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과학·천문우주
Q. 지구의 중력은 지구 상 모든 곳에서 동일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아니요. 전부 다 미미하게 다릅니다. 중력이란 것은 만유인력으로 두 질량체가 서로를 끌어 당기는 힘입니다. 두 질량체의 질량이 클수록, 거리가 가까울수록 중력(만유인력)은 커집니다.지구상에서 지구의 중력이 가장 강한 곳은 지구의 표면이며, 표면 중 지구 중심과의 거리가 가장 가까운 지점이 되겠습니다. 지구는 자전을 하고 있기 때문에 완전한 구형이 아닌, 적도 부근이 불룩한 타원형입니다. 그래서 적도 부근은 지구 중심과 거리가 멀어 중력이 약하며, 극지방은 지구 중심과 거리가 가까워 중력이 셉니다. 또한, 산 꼭대기보다 지상에서의 중력이 아주 조금 더 세죠.
지구과학·천문우주
Q. 많은 행성중에 태양만 타고있는 이유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양에서 빛(열)이 나는 이유는 핵융합 반응에 의한 것입니다.태양은 별 중에 하나로, 별은 주로 핵융합 반응에 의해 빛과 에너지를 방출합니다. 태양에서 일어나는 핵융합 반응은 원자(원자핵) 2개가 더 큰 원자(원자핵)이 되는 반응입니다. 이 과정에서 반응전 원자(원자핵) 2개의 질량을 더하면 반응 후 원자(원자핵) 질량보다 큰 것을 알 수 있는데, 반응 과정에서 질량 손실이 에너지(빛, 열)로 변한 것이죠. 이를 핵융합반응이라고합니다. 이 때 손실된 질량이 에너지로 변하는 과정은 E=mc^2을 통해 계산할 수있습니다.달의 경우나 행성의 경우 태양과 같은 핵융합반응이 일어나지 않습니다. 그래서 뜨겁거나 빛이나진 않죠.하지만! 달이나 행성도 빛을 발합니다. 달이나 행성 내부의 핵은 굉장히 밀도있고 압력이 강해 뜨거운 상태로 존재하며 핵분열 반응이 일어나기도 합니다. 그래서 열에너지를 발하고 있죠. 태양에 비하면 차갑긴하지만 이러한 열에너지가 적외선의 빛으로 방출됩니다. 즉, 우리눈에는 빛나지 않지만 적외선 영역대의 빛이 나오고 있어, 적외선 감지 카메라로보면 빛이 발함을 알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