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리스크 헷지하다는 뜻은 무엇을 의미하는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바구니를 나눠 담는 것은 자산 배분의 일종으로, 투자 자산을 여러 개의 분산된 자산으로 나누어 투자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것은 투자 포트폴리오의 다양성을 높여서 투자 리스크를 감소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 채권, 부동산 등의 자산 클래스를 조합하여 다양한 자산군에 투자함으로써 리스크를 분산시키고 안정적인 수익을 추구할 수 있습니다.반면, 리스크 헷지는 어떤 자산의 가치가 하락할 경우에 대비하여 해당 자산의 가치를 보호하거나, 이를 이용하여 수익을 추구하는 방법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주식시장에서 대규모 하락이 예상되는 경우 주식 포트폴리오를 보호하기 위해 헷지 펀드를 이용하여 투자자산의 가치를 보호하거나, 반대로 시장 하락을 이용하여 수익을 추구하기도 합니다.따라서, 바구니를 나눠 담는 것은 포트폴리오의 리스크를 분산시키는 것을 의미하고, 리스크 헷지는 특정 상황에 대비하여 자산 가치의 보호나 수익 추구를 목적으로 하는 방법입니다. 두 용어는 비슷한 개념이지만, 목적과 방법이 서로 다르므로 혼용해서 사용하면 안됩니다.
Q. 금리하락시 채권관련 펀드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채권 가치가 상승하게 됩니다. 이는 채권의 이자율이 고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만약 10년 기간의 100만원 규모의 채권에 대해서 연 4%의 이자를 받는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이 때, 만약 금리가 4%에서 3%로 하락하게 되면, 새로운 10년 기간의 100만원 규모의 채권에 대해서는 연 3%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그러나 이미 발행된 기존의 채권은 4%의 고정 이자를 유지하게 됩니다. 따라서, 기존 채권의 가치는 상승하게 됩니다.이러한 상황에서는 채권을 보유하는 것이 수익을 올리기에 유리합니다. 따라서, 채권을 보유한 상태에서 금리 하락이 예상되면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 것이 좋을 수 있습니다.그리고 채권 펀드 역시 채권의 이자율이 상승하여 채권 가치가 상승할 때에는 수익이 높아지는 펀드입니다. 따라서, 채권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면 채권 펀드를 권유할 수 있습니다.
Q. 은행권이 파산하면 돈 찾을수있나요?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우체국의 경우, 한국정보화진흥원(KISA)의 인터넷보안강화지원사업의 일환으로 설치된 "온라인 금융거래 안전지킴이" 시스템에 가입되어 있어서, 인터넷 뱅킹 등의 온라인 금융거래에서 발생한 이용고객 피해에 대해서는 5천만원까지 보상이 이루어집니다. 우체국은 이를 통해 이용고객의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있습니다.상호저축,농협,일반은행 모두 금융위원회에서 운영하는 "예금자보호원"에 가입되어 있어서, 이자 포함 5천만원까지 예금자 보호를 보장하고 있습니다. 이는 국가에서 제공하는 보상이며, 상호저축은 이 보상금을 지급하기 위해 예금자보호비를 부과받고 있습니다. 그러나, 만약 상호저축이 부도가 난다면, 이 경우 보호원에서 지급하는 5천만원 이상의 금액은 보장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