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2월 26일 작성 됨
Q.
하나회는 어떻게 다 정리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 군대 나아가서 대한민국 국가 자체를 근본부터 흔들어 놓았던 비밀 사조직 하나회 이들의 가입 의식은 비밀리에 치러졌고 서약을 위반할 때는 인격말살까지도 감수한다는 배신방지 조항까지 만들어 마치 조직폭력배와 다름없는 군부 내 패거리를 만들었습니다. 3당 합당으로 속내를 감춘 채 하나회 숙청에 칼을 갈던 김영삼이 노태우에 이어 대통령 자리에 올라 문민정부가 들어서고 1993년 김영삼 전 대통령의 주도로 전격 숙청되어 완전하게 해체되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6일 작성 됨
Q.
강희제의 적장자인 윤잉은 왜 역모를 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690년 청나라 4대 황제 강희제의 제1차 가르단 원정 때 황태자 윤잉은 대리청정을 하고 있었으나 원정 도중 강희제가 말라리아에 걸리자 제3황자 윤지와 더불어 강희제를 문병하라는 전갈을 받았습니다. 그러나 부황을 간병하면서 슬픈 기색을 비치지 않아 노한 강희제는 윤잉을 북경으로 보내고 근신하게 했습니다. 그후 윤잉은 아버지 대신 태묘에 제례를 책임지는 등 아버지의 신임을 회복하고 정무를 맡았습니다. 강희제가 다시 몽골을 통합하고 티베트와 연합하여 청나라를 압박하려는 가공할 계획을 세우고 있던 준가의 칸인 가르단을 치기 위해 출정하자 윤잉이 대리청정을 하게 되고 또 강희제는 중병에 걸리자 황위를 윤잉에게 양위하고 자신은 태상황제로 물러나겠다는 의사를 표합니다. 윤잉은 20대까지는 똑똑하고 빈틈없이 정무를 처리했으나 30대 이후부터는 환락과 엽색행각을 즐겨가며 타락해 갔습니다. 이에 강희제의 신임을 얻지 못했고 1황자 윤시와 8황자 윤사를 부추기는 세력 등으로 황위계승 싸움이 전개되었습니다. 결국 계락에 의해 윤잉은 황태자에서 물러나게 되었지만 뒤에 진실을 알게 된 강희제는 윤시를 냉궁에 가두고 윤사를 가택연금하여 뉘우치게 됩니다.
역사
2023년 12월 26일 작성 됨
Q.
여성 시민들은 군 복무 의무가 없는데, 이에 대한 근거나 역사적 배경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대한민국 헌법 제39조 1항 모든 국민은 법률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병역의무를 진다. 2항 누구든지 병역의무로 인하여 불이익한 처우를 받지 않는다.대한민국 병역법 제3조 1항 대한민국 국민인 남성은 헌법이 정하는 바에 따라 병역의무를 성실히 수행하여야 한다. 여성은 지원에 의하여 현역 및 예비역으로만 복무할 수 있다. 병역의무는 대한민국 헌법에 준거하여 만 18세 이상 남성 국민에게 부여되는 의무로 국방의 의무의 하위개념입니다. 6.25전쟁 이후인 1951년부터 시행되었습니다. 창군 당시 바로 징병제를 실시하지 못했던 이유는 당시 대한민국이 일본으로부터 독립한 지 얼마되지 않았기 때문에 징병이 일본군 강제징용과 같은 뜻으로 쓰였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당시 국민정서상 바로 시행하지 못했습니다. 병역의 의무를 정하는 틀은 법률에 준거하는데 대한민국은 병역법 제3조 1항이 그것입니다. 18세가 된 남성 국민 중 심신과 조건이 일정 수준을 모두 충족하면 현역 대상에 포함되며 1년 6개월간 복무해야 합니다.
음악
2023년 12월 26일 작성 됨
Q.
마요네즈는 어느 나라에서 만든 음식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식초와 기름에 유화제를 첨가하여 만든 프랑스식 반고체형 드레싱 이제는 드레싱은 물론 굉장히 다양한 곳에서 음용되는 다용도 소스가 되었습니다. 마요네즈는 프랑스어이며 영어 발음은 메이어네이즈 일상에서는 짧게 메이요(mayo)로 칭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2월 26일 작성 됨
Q.
우리나라 현대 공무원 시험은 언제부터 실시되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정부조직에 종사할 공무원을 임용할 때 그 선발하는 도구가 되는 시험입니다. 우리나라는 고려 광종 9년부터 시작된 과거제도가 효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과거제도는 조선시대에 확충 발전하였고 일제강점기에는 근대적 시험제도인 고등문관시험 보통문관시험 등이 시행되었습니다. 대한민국 정부 수립 이후에도 고등고시 보통고시 등 일제강점기와 유사하게 실시되었습니다. 그리고 1960년대 이후부터는 자격시험이라기 보다는 임용의 목적에 국한한다는 성격을 뚜렷이 부각시킨 공무원임용시험제도를 발전시켜왔습니다.
536
537
538
539
5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