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금리를 인하한다는 전망이 많은데 진짜로 인하할까요?
안녕하세요. 김보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당장의 인하보다는 유지 전망이 많은데요. 우리나라 경제의 가장 큰 문제는 GDP 대비 가계부채 비율이라고 하는데요.양적 완화를 통해 시중에 풀린 통화량 조정을 위해 금리를 인상하였지만, 가계부채 비율이 높은 경제구조상 금리인상으로 고통받는 집단들이 너무 많은것이죠.기업 역시 자기 자본으로 사업을 영위하기보다는 많은 부분 부채에 의존하고 있기에 기업 활동도 금리에 의해 위축되겠죠.그리고 연준에서 인하 시, 우리가 세계 거시 경제 방향에 역행할 시 원화 약세에 대한 우려도 커지게 되겠죠.결국 대세에 편승하되, 우리나라 경제 사정에 맞게 국제정세에 연착률할 수 있도록 준비를 해나갈 듯 합니다.
Q. 공격적인 부양책을 썼을 때 경제가 성장함으로써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보종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정부 차원의 특정 산업 부양책은 세제혜택이나 규제완화, 지원책, 장기적인 관점에서의 인력양성지원 등을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다만, 이러한 정책은 결국 정책의 기회비용을 생각해볼 수가 있겠죠, 한정된 자원을 배부해야하는 문제이겠죠.제 소견은 질문자님께서 질문하신 방향은 특정 산업의 방향보다는 통화량 차원에서의 부작용을 생각하신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