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정신과약 단약시 멜라토닌 복용해도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동인 약사입니다.도파민 길항제는 도파민 수용체를 차단하여 작용하는데, 이러한 약물을 장기간 사용 후 중단하면, 몸이 이전의 도파민 수준에 적응하는 과정에서 불안, 불면증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멜라토닌에 대해 말씀드리자면, 멜라토닌은 주로 수면-각성 주기를 조절하는 내분비계의 호르몬이 맞습니다. 중추신경계에 직접적인 억제 작용을 하는 약물이 아니며, 주로 수면의 질을 개선하고 생체 리듬을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멜라토닌은 중추신경계를 억제하는 약물로 분류되지 않습니다.갑작스러운 약물 중단보다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점진적으로 용량을 조절하는 것이 더 안전하고 효과적인 회복을 도울 수 있습니다.불안이나 불면증 등의 증상이 심하시면, 병원에 내원하셔서 의사와 상담해보시길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Q. 편두통 약 카페인 함유 효과?
안녕하세요. 김동인 약사입니다.카페인은 아이러니하게도 두통을 유발하기도, 완화해주기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두통의 원인은 굉장히 다양하겠지만, 그 중 뇌의 혈류량도 두통의 한가지 원인으로 볼 수 있습니다. 뇌로 가는 혈류량이 너무 줄어도, 너무 늘어도 두통이 유발 될 수 있는데 카페인은 뇌 혈류를 감소시킵니다. 그래서 평소 카페인 섭취량이 많으신분이 두통을 호소한다면 카페인을 줄여보시기를 권장드리는 경우가 많은 것이고, 그렇지 않은 분이라면 카페인 섭취로 두통에 긍정적인 효과를 보실 수도 있는 것입니다.뿐만 아니라, 카페인과 진통제를 함께 복용했을 때 진통제의 진통효과가 증가되는 작용도 있기 때문에 카페인이 함유된 진통제가 판매되고 있습니다.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