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코스피에 상장한 기업들의 주식이 폭락한다면.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기업이 주식시장에 상장하는 이유는 투자금을 얻기 위해서 입니다. 물론 주가가 상승하면 회사 입장에선 좋습니다. 기업 가치가 올라가서 그만큼 투자금을 확보 할수 있습니다. 주가가 떨어지면, 반대겠죠. 여기서 주가가 오르든 말든 신경안쓰는 회사도 물론 있습니다. 내수주 경우 그다지 투자가 필요 없는 회사인 경우, 주가가 오르는게 불편할수 있습니다. 그리고 지배주주 이슈(경영권 자녀 승계) 같은 문제가 있는 있는 기업들도 주가가 오르면 그만큼 상속세를 많이 내야 하므로 오르는게 불편합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2
0
0
중국의 PPI가 31개월째 하락세라는데 이게 디플레이션 징조라 볼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중국은 작년부터 지속적으로 디플레이션 상황입니다. 실업율도 높고, 저물가 기조로 경제침체입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11
0
0
향후 영화관 산업이 어떻게 회복될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최근에 영화계 부진으로 인해 롯데시네마와 메가박스가 합병한것으로 그만큼 업황이 최악이라고 판단됩니다. OTT의 영향이 큰데 가장 큰 문제는 티켓 가격입니다. 너무 비싼 가격으로 인해 굳이 영화관에서 영화를 볼 생각을 하는 사람이 급격하게 감소하였습니다. 그리고 영화 컨텐츠들의 퀄리티도 많이 하락하여서 OTT 영화 보는게 차라리 낫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많아졌습니다. 위기 극복을 위해서는 티켓 가격 하락과 컨텐츠의 퀄리티 회복이 중요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11
0
0
기업실적이 좋아도 주가가 하락하는건 왜그렇죠?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주가는 현재가 아닌 미래를 반영합니다. 현재 실적이 최고라고 하더라도 주가는 최소 6개월을 선행하므로 다음,다다음 분기의 실적을 반영하고 있습니다. 주가가 하락한다면 향후 전망이 현재보다는 암울하다고 시장은 판단하는것으로 보면 될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1
0
0
올림픽은 왜 개최하면 적자를 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무엇보다도 올림픽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줄어져서 입니다. 과거에는 올림픽이 국가 간의 경쟁의 상징이라 온 국민이 주목했는데, 2000년대에 들어서는 애국에 대한 관심이 줄어들고, 올림픽 외에도 다른 메이저 스포츠 등 흥미로운 분야들이 널렸기 떄문에 관심이 줄었습니다. 자연스럽게 방송사들도 올림픽에 대한 중계권 경쟁도 줄어들고, 올림픽 떄문에 방문하는 관광객들도 줄어들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11
0
0
현대자동차도 무인 자율주행 차가 나올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현대차도 자율주행 차량 개발중에 있습니다. 다만, 테슬라보다는 느린 행보라고 보시면 됩니다. 28년에 되어서야 자율주행 레벨 2+를 상용화 한다고 발표한 상태이기에 올해 6월에 로보택시 상용화 하는 테슬라에 비하면 3년 정도 뒤쳐졌다고 보시면 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11
0
0
현대자동차가 인도시장에 진출한계기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현대차는 인도 특화 차량을 매년 출시하고 있습니다. 인도 특화 차량은 인도 현지 상황에 맞는 파워트레인과 상품성을 탑재해서 저렴한 가격에 판매하는 겁니다. 즉, 해당 차량은 다른 국가에는 판매하지 않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11
0
0
왜 카카오게임즈의 주가는 급락했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처음 상장했을떄는 카카오라는 네임밸유로 인한 고평가 였습니다. 그 이후에 카카오게임즈는 점점 원래 밸유를 찾아가는 과정이었고, 몇년동안 대작이 없었습니다. 신작마다 전부 폭망이라, 큰 성과도 없었고 기대작들은 줄곧 망해서, 미래 밸유도 그리 큰 멀티플을 받을수 없는 상황입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5.05.11
0
0
삼성전자가 파운드리 산업을 역전할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1위 역전은 TSMC가 지진으로 전부 붕괴 되거나 전쟁으로 파괴되지 않는 이상 불가능으로 보여집니다. 결론적으로 불가능합니다. 일단 기술력의 차이가 너무 심합니다. 같은 3나노 파운드리를 만든다고 하더라고 제품 성능의 차이가 심하게 납니다. 삼성이 꾸준한 투자를 하고 있지만, 삼성의 투자보다 수배에 달하는 금액을 1위 업체인 TSMC가 하고 있습니다. 2위 기업보다 훨씬 많은 금액을 R&D에 투자하고 있는데, 이걸 역전한다..? 불가능이라 보여집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11
0
0
미국과 중국이 화해 모드에 들어간건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전문가입니다.네 일단 극단전인 상황은 해소 된듯으로 보여집니다. 다만, 아직 화해모드라고 하기엔 이른 시점입니다. 과거 18년도 트럼프 1기떄 미중 협상에서도 무려 18개월이나 협상 기간이 소요되었습니다. 이제 시작한 시점이라 언제든 파토 날수 있습니다. 트럼프 특성상, 몇일만에 해결 되는건 힘들것으로 보여집니다.
경제 /
경제동향
25.05.11
0
0
10
11
12
13
14
15
16
1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