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갈릴레이식 망원경은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갈릴레이식 망원경은 1608년 네덜란드의 안경 제조업자인 한스 리페르셰이가 발명한 망원경으로,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개량하여 사용한 망원경입니다. 갈릴레이식 망원경은 대물렌즈로 볼록렌즈를 사용하고, 접안렌즈로 오목렌즈를 사용합니다.갈릴레이식 망원경의 특징은 다음과 같습니다.상이 정립으로 보인다.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굴절률이 서로 반대이기 때문에, 상이 정립으로 보입니다.경통의 길이가 짧다. 대물렌즈와 접안렌즈의 초점 거리의 차이가 작기 때문에, 경통의 길이가 짧습니다.시야가 좁다. 오목렌즈의 시야가 좁기 때문에, 시야가 좁습니다.갈릴레이식 망원경은 시야가 좁다는 단점이 있지만, 경통의 길이가 짧아 휴대하기 쉽고, 상이 정립으로 보이기 때문에 육안으로 관찰하기 어려운 멀리 있는 물체를 관찰하는 데 유용합니다. 갈릴레이식 망원경은 오페라 글라스, 측지용 망원경 등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Q. 화씨 온도에서 물이 어는 온도를 32도로, 물이 끓는 온도를 212도로 정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화씨 온도(℉)는 1724년 독일의 물리학자 게오르크 리하르트 폰 파렌하이트(G. R. Fahrenheit)가 고안한 온도 체계입니다. 파렌하이트는 1724년 영국 왕립학회에서 자신의 온도 체계를 발표했는데, 이 체계에서 물이 어는 온도를 32도로, 물이 끓는 온도를 212도로 정했습니다.파렌하이트가 이러한 온도를 선택한 이유는 정확히 알려지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이유로 추측할 수 있습니다.인간의 체온을 기준으로 설정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파렌하이트는 자신의 체온을 96도로 측정했는데, 이 온도를 100도로 설정하고, 물이 어는 온도를 32도로 설정하면 두 온도 사이를 64등분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염화암모늄을 기준으로 설정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파렌하이트는 처음에 염화암모늄과 얼음을 섞은 용액의 온도를 0도로, 염화암모늄을 끓인 용액의 온도를 100도로 설정했는데, 나중에 물이 어는 온도를 32도로, 물이 끓는 온도를 212도로 변경했습니다.어떠한 이유로 설정되었든, 화씨 온도는 18세기 이후 전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현재 미국, 버뮤다, 카리브해 일부 국가 등에서 화씨 온도를 사용하고 있습니다.참고로, 섭씨 온도(℃)는 1742년 스웨덴의 물리학자 안데르스 셀시우스(Anders Celsius)가 고안한 온도 체계입니다. 셀시우스는 물을 얼음과 끓는점의 중간인 0도와 100도로 설정하고, 이 두 온도 사이를 100등분으로 나누었습니다.
Q. 모기가 죽지 않고 살 수 있는 온도는 몇 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모기는 일반적으로 10~40도 사이의 온도에서 살 수 있습니다. 10도 이하의 온도에서는 체온을 유지하지 못하여 죽게 되고, 40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체내 단백질이 변성되어 죽게 됩니다.모기의 종류에 따라 적응할 수 있는 온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따뜻한 기후에서 서식하는 모기는 추운 기후에서 서식하는 모기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도 살 수 있습니다.모기가 죽지 않고 살 수 있는 최적의 온도는 25~30도 사이입니다. 이 온도에서는 모기가 번식과 성장을 하기에 가장 적합합니다.따라서 모기가 죽지 않고 살 수 있는 온도는 10~40도 사이이고, 최적의 온도는 25~30도 사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과학에서 물질의 상태중 분자운동이 가장 빠른게 어떤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상우 과학전문가입니다.과학에서 물질의 상태 중 분자운동이 가장 빠른 것은 기체입니다. 기체 상태에서는 분자 사이의 거리가 가장 멀기 때문에 분자들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분자의 운동은 온도와 밀도에 따라 달라지는데, 온도가 높을수록, 밀도가 낮을수록 분자의 운동이 빨라집니다. 따라서 기체 상태에서는 분자의 운동이 가장 빠릅니다.고체 상태에서는 분자들이 서로 단단히 결합되어 있어 움직일 수 있는 범위가 매우 제한적입니다. 액체 상태에서는 분자들이 서로 약하게 결합되어 있어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기체 상태의 분자운동이 가장 빠르고, 그 다음으로 액체, 고체 순으로 분자운동이 느려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