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전기가 잘 원활하게 저항없이 올수 있게 하는 방법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기 전송에서 완전히 저항을 없애는 것은 현재로서는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저항을 최소화하려는 여러 가지 방법은 존재합니다. 첫째, 전선의 재료를 잘 선택하는 것이 중요한데, 구리나 은처럼 전도율이 높은 재료를 사용하면 저항을 줄일 수 있습니다. 둘째, 초전도체를 이용하면 저항 없이 전기가 흐를 수 있지만, 초전도체는 특정 온도에서만 작동하기 때문에 현재 실용화에는 제약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해 고전압으로 전력을 송전하고, 변압기에서 낮은 전압으로 변환하는 방식이 사용됩니다. 이 방식은 전송 과정에서의 손실을 줄이는 데 효과적입니다.
Q. 전선이 굵은것이 있고 얇은 것이 있는데 왜 차이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선의 굵기가 다른 이유는 전선이 전달해야 할 전력의 양과 관련이 있습니다. 전선이 흐를 수 있는 전류의 양은 전선의 굵기에 비례하므로, 전력 소비가 많거나 전류가 많이 흐르는 곳에서는 굵은 전선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전봇대 케이블이나 전기차 충전기 케이블은 고용량의 전력을 공급해야 하므로 굵은 전선이 사용됩니다. 반면, 집 전원케이블은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얇은 전선으로 충분히 처리할 수 있습니다. 전선이 너무 얇으면 전류가 흐를 때 열이 발생하고 과부하가 발생할 수 있어, 필요한 전류량에 맞는 적절한 굵기의 전선이 사용됩니다.
Q.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의 인프라 문제와 해결 방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전기차 충전소 인프라의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려면, 우선 충전소의 지역적 분포를 고르게 하고 급속 충전소를 늘려야 합니다. 이를 위해 충전소 설치를 촉진하는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충전소 설치를 위한 세금 혜택, 보조금, 규제 완화 등이 그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최신 기술인 초급속 충전 기술을 적용하여 충전 속도를 획기적으로 개선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충전소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차세대 충전 기술로는 350kW 이상의 고속 충전기와 무선 충전 기술 등이 등장하고 있으며, 충전소 운영에 있어 IoT 기반의 스마트 관리 시스템을 통해 실시간 충전 상태 모니터링 및 예약 시스템을 도입할 수 있습니다. 산업 전반에서의 협력도 중요하며, 민간 기업과 정부의 협업을 통해 보다 효율적인 충전 인프라 구축이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