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김두환 전문가
부산대물리학과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휴대폰을 자주보면 눈이 나빠지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근시는 먼 거리의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고 가까운 물체는 뚜렷하게 보이는 현상입니다. 책이나 스마트폰, 컴퓨터, TV등을 가까이서 보게된다면 수정체가 가까운 곳을 보는데 적응 되버립니다. 그러면 먼곳을 볼 때 다시 수정체가 먼곳을 볼 수 있게끔 움직여야하는데 그렇지 못하여 흐릿하게 보이는 것이죠. 그래서 가까이서 전자기기나 책을 보게 되는 경우에는 주기적으로 먼곳을 응시해주거나 눈의 피로를 풀어주는 것이좋습니다. 이미 시력이 나빠진 경우라면 멀리 있는 걸 보는 연습을 하더라도 다시 완전히 좋아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력렌즈라는건 어떤것이며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중력렌즈현상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중력렌즈현상은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 별이나 블랙홀에 의해 그 별 뒤에서 나온 빛이 휘어져 우리 눈에 들어오는 현상입니다. 이때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 별이나 블랙홀 주변으로 띠를 형성합니다. 이를 중력렌즈 현상이라합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 블랙홀이나 별 뒤에 가보지도 않았는데, 거기서 나온 빛이라고 말할 수 있나? 라는 의문이 들수도있습니다. 우리는 중력렌즈효과로부터 거대한 블랙홀 주변에 생기는 띠를 관측할 수 있는데, 이 띠에 빛들을 분석해보면 모두 같은 빛임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한 점에서 나누어진 빛이 띠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는 것이죠. 그러고 이러한 띠를 아인슈타인링이라고도 부릅니다.만약 중력렌즈 효과로 만들어진 아인슈타인링을 관측하였는데, 중심부에 관측되는 거대한 질량체가 없다는 것을 통해 블랙홀이나 눈에 보이지 않는 물질의 존재를 유추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중력렌즈 효과로 블랙홀을 찾거나 암흑물질을 염두할 수 있습니다.참고로 이 중력렌즈효과는 암흑물질의 증거가 됩니다. 중력렌즈효과를 만드는 원인은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 별이나 블랙홀이 되는데, 거대한 중력을 행사하는것이 별일 경우 우리는 별의 질량을 추정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 별의 질량을 이용하여 중력 렌즈 효과의 정도, 곡률등을 계산할 수 있죠. 그런데, 이 별의 질량을 가지고 중력렌즈효과의 정도와 곡률을 계산하면 예상과 다른 값을 가집니다. 만약 보이지 않는 중력을 가진 물질인 암흑물질이 거대한 별을 중심으로 분포해 있다면 중력렌즈효과의 정도와 곡률을 설명할 수 있죠. 그래서 중력렌즈효과는 암흑물질의 증거가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수은을 만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수은을 잠깐 만진다고 중독증이나 병에 걸리진 않습니다. 잦은 노출로인해 체내에 지속적으로 흡수되어 쌓이면 병이나 중독증에 걸릴 수 있습니다. 수은을 만지면 수은이 액체처럼 움직입니다. 수은의 어는점은 -38.8도로 상온에서 액체상태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블랙홀이 얼마나 오래되었는지 어떻게 알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블랙홀을 직접적으로 관측할 수는 없지만, 블랙홀 주변을 도는 물질이나 천체를 보고 간접적으로 블랙홀의 질량을 알아낼 수 있습니다. 그리고 블랙홀의 질량은 블랙홀의 나이를 유추하는데 필수적이죠. 질량을 알게되면 블랙홀이 되기전에 블랙홀까지의 진화과정을 유추할 수 있으며, 나이를 추정할 수 있는것이죠. 물론 정확한 측정은 아닙니다. 130억년이 된것이면 우주의 나이가 137억년 정도이니 거의 우주의 나이와 맞먹는 블랙홀이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지구 온난화가 계속해서 급가속되고 있습니다만 지구의 수명예측을 할 수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온난화나 빙하기, 간빙기가와도 지구에 타격이 거의 없기 때문에 수명에 지장이 없습니다. 물론, 지구와달리 사람이나 생명체에 타격은 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인류의 기술력으로 빙하기나 온난화를 어느정도는 견뎌낼 수 있을 듯 합니다. 지구의 수명은 태양계 내의 별인 태양의 폭발 시기 까지라고 예상할 수 있습니다. 태양의 현재 나이는 46억년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태양의 수명은 대략 100억년으로 예상하고 있는데, 54억년 뒤에 태양이 죽음에 다다르게되면 적색거성이 되며 팽창하다가 일부는 성운이 되고 핵은 백색 왜성이 됩니다. 이 때 태양이 팽창하며 여러 행성에게 영향을 주기 때문에 이 때가 행성의 마지막이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116117118119120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