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전문가입니다.
김바른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학문
치과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사랑니발치를 대학병원에서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사랑니의 경우, 잇몸 밖으로 노출되어 있지 않다면 굳이 발치를 하지 않아도 됩니다.또한 잇몸 밖으로 노출되어 있더라도 상하악 사랑니가 서로 잘 대합되는 경우에도 보존이 가능합니다.하지만 부분매복 상태이거나, 기울어져서 나는 경우에는 발치를 해야합니다.가까운 치과들 중에서 사랑니 발치가 가능한지 여쭤보시고 예약 잡고 내원하시면 발치가 가능합니다.
치과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어금니쪽 볼에 염증이 생겼어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치관주위염이 있는 것일 수도 있으며 치주염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정확한 원인은 구강내 검진 및 엑스레이 촬영을 통해서 파악이 가능하겠습니다.답변되셨길 바랍니다.
치과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치실 사용시 시린느낌 (통증)이 있는데 충치가 있다는 뜻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치실 사용시 시린 증상이 있다면 충치의 가능성이 있습니다.그러나 증상만으로는 확답을 드릴 수 없습니다.가까운 치과에 내원하셔서 엑스레일 촬영 및 구강내 검진을 받아보시는게 좋겠습니다.
치과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어금니 하나가 반쪽이 부러졌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부러진 치아에 통증이 느껴진다는 것은, 신경이 노출되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따라서 신경치료를 하시게 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만약 크라운으로 수복이 가능하다면 신경치료 후 크라운으로 치료가 가능할 것이고,크라운으로 수복할 수 없는 상태라면 임플란트를 하시는 것이 옳겠습니다.
치아 관리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제로 콜라 같은 음료는 충치로 부터 안전한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탄산에 들어있는 성분에 의해 구강 내 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우리 입 안에도 산성도에 영향을 받게 되는데 pH에 따라 충치에 이환되거나 노출될 가능성이 커질 수 있습니다.이때 탄산을 먹고 난 이후에 바로 양치를 하게 되면 구강 내 pH에 변화가 생겨 충치가 더 잘 생길 수 있습니다.따라서 탄산을 드셨다면 물로 입을 헹군 이후에 양치를 하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치과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잇몸이 아플 때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치주염이라고 합니다.일반적으로 양치질이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구강위생관리에 문제가 생기게 되며, 이로 인해 치태나 치석이 쌓이게 됩니다. 쌓인 치태와 치석은 잇몸에 염증을 유발하게 되며 그로 인해 잇몸에서 피가 나고 부으며 건드릴 경우 통증까지 유발합니다. 이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잇몸뼈가 염증 반응에 의해 녹게되며 결과적으로 치아가 흔들리게 됩니다.현재까지 치주염의 경우 완치하기는 어려운 것으로 알려져있으며, 치주염으로 인해 녹은 잇몸뼈의 재생도 매우 어렵습니다.따라서 발생하기 전에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며, 적절한 양치질 및 주기적인 스케일링 혹은 잇몸치료를 통해 치주염의 진행을 막는 것이 필요합니다.도움되셨길 바랍니다.
치아 관리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얼음을 깨먹는게 치아에 굉장히 안좋은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얼음을 씹어서 섭취하는 것은 치아에 과도한 힘을 줄 수 있고 치아 파절이나 크랙의 원인이 됩니다.자주 반복될 경우 치아가 부러질 수 있습니다.피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치과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14개월된 아이의 치아관리 방법?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유치열을 가진 소아환자의 경우, 영구치열을 가지기 전이므로 치아가 약합니다.따라서 관리가 부적절할 경우 치아 우식증이 생기기 매우 쉽습니다.부모님께서 소아의 양치질을 관리해주시는게 좋습니다.
치과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예전에 신경치료하고 레진 해둔곳에 염증이 다시 남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신경치료 후에도 염증은 재발이 가능합니다. 이는 신경치료를 하더라도 신경관 구조 자체가 물리적 혹은 화학적으로 100% 완벽한 소독이 불가능한 구조를 이루기 때문입니다.답변되셨길 바랍니다.
치과
2022년 4월 12일 작성 됨
Q.
치과에서 불소도포는 왜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바른 치과의사입니다.불소의 경우 치아의 법랑질의 하이드록시 아파타이트라는 물질의 수산화기와 치환반응을 일으켜 치질을 강화시키는 기능을 합니다.따라서 치아우식증에 대한 저항성이 낮은 소아환자들의 경우, 불소 도포를 주기적으로 해주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16
17
18
19
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