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우리나라는 언제부터 빵을 먹기 시작 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에서 빵이 처음 소개된 시기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 근대적인 빵의 생산과 판매는 조선 후기, 특히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었습니다. 이전에는 죽과 떡, 볶음밥 등이 주요한 탄수화물 식품으로 섭취되었습니다.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이 운영하는 빵집이 들어서면서, 당시 일본에서 유행하던 빵들이 우리나라에도 소개되었습니다. 또한 일제강점기에는 일본인들의 빵 생산 기술이 우리나라에 도입되어, 대규모 생산 및 유통이 이루어졌습니다. 이후에도 빵은 우리나라에서 일반적인 식품으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빵의 소개와 생산이 시작된 시기 이전에도, 예로부터 꿀떡과 같은 찹쌀떡이나 꽈배기 등 유사한 음식들은 존재했습니다. 이러한 음식들은 빵의 성분과 비슷한 탄수화물을 제공하므로, 일종의 빵으로 간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근대적인 빵과는 구성과 제조 방법에서 차이가 있으며, 빵의 생산과 유통이 대규모로 이루어지게 된 것은 일제강점기 이후입니다.
Q. 발해국은 지정학적 위치로 인해서 무역이 발달했다던데 주요 무역물품이 뭐였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발해는 일본과의 교류를 중심으로 다양한 무역 활동을 전개했습니다. 발해가 수출했던 대표적인 상품으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직사각형의 비단발해는 비단 생산이 발달해있는 지역으로 유명했습니다. 특히 직사각형 모양으로 만든 비단은 일본을 비롯한 국외로 수출되었으며, 후에는 중국에도 수출되는 등 광범위한 무역망을 형성하였습니다.화강암발해는 화강암 생산이 풍부한 지역으로서, 고대 일본의 궁궐과 신사 등에 사용되는 화강암을 대량으로 수출하였습니다.녹슨 철제품발해는 철을 채굴하고 생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이를 활용하여 녹슨 철제품을 생산하여 수출했습니다. 이는 당나라와의 무역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당나라의 역사 기록에서도 언급되어 있습니다.진주발해는 진주 양식이 발달한 지역으로서, 진주를 생산하여 일본 등으로 수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발해는 진주의 중요한 생산지로 자리매김하게 되었습니다.이 외에도 발해는 고려, 당나라, 일본 등과 다양한 상품을 교환하며 무역 활동을 전개하였습니다.
Q. 조선 시대에 지어진 소설 중 중국이 배경인 경우가 많은 이유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 시대에 지어진 고전 소설 가운데 중국을 배경으로 한 것이 많은 이유는 당시 조선이 중국 문화권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입니다. 조선 시대의 문화는 중국 문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으며, 문인들은 중국 문학을 수도 없이 번역하고 읽으며 중국 문학의 영향을 크게 받았습니다.또한, 조선 시대의 사회는 출신 직업에 따라 사회적 계층이 엄격하게 나뉘어져 있었습니다. 그러나 중국을 배경으로 한 소설에서는 이러한 계층 구조가 상대적으로 완화되어있어, 작가들은 중국을 배경으로 삼아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에 적합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또한, 조선 시대에는 중국을 포함한 동북아시아 지역 각국 사이에서 교류가 활발했습니다. 이러한 교류는 문화, 경제, 정치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일어났으며, 이는 조선의 문학 작품에도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따라서, 조선 시대의 고전 소설에서 중국을 배경으로 삼고, 등장인물을 중국인으로 설정한 것은 중국 문화의 영향력과 교류, 그리고 다양한 이야기를 풀어나가기에 적합하다는 판단 등이 작용한 결과라고 할 수 있습니다.
Q. '연 날리기'는 언제 시작하였고, 어느 나라의 문화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연 날리기는 아시아권에서 일반적으로 축제나 결혼식, 상설적인 축제 등에서 즐기는 놀이 중 하나입니다. 연을 날리는 목적은 주로 기분 좋은 행운을 가져다주고 악마와 같은 해로운 정신적 혹은 물리적 영향으로부터 보호를 받기 위한 것입니다.연 날리기의 기원은 정확하게 알려져 있지 않지만, 일부 역사학자들은 중국의 탕나왕 시대(BC1600-BC1046)에 이미 연을 날렸다는 기록을 발견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인민해방군 창건 초기(1949)에 중국에서는 선전포고와 경보를 위해 연을 날렸다는 기록도 있습니다.하지만 연 날리기는 중국뿐만 아니라 일본, 한국, 인도, 네팔 등 아시아 지역의 다른 나라에서도 매우 인기 있는 놀이입니다. 각 나라마다 연 날리기에 대한 전통과 의미가 조금씩 다를 수 있습니다.따라서, 연 날리기의 기원과 목적에 대한 정확한 기록은 없지만, 오랜 역사와 문화적 전통을 갖춘 아시아권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 놀이 중 하나입니다.
Q. 카톨릭과 동방정교는 어떤 차이점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동방정교회는 서방 정교회(카톨릭과 프로테스탄트)와의 분리 이후 자신들의 독특한 교리와 의식을 발전시켜왔기 때문에, 서방 정교회와는 여러 차이점이 있습니다.먼저, 동방정교회에서는 교리적으로 "천주교(Catholic)"라는 용어를 사용하지 않고 "정교(Catholic)"라는 용어를 사용합니다. 이는 "전 세계적인"이라는 뜻의 공동체와 "정통성 있는"이라는 뜻의 교리를 강조하기 위함입니다.또한, 동방정교회는 로마 교황의 권위보다는 각 지역의 주교와 시무장로(고위성직자)들의 권위를 강조합니다. 이는 로마 교황의 권위가 상대적으로 약하고 지방 주교들의 권위가 강한 동방 교리 전통에 기인한 것입니다.동방정교회와 서방정교회의 의식적 차이점으로는, 예를 들면 대부분의 동방 정교회에서는 일반적으로 현존하는 로마카톨릭의 라틴어 의식(Latin Rite)과는 다른 별도의 의식을 사용하며, 또한 정교회에서는 대개 이미지 중심적이고 체험 중심적인 의식적 전통이 강조됩니다.마지막으로, 동방정교회는 이미지(아이콘)와 그림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이미지는 성경의 내용과 정교회의 전통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으로 사용되며, 서방정교회에서 표준적으로 사용되는 크로스(십자가)와 달리, 동방정교회의 크로스는 선과 원이 교차한 형태를 하고 있습니다.이러한 차이점들로 인해, 동방정교회와 서방정교회는 각자의 고유한 교리와 의식을 발전시켜 왔으며, 서로 상호 작용하면서도 독자적인 방식으로 발전해 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