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트랜스포머에서 나오는 로봇들이 현실화 가능한가요?
가능하냐 불가능하냐 따지는 것은 큰 의미가 없습니다.트랜스포머에 나오는 로봇들이 되도록 로봇 공학자들이 포기하지않고 연구를 한다면한 언젠가는 성공할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안드로메다 은하를 맨 눈으로 관측할 수 있을까요?
안드로메다 은하를 맨 눈으로 관측할 수 없습니다.만약에 보인다고 해도 저녁에 보이는 별 처럼 그냥 점 하나 수준으로 보일 뿐입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추운아침에 밖에서 소변누면 몸을 부르르 떠는 현상은 뭔가요?
날씨가 추워지면 몸 안에서 방출되는 열이 많아 체온이 더욱 떨어지게 됩니다.따라서 우리 몸은 이것을 방지하기 위해 몸 안에서 열을 더 많이 만들어야 됩니다.이를 위해 근육을 여러번 수축, 이완하며 열을 생산하고, 이것이 몸이 부르르 하고 떨리겝 됩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나이 들면 흰머리가 나는데 왜 그런가요?
흰머리가 나는 이유가 색소를 만드는 모낭 세포가 노화했기 때문입니다.따라서 흰머리가 난 곳에는 모낭 세포가 거의 죽은 상태여서 다시 검은 머리가 나올 가능성이 적습니다.즉, 색소가 없어서 하얀색이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동물들 중에서 잠을 안자는 경우도 있나요
물고기도 잠을 잡니다.깊이는 알 수 없으나 실제로 잠에 들게 되면 외부 자극에 대한 반응이 약해지고, 움직임도 급격히 줄어들게 됩니다.물고기가 잠을 자지 못하도록 물에 전류를 흘려서 숙면을 방해하면,다음날 움직임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므로, 실제로 숙면(깊은 잠)과 얕은 잠의 경계는 존재합니다.마지막으로 상어의 경우 산소를 얻기위해 끊임없이 움직이므로 실제로 잠을 자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달의 색깔이 다르게 보이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개기월식이 일어날 때 달이 붉은색으로 보입니다.지구 대기의 산란에 의해, 태양에서 나온 빛 중 파장이 짧은 파란색 ~ 보란색 빛이 산란되어파장이 긴 붉은색만 남아 달이 붉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반대로 노란색으로 보인다면 노란색 파장이 제외된 파장만 산란되었기 때문에 노란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20대에 새치가 생기는 이유가 있나요
스트레스가 흰 머리의 원인이기도 합니다.흰머리는 머리를 만드는 기관인 모낭 속에서 멜라닌 세포를 만드는 세포가 이상이 있으면 생깁니다.스트레스로 인해 활성산소가 생기면 모낭 속 세포의 색소 기능이 저하되고 이것이 흰머리를 유발하게 됩니다.따라서 10대나 20대도 흰머리가 날 수 있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흰머리 뽑을수록 많이 난다라고 하는데 근거가 있나요?
흰머리는 머리를 만드는 기관인 모낭 속에서 멜라닌 세포를 만드는 세포가 이상이 있으면 생깁니다.스트레스로 인해 활성산소가 생기면 모낭 속 세포의 색소 기능이 저하되고 이것이 흰머리를 유발하게 됩니다.따라서 세포가 파괴되었으므로 많이 나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방탄조끼는 모든 총알을 다 막을 수 있나요?
방탄복은 그물망으로 되어있습니다.총알은 회전하면서 발사가 되는데, 방탄복의 그물망이 총알의 회전을 막아 속도와 힘을 줄이게 됩니다.이 그물망이 총알의 회전을 막을 정도가 아니라면 총알이 이깁니다.
물리
물리 이미지
Q.  운동을 하고 나면 몸이 쑤신 과학적 이유
근육은 근섬유가 손상되고 재생을 반복하면서 생기게 됩니다.근육은 수 많은 근섬유로 이루어져 있고, 운동을 하면 근섬유가 조금씩 손상되게 됩니다.근섬유가 손상되었으니 주변에 있는 위성세포와 단백질이 손상된 근섬유에 붙게 되면서 점점 나아지게 됩니다.
1011021031041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