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가상화폐
Q. 미국 지수 이외에 투자할만한 나라가 있다면 추천해 주세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많은 분들이 투자 다각화에 대해 고민하시는데요, 저도 비슷한 경험이 있어 공감됩니다.현재 미국과 일본에 투자하고 계시다면, 추가로 고려해볼 만한 국가는 다음과 같습니다인도: 젊은 인구와 빠른 경제 성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인도 시장에 투자하는 ETF로는 'iShares MSCI India ETF (INDA)'가 있습니다.베트남: 역동적인 경제 성장과 젊은 노동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베트남에 투자하는 ETF로는 'VanEck Vietnam ETF (VNM)'가 있습니다.브라질: 풍부한 자원과 성장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브라질 시장에 투자하는 ETF로는 'iShares MSCI Brazil ETF (EWZ)'가 있습니다.이러한 국가들은 저출산 문제에서 비교적 자유로우며, 성장 가능성이 높습니다. 투자 비중을 미국 50%, 일본 20%, 그리고 위의 국가들에 30%로 분산해보시는 것을 고려해보세요.
Q. 미국에서 재무장관으로 임명된 베센트는 어떤인물이며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줄까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많은 분들이 스콧 베센트의 미국 재무장관 지명 소식에 관심을 갖고 계시죠. 스콧 베센트는 1962년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주 콘웨이에서 태어나 예일 대학교에서 정치학을 전공했습니다. 그는 헤지펀드 '키스퀘어 그룹'의 창립자이자 CEO로, 조지 소로스의 펀드 매니저로도 활동한 경력이 있습니다.베센트는 인플레이션감축법(IRA)의 왜곡된 인센티브를 개혁해야 한다고 주장하며, 정부가 아닌 민간이 자본을 배분하는 것이 성장에 중요하다고 강조합니다.또한, 관세를 통해 동맹국의 방위비 분담을 늘리고, 무역 협상에서 유리한 위치를 확보하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방향은 한국 경제에 여러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특히, 인플레이션감축법의 개혁은 한국 기업들이 미국에서 받는 보조금이나 세제 혜택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어, 수출 및 현지 생산 전략에 재검토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또한, 관세 정책의 변화는 한국의 대미 수출품에 대한 관세율 변동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무역 환경 변화에 대한 대비가 중요합니다.따라서, 베센트의 정책 방향을 주시하며 한국 기업들은 이에 맞는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주식·가상화폐
Q. 최근 리플 가격이 계속 오르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많은 분들이 리플(XRP)의 최근 상승세에 놀라고 있는데요.리플의 가격 상승에는 몇 가지 주요 요인이 있습니다.첫째,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의 법적 분쟁이 마무리 단계에 접어들면서 규제 불확실성이 해소될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졌습니다.둘째, 리플랩스의 기업공개(IPO) 가능성이 제기되며 투자자들의 관심이 높아졌습니다. 셋째,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암호화폐 규제 완화에 대한 기대감이 리플의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트럼프 대통령 당선이후 많은 자금들이 코인시장에 쏠리고 있는 상황이니 신중하게 접근하는게 좋을듯 합니다.
주식·가상화폐
Q. 삼성전자 자사주 매입이 오너일가를 위해서라는 말이 있던데요
안녕하세요. 권혁철 경제전문가입니다.많은 분들이 삼성전자의 자사주 매입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습니다. 저도 비슷한 사례를 접한 적이 있어요.삼성전자가 최근 10조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과 3조 원 소각을 발표했는데요, 이는 주주가치 제고를 위한 조치로 보입니다. 하지만 일부에서는 오너 일가의 지배력 강화를 위한 목적도 있다고 해석합니다. 자사주를 소각하면 전체 발행 주식 수가 줄어들어 기존 주주의 지분율이 자연스럽게 상승하게 되죠.또한, 오너 일가가 보유한 주식을 담보로 대출을 받은 상황에서 주가 하락은 담보 가치 하락으로 이어져 추가 담보 요구(마진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자사주 매입을 통해 주가를 부양하면 이러한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분석도 있습니다.이러한 측면에서 자사주 매입이 오너 일가에게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