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전문가입니다.
김두환 전문가
부산대물리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물리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진동수가 클수록 에너지가 높다는 것에 대해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진동수는 파동에너지에 척도입니다. 진동수가 클수록 파동 에너지가 크다고 볼 수 있습니다. 직관적인 이해는 밧줄로 할 수 있습니다. 밧줄 끝을 고정시키고 밧줄을 흔든다고 생각해보죠. 굉장히 빠르게 왕복 진동시키면 진동수가 큰 경우이며 천천히 왕복운동을 할 때보다 에너지가 적게듭니다. 그리고 우리가 흔들어줄 때 사용한 에너지는 밧줄의 진동으로 즉, 파동 에너지로 전달이 되죠. 그래서 진동수가 클수록 에너지가 높습니다.
화학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방사능에 피폭되면 안락사도 못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그 나라에서 안락사에 대한 법안을 변경하지 않는 이상 안락사가 불가할 수 있습니다. 만약 안락사를 못하게 될 경우 최대한 고통을 덜하는 진통제나 치료를 받으며 살아갈듯하네요.
화학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포도당에 열을 가하면 분해될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LED를 사용하면 열의 발생이 적어 좋을듯 합니다.그리고 빛의 색에 따라 광합성량은 청색, 보락색 파장대와 붉은색 계열의 빛에서 강하게 나타난다고 합니다. 초록색의 경우 잎의 표면에서 반사가 일어나며 적외선과 자외선은 광합성에 영향을 거의 미치지 않네요. 하지만 이러한 것들도 규명하기 위해 자외선 LED나 적외선 LED를 추가하면 더 좋을 듯 하네요.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이 지구궤도를 어느 정도의 속도로 움직이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인공위성이 위치한 궤도(높이)마다 속력이 다릅니다. 속력은 대략 초속 3~7km 정도입니다.이는 1만km/h 이상의 속력입니다. 하지만 지구의 자전속력은 지표면을 기준으로 1600km/h정도 입니다. 인공위성이 훨씬 빠른 속력으로 돌고 있죠. 밤하늘에 빛나는 것중 눈에 띨정도로 움직이는게 있다면 그것은 인공위성일 확률이 높습니다. 육안으로 관측이 가능하죠.
전기·전자
2023년 7월 16일 작성 됨
Q.
손가락을 꺾어서 소리 내면 손마디가 정말 굵어지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굉장히 자주하면 굵어질 수 있습니다. 꺽기는 관절, 인대의 마찰을 유발하고 염좌가 생길 우려가 있으며 이 염좌가 가라앉지 않게되어 굵어질 수 있습니다. 그치만 가끔 꺾는다고해서 크게 굵어지거나 하진 않습니다.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