로 치료를 해보시고 잘 안된다고 생각되시면 다시 병원에 가셔서 진료를 받아보시는게 안전할 것 같습니다.치료 잘 되시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1.05.10
0
0
제가 고혈압인지 아닌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최근에 고혈압 기준이 변하긴 했지만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는 기준혈압 140/90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충분히 휴식을 취하고 카페인이나 니코틴 흡입이 없는 상태에서 정확한 자세로 측정을 했을 때 혈압으로 보고 있으며 한번 높다고 해서 바로 고혈압 진단을 하는 것은 아니니 너무 걱정마시고 생활하시면 될것 같네요
의료상담 /
내과
21.05.10
0
0
고혈압은 운동과 식이요법으로 완치가 되나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정수 의사입니다.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질문자분 나이가 어떻게 되는지 모르겠지만, 흔히 알기로는 고혈압 약은 한번 복용하면 끊기 어렵다고 알고 있죠. 하지만 일시적으로 혈압이 상승하여 약을 처방받고 꾸준히 먹게되는 경우가 흔히 있습니다. 정말로 큰 문제가 없는데 혈압을 측정할 때 잘못된 자세로 측정을 하거나 카페인, 니코틴 등의 영향으로 혈압이 높게 나왔는데 검사 결과에서 고혈압 진단이 나와 약을 복용하게 되는 경우가 이에 해당합니다.만약 이런 경우가 아니고 심혈관문제로 인한 고혈압으로 진단받고 약물 복용 중이시라면 꾸준히 복용하는게 장기적으로 봤을 때는 가장 안전한 방법이겠습니다. 하지만 질문자께서 얘기하신 것 처럼 매일매일 약을 복용하는게 쉬운 일은 아니고 혈압이 정상으로 돌아와서 약을 조금씩 줄여보고자 하고자 하는 분들이 많이 계시죠.물론 약을 끊어볼 수 는 있습니다. 하지만 혈압이 정상이 되서 약을 바로 끊는 것은 상당히 위험합니다. 이유는 매일 매일 혈압을 복용하셨기 때문에 체내에서는 일정 수준의 혈압약 농도가 유지되고 있는 상태입니다. 따라서 매일 먹던 약을 하루 이틀 복용하지 않아도 어느정도의 혈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고 이로 인하여 고혈압 환자분들이 부득이 하게 약을 복용하지 않더라도 고혈압에 의한 2차적인 합병증을 예방할수도 있는 것이죠. 따라서 혈압 조절이 잘 된다고 해서 약을 바로 끊게 되면 시간이 지나면서 체내 약물 농도가 줄어들게 되고 갑작스런 고혈압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며 이때에는 약을 복용하기 시작 전에 혈압보다 더 높게 나타날 수 있고 고령의 환자들은 이때에 약한 미세혈관들이 영향을 받아 뇌출혈 같은 심각한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따라서 본인이 생각하기에 혈압이 조절이 잘되고 약을 끊어보고 싶다면 먼저 약을 처방해주는 의원에 가서 상태를 말씀드리고 약을 조금씩 줄여나가는 것 부터 시작하셔야 안전합니다. 만약 복합제를 복용하고 계셨다면 단일제제로 줄이고 단일제제 1알에서 0.5알로 줄여가는 식으로 줄이다가 끊는 방법으로 약과 멀어지셔야됩니다.여기서 중요한 것은 약을 줄여나가면서 동시에 생활습관 교정이 필요하다는 것이죠. 나트륨 양을 줄이고 적당한 수분 섭취와 운동이 같이 이루어져야 약을 끊는 것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다르게 생각해보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식이요법 및 생활습관 교정을 충분히 할 수 없기 때문에 약에 의존하고 있다고 보면 됩니다. 약을 복용함으로써 식사를 좀더 유동적으로 하게 되고 운동을 적게할 수 있게 된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생활습관 교정이랑 같이 진행을 하셔야 안전한 약물 줄이기 방법이 될 수 있겠습니다.사실 약을 다른 음식으로 대체하기는 쉽지 않으나, 고혈압에 도움이 되는 음식으로는마늘, 양파, 바나나 등이 있으며 마늘의 경우 알리신이란 성분이 체내 콜레스테롤 수치를 낮춰 주어 고혈압 예방에 도움이 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양파의 경우 플라보노이드의 일종인 케르세틴 성분이 수축기와 확장기의 혈압을 모두 감소시켜줍니다. 바나나는 칼륨이 많은 음식으로 알려져 있죠, 칼륨은 효과적으로 신장 기능을 향상시키고 뇌줄중 위험을 감소시키는 한편 나트륨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을 조절하기도 합니다. 연구에 따르면 매일 바나나 2개를 먹으면 혈압을 10%나 낮출 수 있다고 합니다. 이런 음식들을 잘 챙겨드시면서 적당한 운동과 함께 약물을 조금씩 줄여나가신다면 질문자님께서 좀 더 건강하고 안전하게 약을 끊으실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중요한 것은 약을 처방해준 의사선생님께 진료를 보시고 결정하셔야 합니다. 본인이 생각했을 때 정상혈압이라고 약을 바로 끊는 것은 정말 위험할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1.05.10
0
0
406
407
4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