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프로필
프로필
답변
잉크
답변 내역
전체
경제
금리인상 후 경제침체가 오는건 당연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이미 유럽은 침체에 진입했습니다. 미국은 내년 상반기 예상되고, 한국은 상반기에 침체 될거라 예상됩니다. 침체가 되면 이젠 인플레이션이 아닌 디플레이션 시대가 옵니다. 금리는 어쩔수 없이 낮게 유지될거라 보여지구요 경기는 언제는 순환됩니다. 다만 호황과 침체 국면을 얼마나 길게 가는지 짧게 가는지 대외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전세계는 상당히 오랫동안 저금리, 디플레이션 저성장 시대를 지내왔습니다. 40년만의 인플레이션을 겪다 보니 다들 정신을 못차리는 거죠. 내년만 지나면 다시 고금리에서 저금리로 전환될거라 예상됩니다.
경제 /
대출
22.12.09
0
0
산타랠리가 시작될까요?아니면 오늘끝일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오늘은 그동안 급락 장세의 단순 기술적인 반등으로 보여집니다. 산타랠리는 아직 모릅니다. 차주에 연말 가장 중요한 이벤트인 미국 연준 FOMC가 열립니다. 이에 미국 금리 인상 정도가 결정되고요. 만약 25bp 인상에 그친다면 산타랠리 시작 된다고 확신합니다. 하지만 50bp 이상이라면? 산타랠리는 없을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9
0
0
주식초보자입니다 처음시작하면 어떤거부터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일단 기업 펀더먼털 평가 지표인 PER, PBR, ROE 등 필수 개념에 대해서 학습하시고, 재무 재표를 보면 이해할수 있는 정도로 공부하시면 될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8
0
0
이머징 국가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대표적인 이머징 국가는 신흥국으로 보시면 됩니다. 대표적으로 인도, 동남아시아 국가들을 보시면 될것 같네요. 대표적인 경제지수인 MSCI에서 선정한 신흥국으로는 한국, 중국, 대만도 신흥국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경제 규모상은 아니지만, 경제 개방도 정책에 따라서 폐쇄적인 상태여서 아직 신흥국으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8
0
0
대출금리 상승은 도대체 언제까지 ?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내년 상반기 까지는 지속 상승 예상입니다. 그리고 하반기에도 상승은 없겠지만, 고금리 유지는 지속 될것 같습니다. 왜냐면 한국 금리는 미국 연준의 정책에 의존적입니다. 이미 한은 총장도 그렇게 언급했었고요. 미국의 금리 추세는 내년 상반기 5.0~5.25% 정점으로 예상됩니다. 이후 해당 금리를 하반기까지 유지로 보여지고, 내후년 부터 금리 하락 전황으로 예상됩니다. 물론 이는 경제 상황에 따라 언제든지 변동 가능합니다.
경제 /
대출
22.12.08
0
0
위믹스 상장폐지와 관련하여 지갑 옮기기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네 충분히 의미가 있습니다. 나중에 재 상장한다면 쓸수도 있고, 어제 뉴스에 보면 국내 한 거래소에서 위믹스를 상장했다고 합니다. 그 거래소로 옮겨서 거래 하실수도 있을것 같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8
0
0
주식과 코인의 차이점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가장 큰 차이점은 당연하겠지만, 실체가 있느냐의 유무 일것 같네요. 주식은 해당 회사가 존재하고, 코인은 존재하지가 않죠. 그러므로 주식은 가치 계산이 가능합니다. 분기별로 실적보고서가 나오고, 이에 주가 가치를 계산하고 적용하는거죠. 반면 코인은 그냥 기대치와 상상력이 반영된 자산이라, 언제든지 사라질수도 있는 위험자산의 끝판왕이라 볼수 있습니다. 하이리스크 하이리턴으로 그만큼 코인의 수익률은 하루에도 50~100% 이상 가능할정도로 엄청나기 떄문에 투자자들이 많이 관심을 가지는거라고 볼수 있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8
0
0
국내외 증권이 하락이 지속되고 있는데 내년 경제 전망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내년은 경기침체 본격화 되어서 안좋을것 같고, 내년 하반기~내후년 부터는 어느 정도 좋아질거라 예상됩니다. 경기는 4국면으로 사이클이 돌게 되어 있습니다. 현재 역실적장세 국면으로 본격 진입 중이고, 내년 상반기에는 정점일것으로 보여집니다. 하반기에선 역실적에서 금융장세로 전환될거라 기대됩니다.
경제 /
경제동향
22.12.08
0
0
유상증자 예정인 기업에서 받은 신주인수권을 기한 내에 팔지 않으면 무조건 유증 참여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니여. 무조건 참여는 아닙니다. 하지만 신주인수권을 안팔았다면 솔직히 유증 참여 하는게 낫습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8
0
0
코스피,코스닥에서 개인,기관,외국인이 매도매수한 내역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권용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본인 거래하는 증권사의 HTS 접속해서 외국인/기관 일일별 순매수/순매도 순위를 깔끔하게 보실수 있습니다. 증권사별로 단축번호가 달라서 못찾으시면 증권사 고객센터 문의하시면 잘알려주실겁니다.
경제 /
주식·가상화폐
22.12.08
0
0
199
200
201
202
203
204
205
206
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