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한국 증시의 호황이 온것일까요???아니면 버블일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지금은 버블은 아닙니다. 버블이 될려면 지수 PER이 15정도 가야지 버블이라고 할수 있을것 같은데, 아직 PER 11정도로 높은 수준이긴 하지만 버블까지는 아닙니다. 지금 상승은 실적보다는 주식 시장의 환경에 대한 법 개정으로 인한 상승이므로 이전 코로나 이후 3300 갔던 버블장과는 상이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7.09
0
0
주식투자할 때 배당주 위주의 투자가 가지는 장단점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배당주 위주로 투자할려면 일단 투자 금액이 커야 합니다. 투자 금액이 적다면 배당주 투자는 그리 메리트가 없습니다. 지금 같은 시점은 주가 강세 시점이므로, 배당주 투자 보다는 성장주 투자가 유리합니다. 배당주 투자는 주식 시장이 불황일때 투자하는게 좋습니다. 지금이 배당주 타이밍은 아닙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7.09
5.0
1명 평가
0
0
fomc 회의록이 중요한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FOMC 회의록은 점도표가 공개되는 이벤트입니다. 투표권을 가진 연준 의원들이 향후 금리 방향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알수 있기 떄문에 중요합니다. 만약 향후 금리 인하에 많은 점도표가 찍혔으면 금리 인하 시점이 임박했다고 예상이 가능하므로 주식 방향에 상당히 큰 영향을 줄수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7.09
0
0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해도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마이너스 대출은 신용대출 종류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마이너스 대출한다고 해서 신용등급에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다만, 대출 사용후 매월 이자 연체시에는 악영향이 있습니다.
경제 /
대출
25.07.09
0
0
차트만 보고 투자하는 것은 너무 위험하죠?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차트는 후행적인 지표입니다. 결론적으로 이미 가격이 형성되고 뒤에 만들어지는게 차트이기 떄문에 차트만 보고 투자하는건 상당히 위험합니다. 기업에 대한 기본적 분석을 하고 차트는 보조적으로 사용하는게 좋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6.21
0
0
이번에 결정난 민생지원금은 차등지원이라고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아마 건강보험료 기준으로 차등할것 같습니다. 상위 10%가 아니기 떄문에 일반 국민이 받는 정도로 보시면 될것 같습니다. 25만원 예상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6.19
0
0
이번에 돈을 국민들에게 다 준다고 하는데 이게 괜찮은 거 같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일단 현금 지원은 정부 부채를 늘려서 하는거라 좋은건 아닙니다. 물론 단기적으로는 강제적 소비를 강요하는 거라 자영업자들에게는 좋을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이후가 문제죠. 시중에 유동성 확대는 인플레이션이 발생할수 밖에 없습니다. 물가 상승으로 인해 일반 소비자들만 장기적으로 피해를 본다고 생각됩니다. 기업의 임금 상승으로 이어져야 문제가 없는데, 임금 상승은 그리 쉽게 되지 않는게 문제죠. 결론적으로 단기적으로 좋고, 중장기적으로는 안좋다고 생각됩니다.
경제 /
경제정책
25.06.19
0
0
코스피 2900 선 돌파라는 기사가 경제면을 장식 중인데.. 이게 얼마큼 중요한 내용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코스피 2900선 돌파는 거의 2년만에 처음 입니다. 그만큼 중요한 구간을 넘었다고 보여집니다. 그동안 한국시장을 항상 팔고 있던 외인들의 귀환과 주식 시장에 질려있던 개인 투자자들의 자금 유입으로 시장의 자금이 풍부해졌다고 보여집니다. 이는 향후 추가 상승 모멘텀에 중요한 요소 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6.11
0
0
왜 코스피 5000을 만들려고 하는지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한국의 투자는 부동산에 집중이 아니라 그냥 몰빵되어 있습니다. 상당히 비이상적인 투자 형태라고 볼수 있습니다. 한국의 부동산 투자와 그외 투자(주식, 예적금 등)는 거의 8대 2로 되어 있습니다. 미국은 3:7 정도로 주식 비중이 크고, 부동산 비중이 큰 중국도 한국보다는 낮습니다. 그래서 부동산 투자에 몰빵된 투자 방향을 주식 시장 활성화로 자산의 이동을 유도하는 겁니다. 주식 활성화가 되면 당연히 한국 기업한테는 좋을거고, 수익을 보면 소비도 활성화 되어 경제가 좋아집니다. 그리고 부동산 보다 현금 전환이 쉬운 주식이 경제 활성화에는 더 유리한 방법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6.11
0
0
시중에 통화량이 늘어나면 물가가 올라간다는데요? 그 이유를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시중의 통화량이 늘어나면 거래가 활발해집니다. 즉, 소비가 활성화 된다는 의미입니다. 수요와 공급의 논리에서 수요가 강하면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있습니다. 예를들면 코로나떄 생각하시면 됩니다. 코로나 시기에 전국민 재난 지원금으로 인해 단기간에 소비가 활성화 되어 이후 몇년간 물가가 급등하여 금리가 4% 가까이 오른 적이 있습니다. 미국은 한국 대비해서 어마한 현금을 살포해서 물가가 8%가깝에 올라 금리 인상 충격을 받은 케이스도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6.11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