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삼국시대 불교는 왕권강화에 어떻게 사용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연맹왕국에서 고대국가로 발전하기 위한 강력한 왕권을 확립하기 위해서는 왕위의 부자 상속제 율령반포 그리고 불교수용입니다. 그렇다면 왜 불교수용이 왕권강화일까요? 불교는 윤회사상을 바탕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건 사람들의 삶이 불공평하기 때문입니다. 신분제로 인한 불평평한 삶을 사는 것은 전생에 사람답게 살긴 했는데 그것도 등급이 나뉜다는 것입니다. 결국 신분제의 불평등은 사회적 문제가 아니라 전생을 제대로 살지 않았던 본인의 문제가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불공평한 신분제도를 겪으면서 불평하지 않도록 만든 것입니다. 그렇다면 왕은 어떤 존재일까요? 부처가 될 수 있었으나 살짝 부족해 왕이 된 것으로 인식하여 왕=부처 왕즉불 사상으로 왕권이 강화되는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일본은 역사상 한번도 식민지가 된적이 없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본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1952년까지 미국의 점령기를 당해왔지만 어느 나라의 식민지가 된 적이 없습니다. 일본 본토가 먹을 것이 없고 자원도 풍부하지 않아 왜구들의 노락질로 연명해왔기 때문입니다. 서구 열강 제국주의자들도 이런 일본을 침략하려고 하지 않았으며 동서양으로 이동하는 거점으로 삼았을 뿐입니다.
역사
2023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에베레스트 산을 처음으로 등반에 성공한 사람은 누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최초 등정은 1953년 영국의 힐러리 경입니다. 이후 50년 동안 2002년 12월까지 1660여 명의 산악인이 에베레스트 정상을 밟았습니다. 최연소 에베레스트 등정 기록은 미국의 조던 로메로로 13세이던 2010년에 세웠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조선초기 유교와 후기의 유교는 어떻게 달라졌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초기의 성리학은 새 왕조의 개창을 둘러싸고 두갈래의 흐름이 있었습니다. 하나는 사장을 중시하면서 현실의 정치 경제에 보다 관심을 지닌 관학파이고 다른 하나는 경학을 중시하여 유교의 기본 이념에 충실한 사학파 학풍이었습니다. 조선 왕조를 개창하면서 신진 사대부들은 전통적인 유교와 불교 도교의 폐단을 시정하고 성리학을 바탕으로 조선의 개국을 이루고자 한 정도전 등의 관학파가 주도하였습니다. 관학파는 세조의 왕위찬탈로 일부는 낙향하고 일부가 훈구파가 됩니다. 이후 성종 때 낙향했던 인사들을 등용하는데 이들이 사학파 또는 사림파라고 불립니다. 사림파들은 예를 중시하는 사람들로 낙향하여 때를 기다려며 인재를 양성하고 있었습니다. 성종은 훈구파를 견제하기 위해 사림파를 중용한 것입니다. 이후 사화-붕당-예송논쟁-환국정치로 이어집니다.
역사
2023년 12월 29일 작성 됨
Q.
세종대왕은 왜 한글을 창제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입니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1443년 창제하고 1446년 반포했습니다.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맞지 않아 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하여도 제 뜻을 시러펴지 못하느니라 내 이를 어여삐여겨(불쌍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즐겨 사용하게 하노라는 문장에서 알 수 있듯이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을 엿볼 수 있습니다. 말은 가까이 있는 사람에게만 통할 뿐이었기에 글로 소통하거나 기록을 남기려면 문자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521
522
523
524
52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