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조선시대에는 평민들은 날짜를 어떻게 인지할수 있었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에는 해가 바뀌는 것과 날짜를 계산하는 것이 중요한 사항으로 인식되어 있었기 때문에, 이를 인지하기 위한 방법들이 사용되었습니다.우선, 조선시대에는 해와 달의 움직임을 관찰하여 날짜와 계절을 파악하는 천문학적 기술이 발달했습니다. 예를 들어, 해가 동쪽에서 뜨는 시간과 서쪽으로 질 때의 시간을 측정하여 일출과 일몰 시간을 계산했고, 이를 토대로 윤년을 추가하거나 제외하는 등의 연구가 이루어졌습니다. 또한, 달의 상태와 움직임을 관찰하여 음력을 만들고, 음력과 양력을 조합하여 양음력을 사용하는 등의 방법이 사용되었습니다.또한, 조선시대에는 날짜를 계산하기 위한 도구로 달력봉이라는 도구가 사용되기도 했습니다. 이는 일정한 간격으로 구멍이 뚫려있는 막대를 사용하여 날짜를 계산하는 도구로, 달력봉을 이용한 계산법은 일상생활에서도 많이 사용되었습니다.또한, 세시, 석시, 병시, 무시 등 시를 나누어 하루를 12시간 단위로 나누는 시간 계산법도 사용되었습니다. 이를 통해 낮과 밤을 구분하고, 특히 세시를 기준으로 하는 이 출퇴근 시간이 오늘날의 9시에서 5시까지의 근무시간과 유사한 형태로 형성되었습니다.이처럼, 조선시대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날짜와 시간을 계산하는 기술과 방법이 발전하여, 시간과 날짜의 인식과 활용이 가능했습니다.
Q. 조선시대의 신문고 제도는 조선사회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조선시대의 신문고 제도는 사대부와 중인, 노비 계급 등 사회 계층 간의 충돌을 조정하고 대외 사안을 처리하기 위해 설치된 제도였습니다. 이러한 제도는 조선시대의 사회와 정치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습니다.조선 초기에는 관료 제도와 함께 신문고 제도가 마련되어 있었으며, 국왕이 직접 국정을 처리하는 왕궁 신문고와 선비들이 국정 문서를 검토하는 사헌부 신문고로 구분됩니다. 이후에는 이 둘을 합쳐서 대신부 신문고로 통합되었습니다.이러한 신문고 제도는 사회 계층 간의 갈등을 조정하는데 효과적인 역할을 했으며, 외교 문제와 군사 문제 등 국가의 중요 사안을 처리하는데도 큰 역할을 했습니다. 또한, 조선 왕조의 사회 제도와 체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관료 집단인 노론과 문하사관의 인재 양성과 역할도 중요하게 다뤘습니다.하지만, 신문고 제도가 조선사회에 미친 영향은 전적으로 긍정적이지는 않았습니다. 예를 들어, 신문고에서 일어난 부정부패나 오용 등의 문제로 인해 국가의 신뢰를 잃는 경우도 있었으며, 그로 인해 조선시대 후기에는 신문고 제도가 약화되는 추세를 보였습니다.
Q. 일본역사를 보면 사무라이들이 한축을 담당하는데요 그들이 강조한 사무라이 정신은 어떤것을 의미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사무라이 정신은 일본의 전통적인 군사적 코드로, 명예, 충의, 성실, 용기, 인내 등의 미덕을 강조합니다. 일본 역사에서 사무라이는 무장한 전사 계급으로 여겨지며, 높은 도덕적 가치를 존중하며 전통과 예절을 따르는 것이 중요하다는 신념을 가지고 있습니다.사무라이 정신은 '부시도'라고도 불리며, 이는 '전사의 길'을 의미합니다. 이 길은 군사적인 측면에서만 강조되는 것이 아니라, 일상적인 생활에서도 적용되며, 인간관계나 일의 처리 등에도 적용됩니다. 사무라이들은 이러한 부시도의 가치를 고수하고 실천하면서, 전통과 예절, 군사적 덕목을 지켜나갔습니다. 이러한 사무라이의 가치는 일본 사회에서 지금도 매우 중요하게 여겨지고 있습니다.
Q. 예수님은 정말 실존인물이 맞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예수님이 역사적으로 실존한 인물인지 여부는 학계에서도 논란이 있으나, 대부분의 학자들은 예수님이 실존한 인물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예수님이 일으킨 기적들에 대해서는 그 실제성 여부에 대한 논란이 있을 수 있지만, 기독교 신앙에서는 예수님이 하신 기적들이 진실하다고 믿어지고 있습니다.예수님의 기적 중 일부는 병을 낫게 하는 것, 빵과 생선으로 많은 사람들을 먹이는 것, 물 위를 걷는 것, 죽은 사람을 부활시키는 것 등이 있습니다. 이러한 기적들은 예수님의 신성성과 권위를 입증하기 위해 일어났다는 것이 기독교 신앙에서의 해석입니다.그러나 역사적으로 그 기적들이 진실하게 일어났는지 여부는 학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논란은 종교적인 신념과 역사적 증거 사이의 갈등에서 비롯된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