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자연재해 전 동물들이 어떻게 먼저 아나요?
동물들이 지진을 예측하는 것으로 보기는 어렵습니다.동물적으로 감각이 조금 더 뛰어날 수는 있습니다.실제 동물의 초감각에 첨단 기술을 접목한 연구결과가 있었는데1975년 2월 중국에서 개구리 떼의 이동을 보고 지진의 전조현상이라고 파악한 후,주민 5만명을 대피시킨 사례가 있습니다.즉, 개구리의 감각이 매우 예민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행성중에서 지구와 같은 환경을 갖는 것을 발견했나요?
우주는 무한하기 때문에 지구와 비슷한 환경의 행성도 충분히 있습니다.그리고 현재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여러개 발견되었습니다.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A7%80%EA%B5%AC%EA%B0%99%EC%9D%80-%ED%96%89%EC%84%B1-10%EA%B0%9C-%EB%98%90-%EB%B0%9C%EA%B2%AC/관련 기사를 첨부 드렸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열원에 가까워 지면 질수록 온도는 올라갑니다.
대류권(11km 이하)이하에서는 고도가 높아지면 추워지는 특징이 있습니다.높이 올라가면 올라갈수록 지표면에서 나오는 지표 복사에너지가 현재의 고도에 도달하기 힘들기 때문에 열에너지가 부족하여 온도가 감소하게 됩니다.태양과의 거리는 지구 내부에서 볼 때 고도가 가깝냐 머냐로 큰 차이가 나지 않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사람이 살 수 있는 별이 있을까요?
우주는 무한하기 때문에 지구와 비슷한 환경의 행성도 충분히 있습니다.그리고 현재 지구와 비슷한 행성이 여러개 발견되었습니다.https://www.sciencetimes.co.kr/news/%EC%A7%80%EA%B5%AC%EA%B0%99%EC%9D%80-%ED%96%89%EC%84%B1-10%EA%B0%9C-%EB%98%90-%EB%B0%9C%EA%B2%AC/관련 기사를 첨부드립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회전하지 않는 행성이나 별도 있나요?
행성 생성 초창기부터 회전하는 힘을 받았기 때문에 자전하고 있는것으로 보고 있습니다.초창기 아무것도 없는 빈 공간에 우주에 있던 먼지가 점점 쌓이게 되면서 주변의 물체가 모이게 됩니다.이것이 점점 커지게 되면 중력도 느껴지게 되고 행성 크기로 성장하게 됩니다.이때 먼지나 기체들이 모이면서 일정부분이상 회전력을 가지고 있었을 것이고, 이것이 행성이 탄생한 후에도 자전으로 나타나게 됩니다.따라서 회전하지 않는 행성은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지구밖에 우주는 온도가 얼마나 되나요?
우주에는 공기가 없기 때문에, 우주에 얼마나 에너지가 퍼져있는가로 우주의 온도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온도는 열에너지로 인해 나타나는 측정량입니다.우주에 골고루 퍼져 있는 우주배경복사 에너지를 통해 온도로 환산하여 우주의 온도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현재 우주의 평균온도는 영하 270도라고 합니디ㅏ.
화학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반사된 빛으로도 비타민 합성이 가능한가요?
네 가능합니다.반사된 빛에도 태양 에너지의 대부분이 그대로 반사되기 때문에반사된 빛만 쬐더라도 충분히 비타민 D의 합성이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지구 말고 산소가 있는 행성들도 있나요?
이미 지구와 비슷한 행성들이 많이 발견되었습니다.따라서 산소가 있는 행성도 꽤 많습니다.대표적으로 산소가 있는 행성으로 "레아"가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에어팟 노이즈캔슬링으로 들으면 멀미 나는 이유가 뭔가요?
에어팟 노이즈 캔슬링에 의해서 멀미가 날 이유는 없어보입니다.착용하신 에어팟에 무슨 문제가 있다던가, 예민한 감각을 가지신 걸로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1월 25일 작성 됨
Q.
과학을 싫어 하는 아이 어떻게 접근 하는게 좋을까요?
과학을 싫어하는데 굳이 과학을 접근 시켜야 할 필요가 있을까요?아이가 더 좋아하고 잘하는 일을 더 잘하고 좋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236
237
238
239
2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