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새가 후진으로 날지 못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새가 후진하지 못하는 이유는 날개의 모양이 직진할 때 양력을 받게끔 생겼기 때문입니다. 즉, 후진할 경우 양력을 받지 못하여 날지 못하죠. 또한, 깃털의 결의 방향도 직질할 때 저항을 적게 받으며, 후진시 저항을 크게 받을 수 있습니다.새가나는 원리는 비행기가 양력을 이용해 날아가는 원리와 비슷하지만, 추진력을 얻는데 있어 작용-반작용을 사용합니다.비행을 하는데 크게 두 가지 원리가 있습니다. 첫째, 양력을 얻는 원리가 있으며 둘째론 작용-반작용이 있습니다.양력을 얻는 원리는 압력차에 의한 힘에 의한 것입니다. 이는 비행체가 추진력(속력)을 얻고 난 뒤부터 지속적으로 하늘에 떠있을 수 있는 원리입니다. 비행체의 날개에서 주로 얻게되는데,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으로, 아랫부분은 평평한 면으로 하여 윗부분에서 공기의 흐름, 유속을 빠르게 해줌으로써 압력을 낮추는 것입니다. 그러면 날개의 아랫부분에서 윗부분으로 힘을 받게되어 뜰 수 있습니다. 비행기나 새의 날개의 경우 양력을 얻기에 적합한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날개의 윗부분은 곡면, 아랫부분은 평평합니다.작용-반작용은 새의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밀어내는 힘(작용-반작용)으로 새가 뜰 수 있는 추진력을 얻는 것을 의미합니다. 비행하기 위해 초반에 강한 날개짓을 통해 공기를 지면으로 수직하게 튕겨내면서 새의 몸체가 위로 뜰 수 있는 것이죠. 그리고 날개짓으로 추진력을 얻고 양력을 통해 비행을 유지할 수 있는 것이죠.
Q. 극저온(절대영도)을 만드는 방식이나 기술은 어떤 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먼저, 온도의 정의를 말씀드리겠습니다. 물리적으로 온도라는 것은 입자, 분자의 평균 운동에너지(운동의 활발성)입니다. 온도가 낮다는 것은 입자, 분자의 운동에너지가 적어 거의 정지상태임을 의미합니다.사실 -273도까지 극저온을 만들기는 굉장히 어려운 일입니다. 분자보다 작은 원자 그리고 원자내 입자도 컨트롤해야 가능합니다. 모든 입자의 움직임을 멈춰야하죠. 현재 우리의 기술력으로는 원자 단위를 잘 조절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래서 -273도를 만들기는 거의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어떤 계(system)에 존재하는 입자나 원자수를 적게하고, 이 입자나 원자의 운동을 최대한 멈추게 함으로써 극저온에 도달할 수 있는 것입니다. 물론 이 또한 간단한 일은 아니며 빛 에너지를 통해 원자의 운동을 멈추게 하거나 하는 방법을 사용하죠.
지구과학·천문우주
Q. 무지개 색깔이 왜 7가지 색깔인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네, 다른색도 볼 수 있습니다.무지개는 물방울에 통과된 태양빛이 굴절하면서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어 우리눈으로 들어오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때 물방울을 통과한 빛이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는데, 빨주노초파남보 뿐만아니라 빨간색과 주황색 사이의 색도 포함 될뿐더러 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연속적인 가시광선 영역의 색상이 전부 포함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빨주노초파남보라 7개로 나눈 이유는 편의상 나눈것입니다. 무지개에 딱 7개의 색만 있는것은 아닙니다. 다른색도 빨주노초파남보와 같은 세기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