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학문
구리는 어떤 용도로 많이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구리는 전기전도성이 매우좋기 때문에 전기송전용으로 많이 사용되며, 연성과 가공성이 뛰어나 식기류에도 많이 사용 됩니다. 예전에는 주석과 아연을 섞어 동전으로 많이 사용 하였으나 가격이 비싸 요즘은 사용되지 않고 있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8.04
0
0
재생 유리의 제조 비용과 품질은 원유리와 비교해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원유리는 원료를 뽑아내기위해 1500도씨까지 올려야 하지만 재생유리는 원료를 뽑을 필요가 없기 때문에 1200도씨정도에서 생산 가능 합니다. 제조비용이 절감 됩니다. 재생유리는 불순물(색소, 기타 불순물)이 함유될 확률이 매우 높기 때문에 고급 유리에는 사용되지 않습니다.재쟁유리는 일반적인 산업용병, 음료병등 색상 및 품질에 크게 좌우되지 않는 제품에 사용됩니다.제조비용은 약 20~30% 절감 품질은 제품에 따라 원유리의 70~90% 수준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22
0
0
석유나 석탄을 대체할 수 있는 그런 재료들을 만들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궁극적으로 지구상에서는 석탄과 석유를 대체할수 있는 에너지원료는 없다고 봅니다.친환경 에너지인 태양광, 풍력, 수력등은 한계가 있고 또한 그만큼의 에너지원을 얻기 위해서는 시간과 환경의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궁극적으로는 외계로 가야 합니다. 현재 달에는 헬륨3라는 에너지원이 무궁무진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헬륨3는 핵융합반응으로 많은 에너지를 만들수 있고 또한 현재의 원자력과 같이 폐기물이 없고 방사선도 나오지 않아 꿈의 원료로 알려져 있습니다.달에 분포되어 있는 헬륨3를 지구로 가져올수만 있다면 산업혁명에 버금가는 에너지 혁명이 일어날 것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22
4.0
1명 평가
0
0
중국 철강 생산이 증가했다던데 우리나라 산업에 미칠 영향은?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중국산 저가 철강이 수입되면 당연히 한국의 철강업체 이익율이 저하 될것입니다.중국의 철강품질도 상당수준 올라와 있는 상태 이므로 중국산은 품질이 좋지 않다는 것은 옛말이 되었습니다.또한 한국 조선업체에서 중국산 강판사용 비중이 늘어 나면서 한국 철강업체의 매출에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습니다.포스코 및 현대제철의 영업이익 및 매출이 감소 하고 있는 추세 입니다.철강은 국가산업으로 여겨 지기 때문엔 관세정책을 강화 하여 중국산에 대한 가격경쟁력을 약화 시키는 방법이 대책이 될수 있으나 이는 한시적인 대책으로 앞으로 품질 개선 및 영업망 확대가 관건 입니다.또한 고부가 신소재철강을 개발하고 차별화 한다면 충분히 타계할수 있을것으로 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21
0
0
내부창틀 실리콘 경화시간,,,,,,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보통 24시간 이후면 사용 가능 합니다. 완전 건조까지는 72시간까지 보시면 됩니다.자꾸 누르지 마시고 3일정도면 완전 건조되니 걱정 마시고 사용 하시면 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6
0
0
티타늄보다 더 밀도가 높은 금속은 만들지 못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티타늄보가 텅스텐이 밀도,기계적성질,경도등이 높습니다. 텅스텐은 녹는점이 3400도에 달해 고온에서도 기계적 성질을 유지하는것으로 유명 합니다. 현재 개발되어 어느정도 상용화 되어 있는 물질중 그래핀은 밀도는 낮으면서 강도는 현재 상용된 재질중 최고로 강한물질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래핀 탄소가 육각격자로 이루어져 있는 신소재 입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5
0
0
고무재질은 몇도 이상부터 변형이 일어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열가소성 재질과 열경화성 재질에 따라 차이가 발생됩니다.열가소성 재질은 50도에서부터 흐물흐물 해지는 연화 현상이 발생되고 상온이 되면 원래의 강도와 경도를 유지하게 됩니다. 하지만 열경화성 재질은 200도씨 이상부터 연화되어 식으면 딱딱해지는 현상이 발생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5
0
0
순도 100% 금은 없는것인지 궁금 합니다.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어떤 원소물질이든 100%의 순도는 있을수 없습니다. 진공상태이거나 아무것도 없는 환경에서 제련을 하거나 금속을 만들수 없기 때문입니다. 공기중에 비산되어 있는 물질이 섞여 들어갈수 밖에 없고 또 제련을하거나 제조하면서 필요한 용기의 성분또한 미세하게 혼합될수 밖에 없기 때문에 100% 물질은 존재할수 없습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5
0
0
흙을 구워서 자기를 만들때 금속성분이 왜 중요한건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도자기를 구울 때 들어가는 금속 성분은 흙 속에 자연적으로 함유되어 있는 미량의 금속 원소를 제외하고 주로 표면에 색상을 주기 위에 유약에 포함하여 사용합니다.또한 금속을 포함시키면 도자기의 강도와 내열성을 높일 수도 있습니다.이를 위해 알루미늄이나 규소를 포함시킵니다색상을 내기 위해 유약에 포함되는 금속은 철 구리 망간 코발트 크롬 주석 아연 등을 포함시킵니다.철은 갈색이나 붉은색을 나타내고 구리는 청록색을 나타내고 코발트는 파란색을 나타내며 망가는 보라색을 나타냅니다. 크롬은 초록색 니켈은 회녹색, 주석은 유백색 아연은 광택을 내는 투명한 유약을 사용할 때 첨가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4
0
0
위성이나 로켓에 사용되는 페인트는 어떠한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우주선 로켓 등에 사용되는 표면 페인트는 가장 중요한 것이 극한의 온도에서 버틸 수 있는 페인트이어야 합니다. 또한 외부 환경 즉 방사선에 버텨야하고 암석 등과 부딪쳤을 때 버틸 수 있는 표면 강도를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이렇듯 외부 환경으로부터 로켓이나 우주선을 보호할 수 있는 특수한 도류 이어야 합니다.이 도료의 성분이 무엇인지는 각 나라에 극비 사항이므로 알려지지 않았습니다.다만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에폭시등의페인트는 아니고 금속을 포함한 또는 탄소 성분이 들어간 특수한 성분의 도료입니다. 기체의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도 외부로 방출하여야 하고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열을 차단 할수 있어야 합니다.
학문 /
재료공학
25.07.14
0
0
1
2
3
4
5
6
7
8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