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윤식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윤식 전문가입니다.
김윤식 전문가
충북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경제
보험
자격증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애플 아마존같은 특정 기업의 실적이 안좋다는 데 왜 다른 기업의 주가도 다 떨어지는 거죠?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애플과 아마존의 경우 미국 나스닥에 상장된 대기업입니다. 따라서 애플과 아마존의 실적이 부진할 경우에는 다른 기업의 실적도 함께 부진할 가능성이 높고, 또한, 대기업의 실적부진은 투자자들의 투자심리를 악화시켜 다른 기업의 주가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한국은행이 이번에 금리인상을 결정할까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의 경우는 미국의 25bp인상 및 여전히 높은 물가상승률로 금리인상을 고려할 수 있으나, 우리나라의 경우 가계부채의 수준이 높기떄문에 개인적으로는 동결할 가능성이 더 높다고생각합니다. 올릴경우는 25bp 인상이 예상됩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채권의 최악의 시기는 언제였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채권의 최악의 시기는 수익률 차원에서는 금리가 낮을 때이고, 발행 및 상환에 대한 최악에 시기는 경기침체나 금리가 급등하는 시기가 가장 안좋은 시기 입니다.
대출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변동금리보다 고정금리가 더 높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고정금리와 변동금리의 경우는 장단점이 있습니다. 금리가 상승하는 시기는 고정금리가, 금리가 하락하는 시기는 변동금리가 유리합니다. 따라서 시기에 따라서 고정금리가 높을수도, 아니면 변동금리가 높을수도 있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국민연금 문제가 많은것 같은데 받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국민연금은 의무보험이기 때문에 일정 조건을 충족할 경우에는 무족건 납입하여야되는 됩니다. 현재 심각한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로 국민연금의 적립액에 대한 이슈가 발생하고 있고, 만약 고갈되더라도 법적으로 정부가 그 부족분을 채워줘야되기 때문에 적게 받을 수는 있어도 못받을 가능성은 낮다고 생각합니다
경제동향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요즘 우리나라 경제가 안 좋은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우리나라의 경우 기본적으로 수출경제인데 주요 수입물품인 에너지와 곡물가격이 크게 오른 반면 주력 수출품목인 반도체, 자동차, 화학 등이 글로벌 경기부진과 IT수요부진으로 수출이 감소하면서 전체적인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이 낮아지고 있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현재 인플레이션 상황인데, 금리를 왕창 올리면 디플레이션이 발생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현재 금리인상의 경우 5%가 넘는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한 정책입니다 따라서 물가상승률이 안정화되고 경기침체 우려가 심해지면 다시 금리인하를 통해 경기부양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에따라 디플레이션이 일어날 가능성은 매우 적습니다.
주식·가상화폐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뉴스에서 보니 중국 부동산 버블 터졌다는데 왜 그렇게 된걸까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의 경우는 부동산가격이 심해지자 정부에서 대출을 ㄱ제하고, 부동산투기 및 아파트가격 억제 정책을 사용하면서 주요 부동산 개발업자의 파산이 진행되었고, 이에 헝다그룹 등 다수의 부동산 기업이 파산을 하였습니다.
대출
2023년 2월 3일 작성 됨
Q.
특례보금자리론의 자격요건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특례보금자지론의 경우 다른 자격요건은 없으나 무주택자나 1주택자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특례보금자리론은 상대적으로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낮고 고정금리로 이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잇습니다.
예금·적금
2023년 2월 2일 작성 됨
Q.
연준이 금리를 낮출수도 있다고 하는데 진짜일까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시장의 기대는 연말되면 연준이 기준금리를 인하할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으나, 여전히 Fed는 물가상승률로 인해 추가적인 금리인상을 예고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향후 물가상승률 추이와 실업률과 같은 경제지표에 따라 최종적으로 결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681
682
683
684
6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