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역사
역사 이미지
Q.  제주4.3사건이 무엇이고 왜 아직도 많은 이야기가 나오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47년 3월 1일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남로당의 지휘를 받는 빨치산 조직의 진압과정에서 제주인들이 희생당한 사건을 마련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마리 퀴리부인은 어떤 인물이었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프랑스의 물리학자 화학자로 남편과 함께 방사능 연구를 하여 최초의 방사능 원소 플로늄과 리듐을 발견하였으며 이 발견은 방사능 물질에 대한 학계의 관심을 불러일으켜 새 방사성 원소를 탐구하는 계기를 마련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에도 막부에서 네덜란드하고만 무역 교류 한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에도막부는 1639년 쇄국정책을 통해 금교령을 실시하여 일본내에서 불교 신토와 마찰을 빚을 것을 우려한 기독교를 금지하고 비카톨릭 국가인 데지마의 네덜란드 선박 외 모든 서양 선박의 입항 또한 금지하였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강원도 강릉에서 전통으로 이어오는 좀상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좀상날은 지역에 따라 달리 부르는데 강원도에서는 좀상날 또는 좀새이날 좀성이날이라고 부릅니다. 별이 총총하다고 그렇게 부른다고 합니다. 3월 8일은 음력 2월 초엿새로 좀생이별의 날인 좀상날이었습니다. 좀상날이 되면 좀생이별이 달을 뒤따르는 정도를 보며 한해의 풍흉을 가늠하고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신라 지증왕 이전에는 신라는 무엇으로 불렸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신라 22대 지증왕 때 신라 사로 사라 계림 등으로 통일되지 않았던 국호를 신라로 통일하였고 본인도 지증마립간으로 불리기도 하였는데 마립간을 왕이라고 바꿔부르게 한 임금입니다. 신라시대에는 왕의 호칭이 거서간-차차웅-마립간-왕으로 변화되어 왔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몽골제국은 어떻게 송나라를 침략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몽골제국의 남송 정복은 서기 1235년부터 1279년까지 천천히 착실하게 이루어졌으며 이 전쟁의 승리로 몽골은 중원 전역을 장악하게 되었습니다. 몽골과 남송은 금나라를 헙공하여 멸망시켰으나 남송은 이 기회에 북송을 되찾고자 몽골군이 지배하고 있던 개봉과 낙양을 수복하게 됩니다. 그러나 얼마지나지 않아 개봉과 낙양은 몽골군에게 되돌아갔고 몽골은 남송을 배신자로 낙인찍어 공격하게 된 것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우리나라 괴물 중 불가사리는 우리나라에만 전해지는 이야기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현존하는 생물 중에서도 추위에 특히나 강한 생물로 영하 30도 이하에서도 버팁니다. 때문에 북극과 남극 심해에 가도 흔히 볼 수 있습니다. 게다가 얕은 바다는 물론 생물이 거의 없는 심해에서도 심지어 저항력이 좋아 오염된 바다의 바닥에 불가사리와 성게만 가득합니다. 바꿔말하면 불가사리마저 없는 바다는 그 무엇도 살 수 없이 심각하게 오염된 바다라는 의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볼 수 있는 불가사리는 4종류입니다. 거미불가사리 별불가사리 빨강불가사리 아무르불가사리인데 이중 사람에게 피해를 입히는 것은 아무르불가사리입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소설 수호지의 원작작가는 누구인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수호지는 수호전으로 중국 사대기서 중 하나로 인정받는 중국의 고전소설로 이후 유행했던 무협소설의 원조로 일컬어집니다. 원나라 말 시내암이 쓰고 삼국지연의의 작가인 나관중이 손질했다는 설이 대세이지만 시내암이 실존인물이었는지는 불분명합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홍해에서 지나는 선박을 공격하는 후티반군은 어떤단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이란의 지원을 받는 예맨반군 후티는 팔레스타인을 지지하며 지난해 말부터 홍해를 지나는 상선을 공격했는데 이로 인해 전세계적으로 물류부담이 가중되고 있습니다. 이에 미국은 다국적 안보 구상인 번영의 수호자 작전을 창설해 공격 중단을 촉구했고 결국 공격을 단행하였습니다. 후티반군이라고 부르지만 자체적으로는 예맨의 정규군이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역사
역사 이미지
Q.  조선총독부는 언제 철거가 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총독부 철거 논의는 정권이 바뀔 때마다 거론되었으나 지지부진 하다가 1993년 김영삼 정권이 들어서면서 본격화되어 1995년 3월 1일 오전 10시 광복 50주년 3.1기념 문화 축제를 통해 총독부를 철거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합니다. 8월 15일 실측작업이 끝나고 총독부 첨탑을 시작으로 철거작업이 시작되어 다음 해 봄까지 완전히 철거하겠다고 발표합니다. 아울러 경복궁 복원작업도 함께 발표하였습니다. 이후 조선총독부 철거는 1996년 말에 완전히 해체되었습니다.
11111211311411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