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금은 인공으로 못 만드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인공적으로 금을 제조 할수 있는 방법은 이론적으로 가능하며 성공하였습니다. 하지만 엄청난비용이 발샘되며 제조시 생성되는 양도 매우 소량이어서 시도하는 것 자체가 무모한 일 입니다. 하여 시도를 하지 않고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22
0
0
신발이나 옷에 들어가는 폴리우레탄 유해성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폴리우레탄은 석유화학 제품으로 생분해가 어렵고 미세플라스틱으로 환경에 축적 됩니다.이보다 더 유해한것은 제조공정 에서 발생되는 유해가스가 발생되어 환경 및 인체에 해를 끼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22
0
0
자동차 타이어를 제작하는 방식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타이어는 천연고무와 합성고무를 사용하여 제조합니다. 고무와 카본블랙,황,강화재,가소재,철심 등을 합성하여 제조 합니다. 혼합->압출->가황 순의 공정을 거치며 압출공정에서 모양을 만들고 가황공정에세 황과고무가 합성되며 탄성이 높아지고 강도도 높아ㅈㅂ니다. 이 가황공정시 타이어의 홈 모양인 트레드를 형성 시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22
0
0
마찰계수가 가장 높은 소재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마찰계수가 높다는 것은 미끄러지지 않는다는 것이고 표면이 거칠고 무른 재료가 마찰계수가 높습니다.타이어등에 사용되는 고무와 합성고무등이 마찰계수가 높고 마찰계수는 접촉되는 상대물질이 어떤것이냐에 따라 현저하게 다르게 나타납니다. 고무라 해도 접촉되는 상대물이 미끄러운 얼음이나 금속표면이라면 아스팔트나 콘크리트처럼 거친면보다 마찰계수가 현저히 떨어지게 됩니다.동일한 콘크리트처럼 거친 표면을 기준으로 본다면 고무복합제(산화알루미늄,실리카등을 합성한 고무), 폴리우레탄고무(고경도 폴리우레탄), 나노재료를 코팅한 재료 등이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17
0
0
우리나라 금속회사에서 처음으로 수출한 안티모니는 어떤 소재로 만들어진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안티모니는 자연에 존재하는 금속과 비금속의 중간 형태인 준금속 입니다. 주기율표상에 51번 원소 입니다.안티모니는 Sb라고 표기 하며 자연에서 순수한 원소로 존재하지는 않고 황화물의 광물로 존재 합니다. 바늘형태의 결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곳은 방위산업에 사용되며 총알, 탄알등에 납과 혼합한 합금형태로 사용 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17
0
0
안티모니 소재에 대해서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안티모니는 주기율표 51번 금속이며 자연 상태에서 순수한 안티모니로는 존재하기 힘들고 보통은 황하물 형태인 광물로 존재합니다. 결정립은 은백색의 바늘 형태로 존재합니다안티모니는 금속과 비 금속에 중간 형태인 준금속 물질입니다. 분말 형태로도 사용되며 주로 합금으로 사용합니다.납과 합금히여 탄두에 사용됩니다적당한 경도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성형성과 가공성이 좋고 정밀성도 좋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16
0
0
조선업에서 사용하는 철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대형 선박의 외피를 둘러싸고 있는 강철은 선박용 강제라 하여 전세계 국제규격 또는 한국에도 전용 강철로 규정하여 제조되고 있습니다.철강의 5대 원소에철강의 5대 원소에 결정립을 미세화하기 위해 알루미늄을 추가하고 이를 더 고강도 하게 만들기 위해 바라듐과 티타늄을 소 량섞어 강철로 만들었습니다. 선방용 강제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바닷물에 버틸 수 있는 내 부식성 그 다음 강인성 그리고 제주시 용접을 해야 하므로 용접성이 뛰어나야 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15
0
0
다이너마이트가 발명된게 결론적으로는 인류에 전쟁을 한단계 빠르게 한거아닐까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다이너마이트를 발견한 사람은 알베르트 노벨입니다. 노벨은 글리세린을 운반하는 과정에서 자꾸 사고가 발생이 되고 이로 인해 피해가 많이 발생되어 글리세린을 규조토와 섞어 고체 형태인 다이너마이트로 만들었습니다. 하지만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만 든 것이 전쟁에 이용되고 책상 무기로 바뀌면서 노벨은 아주 많은 죄책감을 느끼게 되었습니다. 하여 수익금을 유족들에게 나눠주자는 차원으로 사회에 환원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것이 노벨상의 시초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15
0
0
우리나라가 이차전지 산업에서 기술력이 얼마나 뛰어나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현재 전 세계적으로 2차 전지 산업을 이끌고 있는 나라는 중국입니다. 이 차 전지 배터리 자동차용 생산국 중 약 70%를 중국이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 뒤를 이어 한국과 일본 미국 유럽 몇 개국이 뒤따라가고 있는 실정입니다. 한국은 차세대 안전한 배터리로 취급 받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 연구해 집중하고 있으며 SK 온, 삼성 SDI, LG 에너지 솔루션 등이 산업을 이끌고 있습니다. 현재 한국의 기술력은 세계 2위 수준이며 앞으로 중국을 위협할 가장 큰 나라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15
0
0
우리나라에 석유와 석탄에서 뽑아낸 화학재료를 문화적으로 사용하는 일은 언제부터 생겨났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일제강점기와 625를 거치면서 모든 사회 기반 시설과 산업시설이 답하게 되고 무너진 뒤 1960년대 석유화학 시절이 최초로 설립되기 시작하였습니다. 1964년 지금 SK 이노베이션 그때는 유공이라는 이름에 석유화학 공장이 설립되었습니다. 석유 정제와 에틸렌과 프로필렌 내 원료를 생산하기 시작했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석유화학 제품이 국내에서 제주되기 시작하여 일상생활에 필요한 제품으로 만들어지기 시작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6.15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