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태양빛이 비춰도 안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조천웅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에서는 다량의 자외선 등 생물에게 유해한 것들이 많이 방출 됩니다. 하지만 지구의 경우 성층권에 오존층 있어 이 자외선을 차단해 줘서 안전하게 생활할 수 있습니다.오존층은 태양으로부터 전파돼 오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역할을 하는데, 오존층이 파괴되면 지구에 도달하는 자외선이 많아져 피부암ㆍ백내장 등을 유발하며, 농작물이나 해양 식물플랑크톤의 성장을 방해하는 등 지구환경에 밀접한 영향을 미칩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지구과학·천문우주
Q. 무지개는 왜 항상 나타날때 반달모양인가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는 대기 중 수증기에 의해 태양광선이 굴절, 반사, 분산되면서 나타나는 기상학적 현상입니다.무지개는 하늘에서 태양이 위치한 반대편에 형성되며, 대부분 호 모양으로 생기지만 원형으로도 생길 수도 있습니다.지상에서 관찰할때는 원의 절반만 관찰이 되기때문에 반원 모양이지만 하늘에서 관찰할때는 둥근 원모양의 무지개도 관찰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전세계의 바닷물 농도는 일정하게 유지될까요?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염분의 농도는 바다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바닷물 1㎏에 들어 있는 염류의 총 무게(그램)로 측정되고, 단위는 퍼밀(‰ 천분율)이다. 태평양, 대서양, 인도양 등 대부분의 큰 바다는 그 농도가 33~37‰ 정도이고, 세계 해양의 평균 염분 농도는 35‰입니다.바닷물의 염분 농도는 지리적으로 다르게 나타나는데, 북반구의 해수는 남반구의 해수보다 염분이 낮으며 이는 북반구에 더 많은 대륙들이 분포하고 있으며, 많은 양의 담수가 대륙으로부터 유입되기 때문입니다.그러나 대서양은 또 다르게 강을 통하여 유입되는 담수 총량의 약 80%가 대서양으로 흘러들어 감에도 불구하고 대서양 해수의 염분은 태평양 해수에 비하여 다소 높습니다. 그 이유는 강수량보다 증발량이 훨씬 더 큰 지중해에서 고온, 고염분의 특징을 갖는 해수가 대서양으로 유입되어 염분을 높이고, 무역풍을 따라 태평양의 열대 수렴대로 운반되는 막대한 양의 수증기가 태평양의 염분을 낮게하기 때문입니다.도움이 되셨으면 추천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