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의료상담
윗배쪽에 덩어리가 만져져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규칙적인 박동을 느낄 수 있다면 혈관일 가능성이 높겠습니다. 대동맥일 수도 있고 복강동맥처럼 분지되어나올 수 있는 것들일 수 있습니다. 동일 증상으로 5월이 CT를 찍고 이상이 없었다면 그때도 동맥이 느껴진 것일 수 있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4
0
0
염색약을 오래 사용하면 눈이 나빠지는게 사실인가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염색약이라는 것이 머리 염색을 말씀하시는 것인지요. 특별히 시약이 눈에 들어가는게 아니라면 시력에 영향은 거의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눈에 들어가지 않게만 주의해서 잘 사용하십시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안과
25.10.14
0
0
아침깰때마다 침삼키면 아픈데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침삼킬 때 통증은 인후나 편도에 염증이 있어도 발생 가능합니다. 갑상선암 초기 증상은 대부분 무증상입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5.10.14
0
0
병원 mri 촬영 비급여 급여 기준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신경학적 이상이나 탈구나 변형 심한 신경 압박이 있는 경우, mri가 아니면 진단이 어려운 경우(암전이 확인이 여기 해당될 가능성이 높겠습니다.)에 급여가 되며 그 외엔 비급여 입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0.14
5.0
1명 평가
0
0
귀두랑 그 주위가 엄청 부은거 같아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먕확하지 않으나 흰 좁쌀같은 것들을 말씀하시는 것이라면 진주양구진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맞다면 양성 병변이나 정확한 진단을 위해 비뇨기과 진료 보십시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비뇨의학과
25.10.14
5.0
1명 평가
1
1
정말 감사해요
100
편도선 부었을때 약 이거 먹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단순한 바이러스에 의한 일반 감기라면 약제 복용해도되겠으나 편도염은 세균성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 항생제가 필요하나 사진에는 보이지 않는것 같습니다. 가급적이면 진료 보십시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5.10.14
0
0
환절기 감기 왔을때 독감&파상풍 예방 주사 맞아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중등도 감염 이상부터 백신 접종을 금하고 있기는 하나 급한게 아니라면 다 낫고 맞으시는걸 권장합니다.백신 자체 부작용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가급적이면 나중에 맞으시는게 안전하겠습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4
5.0
1명 평가
0
0
코로나감염후 완치후 2개월지낫는데 다시 감염될수가있나요?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코로나는 아형이 많이 있기도 하고 감염되었다고 면역획득이 꼭 되는게 아니라서 재감염이 가능함니다ㅡ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이비인후과
25.10.14
0
0
건강검진 후 결과 관련내용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공복혈당이 올라가있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당뇨로 발전할 수 있는 여지가 있는 것입니다. 내장지방을 줄이기 위해 식단과 운동을 병행해보시고 3개월 정도 있다가 재검해보시면 좋을듯 합니다.종양표지자의 경우에는 선별 검사로써 보통은 잘 쓰이지는 않으나 우리나라 검진센터에서는 조기 암 발견을 위해 많이 시행하고 있기는 합니다. CYFRA는 폐암, CA 19 9 는 췌장암 표지자입니다만 위양성인 경우가 아주 많습니다. 이부분에 대해서는 명확한 가이드라인이 없는 것이 실정입니다. 가장 정확한 것은 CT를 촬영하여 암이 있는지 없는지 확인하는 것이지만 악성 종양이 없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시간을 두고 피검사 추적을 해서 수치가 올라가는지 확인해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속적으로 수치가 올라가면 CT촬영을 해볼 수 있겠습니다. 통상 3개월정도 뒤에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와 별개로 본인이 흡연을 하고 있거나 만성 기침, 만성 복통이나 소화불량 체중 감소 등의 증상이 있다면 이에 대해서 검사를 진행하시는게 안전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내과
25.10.14
0
0
곧 50인데 이게 이인증인지 고견 부탁드리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최규은 내과 전문의입니다.이인증은 나이랑 상관 없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만약에 이인증에 해당하는 증상이 지속된다면 정신건강의학과에서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나이가 50이라도 스트레스나 그 외 기질적 원인으로 이인증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모쪼록 별일 없으시길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의료상담 /
신경과·신경외과
25.10.14
0
0
37
38
39
40
41
42
43
44
4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