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한국금리가 미국보다 현재 낮은데 미국보다 무조건 높아야한다는 말은 왜그런가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한국 기준금리가 미국보다 무조건 높아야 한다는 주장은 다소 무리가 있는 주장입니다. 다만, 미국 금리 상승의 기조를 한국도 함께 가야 한다고 하는 주장은 설득력이 있습니다. 미국이 금리를 상승시키는 요인은 급격한 인플레이션율 상승의 델타값을 하락시키기 위한 목적입니다.코로나 시기를 대응하여 세계 각국이 동일한 양적 완화를 진행했기 때문에, 한국도 금리 상승을 시켜야 물가 상승이 안정될 수 있습니다. 거기에 더해 미국이 금리를 상승시킬 때, 적정한 한국 금리 상승이 이어지지 않는다면, 한국에 있는 외국 자본이 금리가 높은 미국시장으로 이전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도 미국의 금리 상승만큼은 아니지만 어느 정도는 보조를 맞추어 상승시켜야 합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미국 달러가 강세일수록 우리나라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강달러 현상은 우리 경제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볼 때, 주체별로 나누어 접근해야 합니다. 또한 강달러의 근본적인 원인이 무엇인지도 고려해야 하지요. (거시적인 주제이므로, 답변상 기업섹터의 간단한 예시를 들어 설명드리겠습니다.)가령, 일반적인 상황으로, 강달러로 인해 대미 수출비중이 높은 기업들에게는 호재가 됩니다. 가령, 자동차 부품, 2차전지, 건설기계 등의 기업들이 있죠. 반면, 미국에서 원자재를 수입하는 기업들은 그 부담이 커지지요.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해외 투자자의 입장에서 금리가 오르면 장단점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전 세계적으로 금리가 오르는 추세라면, 세계 주식 시장이 위축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런데, 미국의 금리보다 우리나라 금리가 확연히 높다면, 해외투자자들 입장에서 우리나라 금융기관에 예금 등의 방법을 통해 돈이 몰릴 수 있게 됩니다. 장기적으로는 우리나라 돈의 가치가 평가절상되어, 환율이 낮아집니다. 그렇게 되면 해외 투자자들은 우리나라 주식이 상대적으로 비싸다고 인식하여서, 주식 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수도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상승장과 하락장은 왜 Bullish market과 Bearish market로 표현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강세장을 우리는 불장이라고도 표현하는데, 미국에서는 Bull, 황소로 쓰게 됩니다.Bear는 약세장으로 표현하는데요, 각각 미국에서 많이 쓰는 관용적 표현이기는 합니다. 가령, 황소는 긍정적인 투자 및 가격을 올리는 투자를 의미하며, 곰은 부정적인 투자로 주식시장이 하락할 것으로 예측하는 상황임을 관용적으로 나타낼 수 있어요.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Q. 중국 주식 거래는 어디서 어떻게 하나요?
안녕하세요. 김자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중국에는 4개의 주식시장 거래소가 있어요. 베이징 증권 거래소, 심천 증권거래소, 상하이 증권 거래소, 홍콩 증권 거래소입니다. 그런데, 중국의 주식은 원칙적으로 외국인들이 원하는대로 거래할 수 없다가, 개혁, 개방의 의지를 담아 외국인들도 거래가 가능한 주식을 따로 분류해놓았습니다. 위완화 또는 홍콩 달러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제 짧은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