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윤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전문가입니다.
김윤식 전문가
충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보험
자격증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우리사주제도는 의무적으로 해야 하는 제도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사주의 경우 근로자의 권리이지 의무는 아닙니다. 따라서 우리사주를 신청할 수도 있고 포기할 수 도 있습니다. 특히 우리사주의 경우 대부분 1년간 보호예수로 걸려 팔지못하기 때문에 청약시 신중히 선택해야됩니다.
경제정책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최저임금결정이 마지막까지 노사에서 합의되지 않으면 어떻게 결론이 나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최저임금의 경우 노사 위원들이 최종 최저임금에 대해 합의하지 않을 경우 공익위원이 최종적으로 최저임금을 정하게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주식시장에서 공매도의 필요성?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공매도의 경우 기관뿐만아니라 개인도 공매도를 진행할 수 있으나 공매도 조건에서 개인이 불합리한점이 있는 것도 사실입니다. 공매도의 경우 전세계 주식시장에 필요한 제도이나 우리나라의 경우 기울어진 운동장이라는 비판으로 개인 투자자는 공매도 제도의 폐지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우크라이나 전쟁이 끝나고 경제회복되면 가스, 전기요금 및 공과료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크라이나전쟁의 경우 전세계 인플레이션의 주요 요인중 하나입니다. 특히 우크라이나 곡물, 러시아의 원유 수출 지장으로 해당 품목의 가격이 전쟁 이후 크게 상승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따라서 우크라이나 전쟁이 종료되면 다소 해당 품목의 물가는 안정화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경제정책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전기 및 공공기관 민영화를 할려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독점기업의 경우 사실 상대적으로 효율성이 떨어지고 민간의 참여가 없어 경쟁이 없습니다. 따라서 효율화를 추구하는 정부입장에서는 민간영역의 진출을 통해 효율화를 추진하는 것이 목적입니다.
대출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가계부채가 심각한 상황인데 정부에서 어떤정책이 해결책이 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 가계부채는 약 1,100조원 수준으로 GDP의 경우 80%에 육박합니다 이는 OECD국가중에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 정부는 이에 DSR 규제 등을 통해 가계부채가 더 이상 늘지 않도록 통제하고 있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환율은 나라간에 금리 차이가 많이나면 환율변동성이 커지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나라간 금리차이가 심해질 경우 금리가 높은데로 자금이 이동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한국과 미국의 금리차가 심해지면 미국으로의 자금이동이 커지고 이는 원달러환율이 급등할 수 있는 원인으로 작용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상장사를 주관하는 증권사는 어떻게 선정이 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상장증권사의 경우 IPO를 진행하는 회사가 해당 계획을 밝히면 증권사는 수수료율, 증권사 상장 이력, 총액인수 조건 등을 종합적으로 입찰하면 상장사가 해당 조건을 살펴보고 가장 유리한 증권사를 최종적으로 증권사를 선정하게 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증권사는 왜 해외 주식 수수료 무료를 이벤트로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증권사의 경우 주식수수료 무료 이벤트를 통해 해당 증권사의 고객을 늘리는 목적으로 해당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단기적으로는 이벤트는 손실이나 장기적인 수익성은 고객확보를 통해 향상될 수 있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경제동향
2023년 7월 14일 작성 됨
Q.
중국에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경우 세계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은 전세계 2위 경제규모 국가로 중국의 경제상황은 전세계에 영향을 미칩니다. 특히 교역량이 가장 많은 우리나라의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연관성을 가질 수 있습니다.
451
452
453
454
4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