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전문가입니다.
김기태 전문가
보성고등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역사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사회주의가 생격난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러시아에서는 1917년 2차례에 걸친 혁명이 일어나게 되는데 1차 혁명은 챠르(황제)체제를 무너뜨린 것이었고 2차 혁명은 1차 혁명에 성공했던 민중 사이에 분열이 일어나 가진 자들인 멘셰비키(소수파)와 못가진 자들인 볼셰비키(다수파) 사이에서 볼셰비키가 승리하여 일명 볼셰비키 혁명으로도 불립니다. 프롤레타리아(소작농이나 노동자를 구성)를 위한 사회 즉 계급이 없는 민중을 위한 사회를 추구하고자 소비에트사회주의인민공화국(USSR)이 세워지면서 사회주의 체제가 이뤄진 것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31일 작성 됨
Q.
한국과 북한은 앞으로 통일 가능성이 높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남북으로 분단된지 77주년이 지났습니다. 우리나라는 혼합형 분단국가로 국제형 분단(강대국들에 의해 분단된 독일)과 내전형 분단(베트남)국가와는 다른 두 유형이 혼합된 분단국가이기 때문에 통일이 훨씬 어렵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니나라는 통일이 되어야만 합니다. 1000만 이산가족들의 인간적인 고통을 해소하고한민족의 유구한 역사를 가진 민족으로서도 통일을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반통일세력들을 척결하고 단일민족로서 우뚝서기 위해서도 통일을 이루어져야만 합니다. 남한의 우수한 과학기술력과 북한의 풍부한 지하자원이 결합되면 세계 제1의 국가로 도약할 수 있는 기반을 갖추게 됩니다. 독일과 베트남은 통일이 되었으니 우리나라가 통일이 된다면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한 이데올로기에 의한 분단국가가 모두 통일이 되어 세계평화와 인류문화발전에 이바지 하게 될 것입니다. 이런 이유로 통일은 반드시 이루어져야 합니다.
역사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조선시대에 불교는 왜 탄압을 받았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려는 숭불책을 바탕으로 국가의 이념으로 삼아서 팔관회와 같은 불교행사가 많고 불교가 일상생활과 정신적 지주역할을 했으나 조선은 건국초기부터 성리학에 바탕을 둔 숭유억불책을 써서 불교를 탄압하고 성리학에 바탕을 둔 국가의 이념과 생활의 근간을 이루고자 했습니다. 따라서 불교는 왕과 귀족들 사이에만 유행하였던 일반 백성들은 접하기 어려웠고 탄압받던 불교의 절들은 산속으로 숨어들 수 밖에 없었습니다.
역사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최초 문명의 발생은 언제 일어났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문명의 발상지는 4곳입니다. B.C3000년경 나일강 유역의 이집트문명 B.C6500년경 티크리스강과 유프라테스강의 메소페타미아문명 B C3000년경 인더스와 갠지스강의 인더스문명 그리고 B.C.5000년경 황하강의 중국문명입니다.
철학
2023년 1월 30일 작성 됨
Q.
우파 좌파라는 말이 생긴 이유는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는 해방을 전후하여 진보세력과 보수세력 간의 갈등이 아주 심했습니다. 해방 전후 우리나라의 5명의 지도자(극좌 박헌영 중도좌파 여운형 중도파 박규식 중도우파 김구 극우 이승만) 중 민족주의자들인 김구 김규식 여운형 등이 암살 당하고 극좌와 극우만 남은 상황에서 극심한 갈등의 길에 들어선 것입니다. 그때부터 진보개혁을 추구하면 좌파로 보수온건세력들은 우파로 불리웠지만 사실 진정한 좌파도 진정한 우파도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29일 작성 됨
Q.
실미도의 역사적 배경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실미도사건은 북한 정찰국 소속 김신조 등 31명의 무장게릴라가 청와대를 습격하여 박정희 전대통령을 제거하려고 벌이다 실패한 1968년 1.21사태로 인해 1968.4월경에 생겨난 부대로 공군 684부대의 별칭입니다. 북한과 같이 남한에서도 특수훈련을 받은 군인을 북한에 침투시켜 김일성을 제거할 목적으로 창설한 부대입니다. 혹독한 훈련의 과정을 거쳐 평양에 침투해 공을 세우고자 한 열망이 1970년대 데탕트(긴장왼화) 시기로 접어들면서 남북한 화해분위기 속에 이런 부대가 있었다는 사실을 외부에 알려지기를 원치않았던 상급자들로 인해 부대는 해체되고 실미도 요원들은 무명의 용사로 전락되면서 항의하던 부대원들이 죽임을 당하고 살아남은 4명의 전사들도 법정에서 모두 사형선고로 목숨을 잃은 역사적으로 불행한 사건입니다.
역사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새마을운동은 왜 진행한건가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970년에 초가집지붕도 기와로 바꾸고 마을길로 넓히기 등과 같은 생활환경개선과 소득증대와 의식개혁을 기조를 시작되었고 근면 자조 협동이라는 기치를 내세운 전국민 운동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일정부분 성공적이라는 면을 기지고 있었으나1988년 5공청문회 당시에 부정부패가 드러나면서 그 민낯이 드러나고 맙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근현대화를 이루기 위한 농촌 개선 운동임을 부인할 수 없습니다.
철학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고대철학은 무엇을 중점으로 두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고대 그리스 시대의 철학은 B.C600년 경 최초의 철학자인 탈레스가 만물의 근본은 물이라고 주장한 이래 더모크리토스 원자 피타고라스 숫자 아낙시메네스 공기 아낙시만도로스 무한한 것 헤라클레이토스 불 등 자연의 대상을 아르케(본질)로 보았기때문에 이들을 자연주의 사상가라고 불렀고 이후 등장한 소피스트는 인간이 만물의 근본이라고 주장하면서 상대주의적 윤리관과 진리관을 주장하였습니다. 이들이 철학사에서 공헌한 점이 있다면 인간의 관심을 자연에서 인간에게로 전환시켰다는 점입니다. 소피스트와 대척점에 서서 절대론적 윤리관과 진리관을 주장한 소크라테스가 있습니다.
역사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일본으로부터 어떤 독립 운동을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유관순 이준 열사처럼 비폭력적이고 평화적으로 민족독립을 위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독립운동을 전개하기도 하고 안중근 윤봉길 이봉창 의사 등과 같이 무장투쟁을 통해 독립운동을 하다 순국하신 분들도 계시며 박은식 선생처럼 애국 계몽 운동을 전개하기도 했습니다.
역사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동독과 서독이 통일이 되면서 어떤 역사적 의의를 가졌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제2차 세계대전의 결과 분단이 된 대표적인 분단국가 3개국을 들 수 있습니다. 첫번째 나라는 베트남으로 남베트남과 베트콩의 전쟁으로 분단이 된 나라로 내전형 분단구가이며 다음은 독일로 강대국들에 의해 강제로 분단된 국제형 분단국가입니다. 세번째로 우리나라를 들 수 있는데 우리나라는 6.25전쟁도 치뤘고 강대국들의 이해관계도 얽혀있어서 혼합형(내형형+국제형) 부난국가입니다. 베트남이나 대한민국은 내전을 치뤘기때문에 전쟁의 상흔들이 남아있지만 독일은 강대국들에 의해 이념적으로 강제 분할되었기때문에 통일은 탈이데올로기 시대의 커다란 선물이며 기쁨으로 자리잡았을 것입니다
676
677
678
679
6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