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동욱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욱 전문가입니다.

김동욱 전문가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작은 가게를 운영하고있는 영세 사업자 입니다. 수입이 적어 고민 이지만 작게라도 재테크를 시작하려합니다. 어떤것 부터 시작하면 좋을지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무자본으로 할수 있는 앱테크 추천 드립니다.간단 설치로도 적게는 100원 많게는 10,000원을벌수 있습니다. 한달 꾸준히 하루에 1시간만 투자하시면 15만~20만원은 법니다. 앱테크는 인터넷만 쳐보면 엄청 많습니다. 보상이. 제일 많은 앱으로 2~3개 시작하세요.그리고 꾸준하게 공모주 신청하세요. 공모주 요즘 받기가 힘들지만 받는다고 치면 치킨, 족발 값은 충분히 나옵니다. 이 두개만 잘 병행하시면 한달에 30만원 이상은 법니다.
예금·적금
예금·적금 이미지
Q.  예적금 납부일보다 빨리 입금하면 이자가 더 붙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아닙니다. 납부일보다 더 빨리 입금하신다고 이자가 더 붙거나 만기일이 앞당겨지지 않습니다.다만, 납부일보다 입금이 늦어진다면 늦어진 일수 만큼 만기가 지연됩니다.(정상적인 만기일때보다 이자를 덜 받게 됨)
대출
대출 이미지
Q.  금리가 오르면 대체적으로 은행들 장사가 잘되나요? 아니면 대출이 줄어들어 나빠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금리가 오르면 무조건이라고 볼수 없지만, 99%는 흑자입니다.은행의 수익은 여러가지 다각화 되어가지만가장 수익의 원천은 예대마진 장사입니다.고객에게 예금을 예치 받아서 그 돈으로 다른 고객에게 빌려주는 것이지요. 예금금리가 4%라고 하면 대출금리는 6%로 나간다면 예대마진이 2%라고 볼수 있습니다. 작년처럼 이자가 급격하게 오른다면 이 예대마진 비율은 급격하게 올라갑니다. 비율이 오르면 오를수록 수익은 더 많아지는 것이지요.예금금리도 오르고 대출금리도 오르는데 왜 예대마진이 올라가나요? 라고 생각하실수 있는데 예금은 정기예금 뿐만아니라 고객님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시는 보통 통장도 포함되기 때문입니다. 이런 언제든지 입출금이 가능한 통장은 금리를 거의 제공하지 않습니다. 이런 돈을 고객에게 대출을 해준다면 그만큼 은행에 수익을 주는 것이지요.그리고 예금은 보통 1년 단위입니다. 하지만 대출은 변동금리가 대부분이라 그 주기가 3개월 6개월로 짧습니다. 그렇기에 금리가 짧은 시간동안 급격하게 오른다면 은행은 거의 무조건 수익을 본다고 볼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고금리 정책이 계속된다고 은행이 좋아하지 않습니다. 부담이 늘어나는 만큼 연체율도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그밖에 수많은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런것을 의식해서 이번정부에서는 금리인상을 억제하는 분위기 입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2023년 한국증시 어떻게 진행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결론부터 말씀드리지만 어느 누구도 모릅니다.워렌버핏이 오더라도 어떤 종목이 오를지, 어떤 섹터가 오를지 전망이 좋을지 알수 없습니다.세계증시가 오른다고 하더라도 한국증시는 오르지 않을수도 있습니다. 각 증권사들도 올해의 긍정적으로 보는데도 있고, 부정적으로 보는데도 있습니다.이런 상황에서 제 개인적인 의견은 드론 및 AI관련주를 주목해 볼 필요가 있을것 같습니다. 그리고 바이오가 굉장히 많이 떨어졌는데, 이제는 주목받을때가 된것 같습니다. 장기적으로 본다면 수소관련주도 좋아보입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 분할말고 병합의 경우 호재?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주식은 개별종목 상품입니다. 호재일수도 있고, 회사사정에 따라 악재일수 있습니다.모든경우가 동일하다고는 보지 않지만, 주식병합의 경우 주가가 너무 낮아져서 어쩔수 없이 하는경우가 대부분입니다.액면가 500원 짜리을 2:1로 병합하면 액면가 1000원이 되지만 자본상의 변화는 없습니다. 주식수만 변경될 뿐이지요. 