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강정우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정우 전문가입니다.
강정우 전문가
세브란스병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3일 작성 됨
Q.
항문외과병원에 외과전문의라고 되어있던데 항문쪽 진료 볼 수 있는거에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외과에는 다양한 영역이 있습니다. 위장관외과, 갑상선내분비외과, 간담췌외과 등이 있으며, 당연히 본인이 세부 전공한 분야에 더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론 그렇지 않더라도 진료 경험이 충분하다면 대개는 충분히 전문성을 갖추고 있으니 크가 걱정은 안 하셔도 되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3일 작성 됨
Q.
모기에 많이 물려서 괴로울 때에는 어떤 응급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결국은 가려움증을 줄여주는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하면서 국소 스테로이드로 염증을 줄여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약이 없다면 냉찜질도 도움될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요즘 어린이집에서 유행하는 전염병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코로나 유행은 이미 지나갔습니다. 현재 대단하게 유행하는 감염은 없으나, 일반적인 호흡기 바이러스는 연중 유행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외에도 수족구, 독감 등이 특정 시기에 유행하는 감염병입니다. 수주~수개월 이내 독감 유행이 시작될 것입니다. 마스크 정도는 씌우고 등원한다면 전염은 어느 정도 예방할 수 있을 것으로 봅니다.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아이가 크면서 정상이다라고 느끼고 있었지만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자폐의 특징은 사회적 기능의 결여입니다. 이와 함께, 반복 행동, 강박, 제한된 관심사, 장난감 등을 줄지어 세우는 행동 등이 있으나 이러한 특징이 있거나 없는 자폐 아이들도 있기 때문에 정신과 의사 진료를 권고드립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벌레에 물렸을때 어쩐종류인지 알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각 곤충별 특이 항원은 존재할 것으로 생각되지만 현실적으로 그러한 검사는 존재하지만, 진행하지도 않습니다. 대단한 벌레가 아닌 이상 대개는 어떠한 벌레에 물렸는지 알 필요가 없기 때문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하루에 만보 이상걷기를 하고 나면 잘때 다리가 좀 불편한 느낌이 드는데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과도한 운동 또는 준비운동이 충분치 않은 경우에는 근육통이나 근육 경련 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걷기 전 충분히 준비운동을 하시거나 운동량을 서서히 늘리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대변색이 아주 검은색이면 건강에 문제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정말 검정색이 맞다면 흑변은 위장관 출혈을 의미합니다. 물론 위장관 출혈은 여러가지 원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지속될 경우 사진을 찍어서 의사 진료를 보시기 바랍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건강검진시 피뽑고 저녁에 샤워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단순히 채혈만 한 것이라면 저녁에 가벼운 샤워 정도는 괜찮습니다. 하셔도 됩니다.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20개월 아기독감주사 맞는거와 안맞는거 어떤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독감주사는 6개월 이상 접종 가능하며 예방접종은 두말할 것 없이 당연히 하는 것이 맞습니다. 발열 등 부작용이 있을 수 있지만 접종 후 발열과 독감 발병 후 생길 수 있는 고열, 컨디션 저하, 호흡곤란, 타인 감염 위험성 등과 비교해 본다면 어떤 것이 더 클까요? 현명한 선택 하시기 바랍니다.
소아청소년과
2024년 10월 2일 작성 됨
Q.
마이코플라즈마 폐렴 열만나고무증상
안녕하세요. 강정우 소아청소년과 전문의입니다.마이코플라이즈 감염은 굉장히 오래 가는 것이 특징입니다. 발열이 1주일 이상 지속될 수 있고 기침이 대개 동반되지만 증상이 없는 경우도 있습니다. 특히 우리나라는 기본 항생제에 내성인 균이 많아 필요 시 스테로이드 병용 또는 2차 항생제를 투여하기도 합니다. 다만, 정말 열이 3주 간 계속 난 것이라면 다른 문제는 아닌지 발열에 대한 추가검사가 필요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