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김재현 전문가
OPTICS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물리
2025년 6월 2일 작성 됨
Q.
가속도로 인한 저항력은 최대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속도로인한 저항력은 물체의 형태에따라 다릅니다. 면적이 넓으면 클태고 저항을 최소로 하기위해 앞부분이 날카롭다면 저항이 적겠죠
물리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비온뒤 무지개가 잘 생기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무지개의 경우 비가 올때는 보기가 힘듭니다. 이유는 비가오면 구름이 햇빛을 가리기 때문에 무지개가 생기기 어렵습니다. 반면 비가 그치고 해가 뜨면 무지개를 볼 수 있는데요. 이는 공기중에 떠다니는 물방울 알갱이 속으로 빛이 투과 하면서 파장에 따라 굴절을 달리하기 때문입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무지개의 경우 빨주노초파남보의 파장은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이때문에 굴절이 발생하고 우리눈으로 볼때 일곱색의 무지개를 볼 수 있는 것이죠. 또한 비가 그치고 해가뜬다고 무지개를 다 볼 수 있는것은 아니에요. 보는 사람의 위치에 따라 볼수도있고 못볼 수도 있습니다
물리
2025년 5월 29일 작성 됨
Q.
태양계를 통째로이동시킨다는 슈카토프 추진기란 무엇이며 어떤 과학원리로 되나?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러시아 물리학자 슈카토프가 제안한 원리로 태양의 복사압을 이용해서 태양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것입니다. 그러면 태양의 중력에 속해있는 모든 물체들은 태양을 따라 오게 될것이죠. 그러면 슈카토프 추진기의 원리는 어떻게 되냐 궁금하실텐데요. 태양옆에 거대한 곡면 거울을 위치시킵니다. 그리고 태양의 복사합과 중력이 평형이 되는 점에 위치 시켜요 그러면 자연스럽게 태양의 복사압으로 거울이 밀려나게 되고 그거울을 따라 태양이 조금씩 움직이게 됩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한 개념이지만 거대한 거울을 만드는것 자체가 거의 불가능하죠 ㅎㅎ
물리
2025년 5월 28일 작성 됨
Q.
원기둥 넓이를 적분을 이용해서 구해보고 싶은데 뭐가 잘못됐는지 모르겠어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위와같이 계산하면 원기둥 옆면의 사각형 넓이를 계산하는것과 같은거에요 부피를 계산하려면 파이x R^2을 높이 h로 적분해야합니다. 그러면 파이r^2h가 나옵니다
물리
2025년 5월 28일 작성 됨
Q.
아인슈타인이 만든 방정식에 우주상수가 들어가는 정확한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아인슈타인은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을통해 우주전체를 설명하려고하였습니다. 그리고 방정식의 해를 계산하면 우주는 팽창하거나 수축한다는 결론이 나왔는데 아인슈타인은 우주는 정적이다라고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방정식에 우주상수를 추가했는데요 나중에 허블이 우주가 팽창하고 있다고 관측하면서 아인슈타인은 우주상수가 최대의 실수라고 하였죠. 하지만 현대에서는 우주상수가 암흑물질일수도 있다라는 의견이 많습니다
물리
2025년 5월 28일 작성 됨
Q.
핵분열 물질에 있어서 임계질량이란 어떤 의미인가?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핵물질에서 임계질량은 아주 중요한 것중 하나입니다. 핵물질이 핵분열을 시작하게되면 중성자가 생성되는데 이 중성자가 다른 원자에 흡수되면서 핵분열이 끊임없이 일어나게됩니다. 이때 핵물질이 임계질량이상 있어야 계속 반응을 할수 있습니다. 임계질량보다 작으면 반응이 멈추게되죠. 따라서 핵분열할수 있는 최소 질량을 임계질량이라 부르게됩니다
물리
2025년 5월 28일 작성 됨
Q.
도르래의 높이가 달라져도 작용하는 힘이 같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흠 물체가 도르래 끝에 매달려있고 도르래 높이를 변하여도 물체에 가해지는 힘은 같냐고하셨는데 도르래의 높이를 바꿔도 아래로 당겨지는 힘은 변하지 않습니다. 또한 물체를 잡아당기는 장력또한 높이가 변한다고 바뀌지 않습니다.
물리
2025년 5월 27일 작성 됨
Q.
수학에서의 성적을 우등생 수준으로 잘하려면은?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먼저 수학이나 과학을 잘하려면 이해를 잘 해야합니다. 문제에대한 이해가 있어야 적절한 공식을 도입하여 문제를 해결할수 있겠죠. 또한 많은 다양한 형식의 문제도 풀어봐야 어떤문제든 당황하지 않고 풀수있습니다.
물리
2025년 5월 27일 작성 됨
Q.
강력 약력 전자기력 중력을 모두 통일되게 설명가능한 이론이 있나?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네 자연계의 4가지 힘을 하나로 합치려는 이론들이 여러개 존재하지만 아직까지 이론으로만 존재할뿐 실험적 검증이 전무한데요. 그중 가장 주목받고있는 이론은 초끈이론과 M이론입니다. 초끈이론은 10차원에서 입자가 진동하는 끈으로 해석하면서 모든힘을 하나의 틀에서 설명하는 이론입니다. M이론의 경우 초끈이론에서 한층더 파생되어11차원에서 설명이 가능한 이론입니다.
물리
2025년 5월 26일 작성 됨
Q.
소리는 고주파음인지 저주파음인지에 따라 도달하는 거리도 달라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고주파와 저주파중 더 멀리 갈수있는 음은 저주파입니다. 저주파는 주파수가 낮은 영역(파장이 김)을 말합니다. 고주파는 높겠지요 그래서 장애물도 막힘없이 잘 지나갑니다. 도달 거리는 몇백 km이상 나아갈수 있으며 고주파는 도달거리가 100km미만으로 짧습니다
6
7
8
9
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