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우리은행이 파산할 확률이 얼마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은행의 경우 횡령사고나 다른 사건사고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으나 여전히 BIS비율이 높기 때문에 우리은행이 파산하게 될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볼 수 있어요
경제 /
경제동향
24.08.23
5.0
1명 평가
0
0
미국 대선 결과에 따라 미중관계는 어떻게 변화될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 대선의 결과가 트럼프가 되는 경우에는 중국과의 관계는 더욱 악화될 가능성이 높지만 해리슨이 되는 경우에는 조금씩 그 관계가 회복이 될 가능성이 있지 않나 생각되네요
경제 /
경제동향
24.08.23
5.0
1명 평가
0
0
미국 금리인하 9월 가능성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잭슨홀 미팅에서 아무래도 미국의 연준의장인 파월의 입에서 금리인하에 대한 긍정적인 시그널이 나왔기 때문에 9월에 금리인하의 가능성은 매우 높은 상황이라고 보여지고 있어요
경제 /
경제동향
24.08.23
5.0
1명 평가
0
0
현재 일본에서 쌀이 부족하다는 것은 경제적인 이유에서 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현재 일본에서 쌀 부족이 발생하고 있는 상황은 엔저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일본에 관광을 가게 되는 관광객이 크게 증가하였고 이 때 일본의 대표적인 음식인 초밥이나 주먹밥등의 소진이 크게 증가하게 되면서 쌀의 수요가 급증한 상황이 발생했기 때문이라고 해요
경제 /
경제동향
24.08.23
0
0
금일 환율이 폭락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금일 환율이 크게 하락하게 되었던 가장 큰 이유는 잭슨홀 미팅에서 파월이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대해서 매우 긍정적인 이야기를 하였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졌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어요
경제 /
경제동향
24.08.23
3.5
2명 평가
0
0
우리나라에서 축산물 이력제가 실시된 때는 언제부터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축산물이력제는 2008년 국내산 소를 대상으로 도입된 이후 외국산 쇠고기(2010년), 국내산 돼지(2014년), 외국산 돼지고기(2018년), 닭·오리·계란(2019년)으로 그 대상이 확대되어왔어요
경제 /
경제정책
24.08.23
0
0
이번 티메프 미정산 사태 정부 지원 자금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이번 티몬, 위메프와 관련된 미정산 대금의 경우에는 정부가 조세지출과 재정지출의 연계를 해서 조달한다고 해요
경제 /
경제정책
24.08.23
0
0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은 중국이 어떤점을 수용해야 끝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사실상 미국과 중국의 무역 전쟁이 발발하게 되었던 것은 중국의 반덤핑 무역과 미국에 적대적인 세력에 대한 중국의 우회적지원이나 지지였기 때문에 이 문제는 '이데올로기'의 싸움 혹은 미국이 지속적인 세계 경제의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싸움이라고 볼 수 있어서 중국이 주요산업을 포기하지 않는 이상은 무역전쟁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에요
경제 /
경제정책
24.08.23
0
0
미국 표준시는 동부인가요 서부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미국의 표준시간이라고 하는 것은 보통 증권의 시작을 알리는 시간을 시간이므로 동부를 기준으로 한다고 보시면 되세요
경제 /
경제정책
24.08.23
0
0
미국 금리를 우리나라가 따라가야 한다고 하는데... 지금 격차가 많이 벌어져 있는 상황에서... 미국이 금리를 내리면...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가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야 하는 이유는 바로 세계 교역으로 통용되는 화폐인 '달러 환율' 때문이라고 할 수 있어요. 미국의 기준금리가 우리나라보다 지속적으로 높게 유지되는 상황이다 보니 환율이 높게 유지가되고 있는데, 우리나라 내부의 경제 상황을 감안한다면 금리인하를 해야 맞겠지만 미국의 금리인하가 시작되기 전에 우리나라가 먼저 금리를 인하하게 된다면 환율이 더욱 크게 상승할 가능성이 높아요다만 미국이 이제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한다면 우리나라 또한 내부의 부채 리스크를 감안해서 금리를 내리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아지기 시작할 것 같아요
경제 /
경제정책
24.08.23
0
0
19
20
21
22
23
24
25
26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