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원자재 가격 급등이 기업에게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하는데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원자재 가격 상승이 기업에 미치는 영향은 기업의 규모, 헤징 전략, 제품 특성 등에 따라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이유로 위험 요인으로 작용합니다.1. 헤징의 한계대부분의 기업들이 원자재 가격 변동에 대비해 선물/옵션 계약을 맺지만, 이는 단기적인 위험회피 수단일 뿐입니다. 장기간 지속되는 가격 상승에는 한계가 있습니다.2. 비용 전가의 어려움원가 상승분을 제품 가격에 반영하기 위해서는 수요 감소, 경쟁사 대응, 규제 등의 제약이 있어 쉽지 않습니다. 비용 전가에 시차가 발생하면 수익성 악화가 불가피합니다.3. 운영 자금 부담 증가 생산 원가가 올라가면 운영 자금 수요가 증가하게 되는데 이는 금융비용 상승으로 이어집니다.4. 소비심리 위축 원자재 가격 상승은 제품 가격 인상을 초래하여 소비심리를 위축시키고 수요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5. 대체재 경쟁력 약화원자재 가격 상승 시 대체재가 상대적으로 저렴해져 기업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습니다.따라서 헤징 전략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인 원자재 가격 상승은 생산비용 증가, 수요 감소, 경쟁력 약화 등의 이유로 기업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Q. 신혼부부 신용 대출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네, 신혼부부를 위한 생활비 목적의 신용대출 상품이 있습니다.대부분의 은행에서 '신혼부부 중금리 대출'이라는 이름으로 출시하고 있는데요.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1. 대상: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2. 대출한도: 최대 3,000만원 (일부 은행 2,000만원)3. 금리수준: 연 3% 중반 ~ 5% 초반 수준 (비거치 분할상환 기준)4. 대출기간: 1년 ~ 5년 (은행별로 상이)5. 용도: 생활비, 새집살림 비용, 혼수비용 등대출 신청 시 혼인관계 증명서, 소득증빙서류 등을 제출하면 대출이 가능합니다.이 상품은 신혼부부가 안정적으로 생활비를 충당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은행들이 출시한 저금리 생활비 대출입니다. 다만 대출한도 등 구체적인 조건은 은행마다 다르므로 각 은행 상품을 비교해보시는 게 좋습니다.
Q. 2025년 1월 공군 입대자 기준 돈 한푼도 안쓰고 모으면 얼마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병섭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2025년 1월에 공군에 입대해서 전역할 때까지 한 푼도 쓰지 않고 모은다면 대략 다음과 같이 예상할 수 있습니다.(단, 2026년 이후 병영 월급 인상분은 고려하지 않았습니다)1. 병영 월급 (현행 기준)- 현역병 월급: 639,000원 (22개월 치)= 639,000원 x 22개월 = 14,058,000원2. 복지비 (병사 1인당) - 취사수당, 피복비 등 월 200,000원 가량= 200,000원 x 22개월 = 4,400,000원 3. 전역후 지원금 - 8,000,000원따라서 총 적립 가능 금액은 = 14,058,000원 + 4,400,000원 + 8,000,000원= 약 26,458,000원 입니다.만약 이 금액을 전역 전까지 저축한다면 이자수입도 있을 것입니다. 4,000만원을 넘기려면 이자수익이 더해져야 할 것 같습니다. 전역 시기, 금리 등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참고로 실제 생활에 필요한 최소비용을 쓰면 모을 수 있는 금액은 줄어들 것입니다. 아끼고 절약하는 생활 습관이 필요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