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준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수 전문가입니다.

이준수 전문가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의사 결정 모델 측면에서 신고전주의 경제학과 행동 경제학의 주요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신고전주의 경제학과 행동 경제학 모두 의사 결정 모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고전주의 경제학은 합리적인 인간 모델에 기반하여, 최적의 선택을 하는 경제 주체들의 행동을 분석합니다. 그러나, 이 모델은 때로 실제 경제 상황과는 거리가 먼 경우가 많습니다. 반면, 행동 경제학은 경제 주체들이 합리적이지 않은 결정을 내리는 이유를 분석합니다. 이론적으로는 합리적인 선택을 하는 것이 이상적이지만, 인간의 본성상으로 인해 실제로는 이상적이지 않은 선택을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행동 경제학은 이러한 현상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보다 현실적인 의사 결정 모델을 제시합니다. 따라서, 신고전주의 경제학은 합리적인 모델에 기반하여 이론적인 최적의 선택을 분석하고, 행동 경제학은 인간의 본성과 행동 패턴을 고려하여 보다 현실적인 선택 모델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주요한 차이점이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1달라가 1312원인데 공항 환전소에는 팔때 1250원 이라고 하는데 왜 차이가 나나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전을 해주는 환전소도 수수료를 받아 이익을 가져가야 하기 때문에 환전수수료가 포함된 환율은 원래 고지환율보다 높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엔화 약세 원인은 무엇으로 판단되는지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일본의 재정대비 지나친 부채를 갖고 있기 때문에 기준금리를 쉽게 못올려 엔저 현상이 지속되고 있습니다.일본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순간 자국 정부의 빛 이자가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에 한동안은 금리 인상은 힘들며 이에 따라 엔화 약세가 지속될 것 이라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환율이 비정상적으로 높을 땐 분명 경제위기와 같은 이슈가 있을텐데요 그렇다면 환율이 비정상적으로 낮을땐 이런 이슈가 없나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환율이 비정상적으로 낮다는건 원화가 비정상적으로 절상이 되어 달러나 다른 기축통화보다 값어치가 나간다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한국처럼 경제가 수출에 대부분을 의존하고 규모나 인구, 위상 등을 생각했을 때 원화가 그정도의 힘을 갖는다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에 환율이 비정상적으로 낮을 수는 없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미국이 한동안 저금리를 유지했을때 원화가 상대적으로 절상되어 환율이 1000원 초반대 또는 900원 후반때에 형성된 경우는 있습니다. 환율이 낮아지면 1달러에 1200원하던 제품이 1달러에 900이 되어 상대적으로 제품이 저렴해져 수출이 늘어 경제에 좋은 형상을 끼치는 건 맞지만 반대로 해외 교역을 주업으로 하는 기업이나 개인은 달러로 받기 때문에 그만큼 손해를 보는 구조이기 때문에 모든 경제 주체가 이득을 보는 구조는 아닙니다.감사합니다.
경제정책
경제정책 이미지
Q.  미국 GDP계산할때 순수출이 마이너스인가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내수가 탄탄한 선진국들은 보통 경제 수준이 높기 때문에 그만큼 한계수입성향이 높아 수입량이 어마어마 합니다.따라서 수출 - 수입인 순수출도 대부분 마이너스 이지만 그 폭이 크진 않습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물가상승과 금리인상에는 어떤 관계가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구체적인 현상과 이유를 그래프를 통해 설명하면 쉽지만 여건이 안되니 예시로 설명해드리겠습니다.상승하는 물가를 잡기위해 금리를 인상하는 건 맞습니다.금리가 인상되면 이성적인 개인은 당장의 소비를 줄이고 저축을 늘려 높아진 이율을 챙기려고 할 것입니다.이러한 합리적인 개인들의 선택으로 시중에 돈은 적어지고 물가는 진정되는게 일반적인 현상입니다.경제가 성장한다는건 총수요가 증가한 만큼 총공급이 이를 뒷받침해 경제 성장률(생산량)과 물가가 같이 오르는 것입니다. 하지만 물가가 오른것에 비해 생산량이 그만큼 증가하지 않는다면 물가 상승으로 인해 생산과 고용이 뒤쳐지고 경제 성장이 제동이 걸리기 때문에 금리를 조절을 통해 물가를 잡고 경제 성장을 꾀하는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국제유가 하락에 따른 국내경제 영향과 전망은?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은 유가를 전적으로 수입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가격 변동폭에 따라 경제가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작년에 비해 유가 가격이 많이 하락한 상태이며 OPEC또한 증산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가격이 유지 되거나 하락세가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유가가 하락세인것은 맞지만 집앞 음식점들이 재료값이 올랐다고 바로 가격을 올리지 않고 시간을 두고 올리는 것처럼 유가 또한 하락세가 시세에 바로 반영이 되지않고 시간을 두고 서서히 하락을 반영하기 때문에 좀 더 시켜보시면 내려갈 것이라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풋콜패리티가 뭐에요? 전환사채패리티는 알겠는데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풋콜 패리티는 기초 증권과 만기 및 행사가격이 동일한 상태에서의 콜 옵션과 풋옵션의 가격이 균형으로 이루어지는 일정한 관계를 의미합니다.보통 식으로 많이 표현되는데 C + B = P + S 형태이며콜옵션 한단위 매수 + 채권 매입 = 풋옵션 한단위 매수 + 주식 현물 매수 를 의미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최근 세계 정서를 보고 블록 경제라고 하는데, 블록 경제가 정확히 무엇을 의미 하나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말그대로 블록처럼 모든 나라가 다 이어져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무역과 개방으로 인해 전세계는 많은 이점과 빠른 성장을 이루었다는 장점도 있지만전쟁과 같은 이슈로 한 나라가 크게 피해를 입게 되면 그와 연관된 (같이 교류를 하고 있는) 나라들도 간접 또는 직접적으로 같이 피해를 입게되는 단점도 존재합니다.감사합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국가에 인구가 많으면 경제에 좋은것 아닌가요?
안녕하세요. 이준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인구가 많을 수록 성장력이 높아지는건 어디까지나 국가가 모든 인구의 생산력을 최대로 이끌어낼 수 있는 인프라와 정책 등이 갖췄을 때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그렇기 때문에 인구가 많은 개도국은 각종 규제와 보이지 않는 신분제, 인프라 부족 등 으로 인해 인구 대비 성장률이 낮습니다.솔로우 잔차의 정의는 산출량의 변화중 노동이나 자본으로 설명되지 않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이니 참고 바랍니다.감사합니다.
11121314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