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김두환 전문가
부산대물리학과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세상에서 가장 오래사는 동물은 무엇이며 장수비결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가장 수명이 긴 종은 해파리가 있습니다. 해파리는 노화가 되긴 하지만, 계속해서 몸을 재생시키기 때문에 오히려 젊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해파리는 다른 종의 먹잇감이 될 수 있기에 늙어죽기보다 먹잇감으로 죽는게 많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빗물은 왜 차갑지 않고 미지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차가운 빗물도 존재합니다. 하지만, 여름에 내리는 비의 경우 따듯한 기단에 의해 구름이 형성된 부분의 기온이 높을 수 있어 빗방울이 따뜻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빗방울도 지상보다는 시원하거나 차갑기 때문에 비가 내리면 기온이 떨어지게 되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나라는 여름에 무조건 습하고 겨울에 무조건 건조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계절에 따른 날씨는 기단의 영향을 받습니다. 우리나라를 기준으로 북서쪽에 차고 건조한 기단, 북동쪽에 차고 습한 기단, 남서쪽에 따뜻하고 건조한 기단, 남동쪽에 습하고 따뜻한 기단이 있죠. 계절이 바뀌면서 기단의 세력이 각기 다르기 때문에 온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매년 같은시기에 같은 기단이 세력이 강하지만 세력차가 조금씩 나기 때문입니다.겨울에는 한랭하고 건조한 북서쪽 기단의 영향을 받으며, 여름에는 습하고 따뜻한 남동쪽 기단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리 눈의 각막은 380nm이하의 빛은 통과 시키지 못한다는데 그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380nm이하의 짧은 파장의 빛도 눈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물론, 각막은 곡선의 형태를 띠고있기 때문에 큰 굴절률을 가진 짧은 파장의 빛을 망막에 거의 도달하지 못하게끔 형성되어있습니다. 하지만, 빛이 들어오는 방향에 따라 통과가 가능하기도 합니다. 380nm이하의 파장 빛은 자외선 영역대 이상으로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빛이 망막에 닿게되면 신경이나 시각세포가 손상을 입기 때문에 좋진 않죠. 그래서 낚시를 하거나 눈이 많이 내린날 물이나 눈에서 반사된 빛이 눈을 손상시킬 수있기 때문에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것이죠.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터널에 들어가면 왜 귀가 먹먹해 지는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높은 지대에 올라가거나 빨리 달리는 차에서 귀가 먹먹해지는 느낌을 받는 이유는 외부의 압력의 변화로인해 신체 내부의 압력을 맞춰주기 때문입니다. 이는 귀에 있는 유스타키오관에서 외부 압력과 내부압력이 평형을 이루게끔 조절을 하기 때문입니다. 터널의 경우 앞뒤를 뺀 사방이 가로막혀있으며, 차량이 이동하는 구간으로 기체의 흐름이 생깁니다. 이 때 기체의 압력이 바깥보다 강해져 압력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다른면으로 생각하면 막혀있는 터널의 소리는 갇혀있기 때문에 터널 밖과 달리 소리가 다르게 와닿을 수 있는데 이것 때문에 귀가 먹먹하다고 느낄수도 있습니다.
14114214314414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