주식 감자를 하지 않는 이상, 현 주가 시점으로만 판단해서 병합을 하면 회사성장에 의지를 내포하기에 그나마 호재로 보기도 합니다. (물론 이 지경까지 갔으면, 회사사정이 너무 안좋을 겁니다)하지만, 위기의 기업들은 병합보다는 감자를 합니다.병합해서는 주식수 말고는 아무것도 변하는것이 없기 때문이죠.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주식투자를 하면서 꼭하지말아야할것 세가지만 조언받을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오를때 사고 내릴때 파신다고 하시는것은달리는 말에 타시는것 같습니다.질문자님은 아마 직장인이시거나 사업자 이실거라 생각합니다. 주식투자를 함에 있어서 조급함을 느끼시면 절대 안된다고 생각합니다.1. 조급해 하지마세요변동성이 심한 주식은 상승폭도 큰 편에 하락폭도 큽니다. 상한가간 주식은 언제든지 하한가도 갈수 있습니다. 호재가 악재가 되는건 한순간이거든요. 중장기적으로 저평가된 종목을 찾고 가치투자하세요.2. 저평가된 종목을 찾기위해 공부하시기 바랍니다주식을 하면서 가장 안타까운게 주식을 하는 대다수가 주변의 말, 종토글에 게시글, 그냥 오른 주식등 남들이 사니까 사는 경우가 허다하다는 것입니다. 주식은 믿을만한 파트너에게 내 소중한 돈을 투자하는 것입니다. 그 파트너가 빚이 얼만지, 얼마나 사업을 잘해왔는지, 투자받은 돈으로 뭘 해왔는지 요즘은 자세하게 확인 할 수 있습니다. 다트에 확실하게 표시되어 있으니 재무상태를 대략적으로도 확인할수 있는 공부를 병행하세요.3. 끊임없이 멘탈을 잡으세요.내가 오랫동안 보유한 종목이 내가 팔자마자 갑자기 상승한다고 해도 놓아주세요. 남들 2차 전지로 집사고 땅 샀다고 해도 내돈이 아니다 시장에는 언제든지 기회가 있다. 라고 생각하시고 끊임없이 멘탈 잡으세면 언제든 기회가 온다고 생각합니다. 빨리가려다가 아무거나 막 사시면 정말 기회가 왔을 때 잡지도 못합니다.멘탈을 잡는건 주식 10년차인 저도 힘들더라고요.성투하시길 바랍니다
대출
대출 이미지
Q.  금융위기의 원인과 대응 방안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만약에 모든 예금을 인출하신다고 쳐도 어디다가 보관하실 예정이신가요? 잘못보관하셔서 분실이라도 하시면 정말 큰일 나기에 현재 경제상황에서 걱정이 되신다면 예수금 보호한도 5천만원 이내로각 은행 분리해서 예치하시면 됩니다.자산이 2억이시면 신한 5천 하나 5천 우리 5천 국민 5천 이런식으로 분리해서 운영하시면 됩니다.주식이나 채권 상품을 운영중이시다면 금리변동에 대응할수 있는 헷지상품을 이용하시면 되나, 이런 상품들은 파생상품이리 잘못 운영하시면 큰 손해를 보기에 리스크가 적은 상품으로 이동하시면 될것 같습니다.역사적으로 계속 올라갈것 같았지만 계속 올라가지 않았듯이, 계속 내려가지도 않습니다. 경기는 순환 사이클을 돕니다. 은행들 지급준비여력이 충분해서 파산을 걱정할 정도는 아니지만 지역을 기반으로 한 금융업체들에서는 예수금 한도내에서 운영 하시길 추천드립니다.
주식·가상화폐
주식·가상화폐 이미지
Q.  보관 중인 달러를 투자하려고 하는데요 어떨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가까운 은행으로 가셔서 달러예금으로 예치하시는걸 추천드립니다.현재 원화 예치 금리는 3%수준인데달러 예금 금리는 4~5%로 원화예금보다 1.5% 이상은 높습니다. 원화를 달러로 바꿔서 예치하는 경우가 아니라면달러예금 추천드립니다.
경제동향
경제동향 이미지
Q.  환율 급등이유,전망은 어찌??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아무도 정확한 예측을 할 수는 없습니다.다만, 미국과의 금리차이가 너무 큽니다.미국 기준금리 5% 우리나라 기준금리 3.5%무려 1.5%의 차이가 납니다.1금융권 은행(미국)이 5%의 금리를 주고2금융권 저축은행(한국)이 3.5%를 준다면 그 누구라도 1금융권에 투자할 것입니다.국내에 있는 투자자가 모두 밖으로 빠져 나가는것이지요. 우리나라 금리가 미국과 격차가 크게 벌어지는한 고환율은 피할 수 없을것 같습니다. 1100원대 환율로 오기에는 갈길이 멀었다고 봅니다.
경제용어
경제용어 이미지
Q.  경제기사 속"LIBOR"은 어떤 용어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동욱 경제·금융 전문가입니다.런던의 금융시장에 있는 은행 중에서도 신뢰도가 높은 일류 은행들이 자기들끼리의 단기적인 자금거래에 적용하는 대표적 단기금리입니다. 리보 금리는 세계 각국의 국제 간 금융거래에서 기준금리로 활용되고 있습니다.국제시장의 기본금리 정도라고 생각하시면 되지만, 과거의 위상은 많이 사라졌습니다.
1234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