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피뢰침은 어떤 원리로 번개를 방어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도체, 금속에는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전자가 존재하며, 표면을 자유롭게 움직이고 있습니다. 그런데, 전자의 전하량은 -이며, 서로간의 척력으로 도체 내에서 넓게 퍼져있습니다. 피뢰침의 경우 뾰족한 모양의 도체입니다. 그리고 지면에 접지되어있습니다. 낙뢰는 구름의 전자(음전하)가 쌓이며 지상과 구름 사이에 전압(전위차)을 만들며 공기를 방전시켜 전자를 흘려보내는 현상입니다. 이 때 구름과 지상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면서 구름의 음전하 때문에 피뢰침의 뾰족한 부분은 +극이 됩니다. 피뢰침 내 전자들이 구름의 -극과 멀어지려하기 때문에 접지된 쪽으로 흘러간 것이죠. 그래서 전자가 이동하는 낙뢰가 치면서 피뢰침의 뾰족한 부분으로 이동하여 낙뢰를 흡수해주는 것이죠.
Q. 번개가 칠때 차에 있으면 안전한 이유??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차량이 벼락을 맞게되면, 내부에 사람들은 무사할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차량의 겉 부분이 도체 역할(차폐 역할)을 해주기 때문에 내부에 전류가 흐르지않고 차량 표면으로만 전하가 분포하기 때문이죠. 그래서 차량 내부는 안전합니다. 하지만 벼락을 맞은 즉시 당황하셨다고 절대 차량 문을 열거나 하시면 안됩니다. 차량 표면에 남아있는 전자(-)가 다수 있기 때문에 문을 열면서 틈이 생기게 되고 문과 차 사이에 전류가 흘러 방전이 일어나 사람을 감전 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내부에서는 차와 연결된 쇠, 금속 부위를 만져서는 안되며 119 구조대를 불러 도움을 요청해야 안전하게 탈출할 수 있습니다.
Q. 태풍의 진로는 어떤 요소에 의해 결정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의 경로는 지역의 기압차, 온도차에 의한 바람의 방향 영향을 받습니다. 중위도에서는 편서풍이 불어 태풍이 동쪽으로 휘는데 항상 동쪽으로 휘는것은 아닙니다. 중위도에서는 대부분 편서풍이 불지만, 기압차에 의해 동에서 서로 바람이 불때도 있고, 북에서 남으로 바람이 불때도 존재합니다. 그래서 태풍은 바람이 부는방향을 따라 이동하기 때문에 중국으로 상륙하는 경우도 있고 일본으로 휘어져 가는 경우도 존재하죠. 그래서 태풍의 경로를 예측하기는 하지만 정확한 예측은 불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하늘은 왜 파란색으로 보이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하늘이 파란 이유는 대기(공기)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공기(기체)에 의해 태양 빛이 산란 될 때 짧은 파장 영역대의 빛인 파란, 남색 ,보라 빛이 산란이 잘되는데, 이러한 빛이 우리 눈에 들어오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이유입니다. 물론, 보라, 남색의 빛도 산란되는데 우리눈이 감지하는 정도는 파란색에 민감하기 때문에 하늘이 파랗게 보이는 것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Q. 구름은 어떻게 생겨나고 왜 모양이 다 다른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구름이 형성될 때 지형, 기압, 수증기량, 수증기량의 분포도 등 아주 다양한 변수에 의해 모양이 결정되기 때문에 각기 다른 모양의 구름이 형성됩니다. 하지만 크게 보면 얇은 구름, 두꺼운 구름 등 어느정도 형태가 잡힐 수 있습니다. 이는 지형이나 기류의 조건에 의해 결정되기 때문이죠. 구름은 대류권인 11km까지 구름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적도에서의 대류권은 18km로 더욱 높은 곳까지 구름이 형성될 수 있습니다. 평균적으로 고도 2~7km사이에 구름이 형성돼있습니다. 참고로, 야광운이라는 구름은 중간권인 76km에서 85km에서 형성될 수 있다고 합니다. 중간권에서도 대류작용이 발생하며 메탄, 수증기가 주된 성분이라고 밝혀져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