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수채 전투는 어떠한 전투였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010년 11월 25일부터 12월 초까지 전개되는 통주전투는 삼수채전투(三水砦戰鬪)와 통주성전투(通州城戰鬪)로 구분된다. 삼수채전투는 통주성 밖에서 이루어진 전투로, 고려 강조(康兆)의 군대가 거란군에게 패하였다. 통주성전투는 삼수채전투의 승세를 탄 거란군이 통주성을 공격하여 이루어진 전투로, 중랑장(中郞將) 최질(崔質)·홍숙(洪淑) 등의 고려군이 성을 끝까지 고수하여 고려가 승리하였다.고려를 정벌하기 위하여 군사를 동원한 거란은 두 차례의 침공이 실패로 끝나자 성종(聖宗)이 친히 40만의 대군을 이끌고 다시 공격하였다. 거란군은 1010년 11월 중순에 압록강을 건너 흥화진(興化鎭)을 공격하였으나 진장(鎭將)양규(楊規)·이수화(李守和) 등의 완강한 저항으로 인하여 성을 함락하는 데 실패하였다. 이에 11월 23일 군사를 통주로 옮겨 25일부터 12월 초까지 이곳에서 고려와 거란 사이의 전투가 재개되었다.당시 통주에는 행영도통사(行營都統使) 강조가 군사 30만 명을 거느리고 거란에 대비하여 진을 치고 있었다. 강조 휘하의 고려군은 통주성을 나와 청강의 3개 지류가 합쳐지는 합수목인 삼수채 지역에서 거란군을 만나 초반에는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초반의 우세에 자만한 강조가 전장에서 장기를 두는 등 지휘를 소홀히 하였고, 이때 거란의 야율분노(耶律盆奴)가 삼수채를 기습 공격하여 강조를 생포하고 3만여 급을 베었다.거란군은 삼수채전투의 승세를 타고 통주성까지 공격하였으나 중랑장 최질·홍숙과 방어사(防禦使) 이원귀(李元龜), 부사(副使) 최탁(崔卓) 등이 성을 굳게 지켜 결국 성을 함락시키지 못하고 부근의 여러 다른 성만을 점령하게 되었다.삼수채전투에서 고려군을 총지휘한 강조의 패배는 이후 전쟁 전반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고려는 거란이 침입하자 그해 10월 주력부대 30만 군을 통주에 배치하여 거란군을 저지·격퇴하고자 하였다. 전쟁 초기 흥화진 전투의 승리로 고려는 전투준비에 필요한 시간을 획득함과 동시에 거란군의 전력을 분산시키는 효과를 얻었다. 그러나 강조가 거란군의 역량을 간과하고 얕보아 삼수채 전투에서 패퇴함으로써 고려는 많은 인명피해를 입었고 결국 곽주(郭州)·안주(安州)·숙주(肅州)에서 장수들이 도망치는 사태가 벌어졌다. 이로 인해 곽주가 점령되었고 단기간 내에 거란군은 청천강 이남을 넘어 개경까지 공격하게 되었다.그러나 통주성전투에서는 고려가 승리하였는데, 이는 통주의 군·민(軍民)이 외적에 완강히 저항하였음을 뜻하는 것이라 하겠다. 반면 거란군은 통주성을 점령하지 못함으로써 후방통로가 차단되고 회군할 경우 반격의 발판을 제공하게 되는 부담을 안게 되었다.삼수채전투전투에서 패배한 병력은 그해 12월 16일에 흥화진의 양규에게 합세하여 다음날 거란군의 선두가 서경을 공략하고 있는 동안 이들에게 함락된 곽주를 공격, 거란 주둔군을 격멸하여 성을 다시 빼앗는 데 큰 공을 세웠다.
Q. 우리나라의 전통소스인 된장 고추장은 언제부터 만들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1] 된장- 한국인의 식생활에서 가장 애용되는 부식 내지 조미료로서 모든 음식의 기본- 탄수화물을 주식으로 하는 식문화 → 콩은 단백질과 지방의 공급원으로 매우 중요한 식품재료- 콩발효식품인 된장은 우리 음식에 맛과 영양을 공급하는 소중한 식품- 된장의 5가지 덕1. 된장은 다른 맛과 섞어도 제맛을 잃지 않는다2. 오래두어도 변질되지 않는다3. 비리고 기름진 냄새를 제거해 준다4. 매운맛을 부드럽게 해준다5. 어떤 음식과도 잘 조화된다- 된장의 종류1. 재래식 된장 - Bacillus subtilis가 주로 관여하는 메주로 만든 조선간장의 부산물2. 일본된장 - 콩과 Aspergillus를 번식시킨 밀코지를 이용하여 제조3. 개량된장 - 재래식과 일본식 방법을 혼용해서 공장에서 대량으로 제조[2] 고추장- 콩과 전분질에 고추가루를 혼합해서 발효시킨 우리 고유의 발효식품- 구수한맛, 단맛, 매운맛, 짠맛 등이 조화된 독특한 색을 가지면서 영양적으로 우수한 발효식품- 고추가 유입된 16세기 이후에 개발된 장류- 고추장의 종류찹쌀고추장, 멥쌀고추장 등이 있으며 제조방법에 따라 전통고추장과 개량고추장으로 나뉨- 고추의 성분고추의 매운맛 성분은 capsaicin(캡사이신)이며 붉은색 성분은 capsanthin → 고추장의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침- 고추의 매운맛 성분은 향신료 및 건위제로 쓰임
Q. 추상미술이 탄생하게 된 배경과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일반적으로 그 표현이 물적(物的) ·객관적인 대상을 떠나, 주관적 순수 구성을 표시하는 미술.이 사조는 이미 낭만주의의 시대에 배태(胚胎)되었으나, 예술가가 의식적 ·집중적으로 지향하게 된 것은 20세기에 들어서면서부터이며, 흔히 1910년의 칸딘스키의 작품을 그 출발점으로 한다.추상이라는 관념을 처음 체계화한 것은 큐비즘이다. 대상을 분석적 ·구성적 ·기하학적으로 파악한 것이 이 운동이었고, 들로네의 오르피즘(orphisme)도 몬드리안의 데 스틸(De stijl)도 오장팡과 르 코르뷔지에의 퓌리슴(purisme:순수주의)도 모두 큐비즘의 이념 없이는 생각할 수 없기 때문이다. 그 점에서 추상미술은 명백히 관념미술이며, 엄밀한 의미에서 오너먼트[裝飾文樣]와도 구별되어야 한다. 추상미술에는 순기하학적 ·주지주의적 경향과 낭만주의적 ·표현주의적 경향이 있다. 전자는 들로네와 몬드리안 등이고, 후자는 칸딘스키와 클레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제2차 세계대전 후 일시 명명(命名)된 ‘뜨거운 추상’이 표현주의적이며 격렬한 색채의 약동을 추구하고, 한편 ‘차가운 추상’이 이지적(理知的)인 공간을 추구하는 것을 보아도, 추상미술이 지성에 중점을 두는가, 감정에 중점을 두는가에 따라서 크게 나누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추상미술은 초현실주의에도 영향을 주었다. 그것은 초현실주의의 유력한 무기인 오토마티슴(automatisme:자동기술법)은 설사 보는 사람이 거기에 갖가지 기지(旣知)의 영상(映像)을 찾아냈다 하더라도 제작의 과정 그 자체는 순수한 추상적 충동에 가깝기 때문이다. 다만 레오나르도 다 빈치를 효시로 하는 몇몇 선구적(先驅的)인 추상적 작품을 보아도, 인간이 자연과 멀어지는 것이 얼마나 어려운 것인가를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