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왜 심해어들의 외모는 다 이상하게 생긴건가요?
심해로 내려갈 수록 높은 수압을 받기 때문에,심해에 사는 생물들은 바다 위쪽에 사는 생물과 다른 구조를 갖습니다.가장 큰 특징은 몸속에 빈 공간 대신 물을 채워넣어 외부의 압력과 균형을 이룹니다.그래서 대부분의 심해 어류는 부레가 없습니다.그리고 고압에서 물질 전달이 원할하게 이루어 지도록 막 구조에 유연한 불포화지방을 다량 함유하고 있습니다.따라서 이상하게 생겼습니다.
화학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새치와 흰머리는 어떻게 다른건가요?
새치와 흰머리는 전혀 다르지 않습니다.새치를 흰머리라고 부르기도 하고 흰머리를 새치라고 부르기도 합니다.따라서 같은 물질을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 것 뿐입니다.
화학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항공유에는 불이 붙지 않는 원리가 뭔가요?
항공연료는 보통 등유와 휘발유의 중간적인 성분이라고 보시면 됩니다.인화점이 44 ~ 65도 사이 입니다.항공유가 일반 휘발유보다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인화점이 높은 것은 사실이지만,그렇다고 완전히 불이 안 붙을 정도는 아닙니다.
생물·생명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비가 오고 난 뒤 지렁이가 땅 밖으로 나오는 이유가 무엇입니까
지렁이는 피부로 호흡을 합니다.하지만 비가 오면 땅 속에 물이 스며들어 공기를 얻기 힘들게 됩니다.따라서 비가오면 밖으로 나와 직접 공기를 마시려고 합니다.
화학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우리가 즐겨 마시는 탄산수의 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하네요
탄산수는 영국의 과학자이자 성직자인 조셉 프리스틀리에 의해 1767년경에 만들어졌습니다.우연히 양조장에서 이산화탄소가 발효통으로부터 거품이 올라 가스가 발생하는 것을 보게 되었습니다.그리고 이 가스가 이산화탄소인것을 알게되었습니다.이후로 물이 이산화탄소에 녹게 되면 상쾌한 느낌을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이것이 탄산수의 기원이 되었습니다.콜라나 사이다나 탄산수는 모두 같은 원리고 맛만 다른 것입니다
토목공학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딸기는 왜 씨가 밖에 붙어 있나요?
딸기는 씨방이 발달한 과실입니다.다른 과실과 달리 꽃 턱이 발달하였기 때문에 씨가 열매 속에 없다고 합니다.딸기의 과실은 꽃받침이 자란 것인데, 이것은 사실 가짜 과일이라고 합니다.따라서 씨가 열매 속에 없고 겉 부분에 깨 처럼 붙어 있습니다.
화학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바닷물은 왜 짤까요? 그걸로 소금만드는거맞나요?
바닷물이 짠 이유는 육지의 염분이 바다로 흘러가기 때문입니다.바닷물은 햇빛에 의해 증발되기도 하고 강물이 유입되기도 하고,육지에서 염분이 유입되는 등 여러 환경적인 요인으로염분을 계속 일정하게 유지하고 있습니다.
토목공학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주택에 설치된 태양광패널은 왜 검은색인가요?
하얀색은 태양 빛을 반사시키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그리고 반대로 검은색은 태양 빛을 흡수시키는 특징이 있습니다.따라서 에너지 효율면에서 검은색이 더 좋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햇볕이 전기로 전환되는 원리가 궁급합니다.ㅎ
태양 에너지 발전은 크게 태양열과 태양광 두개로 나뉩니다.태양열 발전은 수증기를 끓여서 열교환기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고,태양광 발전은 빛 에너지가 전자와 부딪히면서 전자를 실제로 움직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즉, 햇볕이 이런 방식으로 전기로 변하게 됩니다.
토목공학
2023년 1월 27일 작성 됨
Q.
높은 산에 올라가서 밥을 하면 설익는 이유가 궁금해요
산의 고도가 높기때문입니다.해발고도가 높아질수록 기압이 낮아지고, 화력도 낮아지게 됩니다.따라서 끓는 점이 낮아지게 되고 물이 끓더라도 땅에서 끓인 온도 100도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쌀이 익게 됩니다.그래서 높은 산에서는 음식들이 설익게 됩니다.
201
202
203
204
2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