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극야현상이라는게 무엇인가요??
백야 현상의 반대인 극야 현상은, 겨울동안 하루 종일 어두워지는 현상을 의미합니다.이러한 극야현상은 주로 극지방에서 자주 발생합니다.태양과 지구의 거리의 변화와 지구가 약간 기울어져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맞는 여러가지 백신은 임상실험을 어떻게 해서 개발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자세한 임상실험은 제약회사마다 다를 수 있습니다.보통 1차에서는 동물을 이용하고2차에서는 일부 사람을 이용해서 검증합니다.마지막 3차에서 꽤 많은 사람을 이용해서 검증해야합니다.
화학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손으로 많이 만진 종이는 왜 점점 색깔이 누렇게 변할까요
종이를 만지지 않더라도 종이는 누렇게 변할 수 있습니다.누렇게 변색된 것은 산소와 결합을 통한 산화물입니다.산소가 반응성이 큰 기체이기 때문입니다.
화학공학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성냥은 어떻게 불이 붙는 것인가요?
성냥의 주 원료는 염소산칼륨입니다.이 염소산칼륨이 유릿조각 등이 섞인 까칠까칠한 마찰면에 대고 마찰을 일으키면,성냥에 있는 적린이 백린으로 변하면서 염소산칼륨과 반응하기 때문에 불이 붙게 됩니다.
물리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중력에 의한 물의 압력이 궁금합니다
보통 수심이 10m가 내려가면 1kg/m2씩 압력이 증가합니다.예를 들면 6500m가 되면 사람의 무게가 650kg이 더 추가 된다는 뜻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인공위성 안에서의 구심력이 궁금합니다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지구의 만유인력이 중력이고, 이 중력이 구심력으로 작용하게 된다면,중력이 구심력이 되는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의 궤도는 어떻게 정해지나요?
인공위성이 한번 올라가게 되면 관성에 의해 계속 움직이려고 합니다.관성이란 물체가 운동상태를 계속 유지하려고 하는 성질입니다.우주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공기에 의한 마찰도 없어서 물체가 한번 궤도가 정해지면 계속 움직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인공위성에서 태양열발전이 가능한가요?
인공위성 주의가 진공이고 빛의 입자성을 생각해보면 태양광 발전이 당연하다고 생각하시는데,태양열 발전이 가능하다고 물으시는 이유는 무엇인가요?광전효과로 인해 인공위성에서도 태양열 발전이 가능한 것이 맞습니다.
생물·생명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도마뱀 꼬리 잘라낼때 통증이 있나요?
도마뱀의 꼬리는 딱 한 번만 가능합니다.실제로 잘린 꼬리를 재생시키기 위해 많은 에너지가 필요하고,꼬리에 지방을 저장하기도 하기 때문에, 꼬리를 끊는 것은 매우 비효율적입니다.즉, 위기의 순간에 큰 고통을 이겨낼 가치가 있을 때, 꼬리를 끊습니다.
화학
2023년 2월 1일 작성 됨
Q.
외국과 우리나라 온도 재는 것이 달라서 신기합니다.
화씨온도는 주로 영미권에서 많이 쓰였으나 현재는 미국을 제외한 대부분 나라는 섭씨 온도계를 사용합니다.현재 화씨 온도계는 미국, 미얀마, 라이베리아 정도의 나라가 사용합니다.화씨, 섭씨 온도가 서로 다른 이유는 온도의 기준점을 정의한 과학자가 필요에 따라 정한것이라 다릅니다.하나로 통일하려면 다른 한 쪽이 경제적으로 손해이기 때문에 바꾸지 않습니다.
136
137
138
139
1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