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우주에서 지구로 500원을 던지면 그 형태를 유지하나요?
우주에서 지구로 500원을 던지는 속도에 따라 다릅니다.그냥 일반 인간의 속도로 돌리면 공기저항도 크지 않기 때문에 그 형태를 유지합니다.
화학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자동차 기름(가솔린, 디젤)은 어떻게 다른건가요?
가솔린 엔진에 쓰이면 휘발유 입니다.가솔린 엔진은 공기와 연료를 압축해 점화 플러그를 이용해 인위적으로 폭발시켜 팽창합니다.디젤 엔진에 쓰이는 것은 경유입니다.공기와 연료를 압축하면 자연 발화하게 됩니다.같은 석유에서 분류한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갑자기 규모가 큰 지진이 왜 많이 발생하는건가요?
지진과 화산활동이 자주 일어나는 지역들을 환태평양 조산대라고 합니다.판구조론에서 판의 경계는 지각 변동이 활발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며,이러한 환태평양 조산대가 바로 판의 경계가 됩니다.즉, 판의 이동으로 인해 지각이 움직이게 되고 이것이 지진 활동에 영향을 미칩니다.지구의 지각이 움직이면서 생기는 자연재해입니다.
화학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일본에서 방사선 오염수를 바다에 버린다고 그러는데 우리나라에는 영향이 없을까요?
일본에서 방사선 오염수를 바다에 버린다면 우리나라에도 영향이 있게 됩니다.언제쯤 어느 바다로 영향이 있을지는 모르지만, 일본이 우리나라에 가까우므로 우리나라가 먹을 어류에 방사능 피폭이 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달의 앞면만 볼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달의 뒷면을 지구에서 볼 수 없는 이유는 달의 자전주기와 지구 주변을 도는 공전주기가 일치하기 때문입니다.과거에 달의 뒷면은 달 탐사선을 통해 뒷면을 직접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또한 달의 자전과 공전주기가 일치하는 것을 조석 고정이라고 하며,모성 근처에서 공전하는 위성에게 자주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화학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콜라속에 멘토스를 넣으면 폭발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멘토스가 콜라의 표면 장력을 약화시켜서 이산화탄소가 급격히 분출되게 만듭니다.콜라에 포함된 이산화탄소가 갑자기 뿜어져 나오게 되는 것인데,원래의 물 분자들의 표면 장력 때문에 이산화탄소가 빠져나오는 속도가 느립니다.그런데 멘토스가 물 분자의 결합을 방해해서 이산화탄소 거품이 펑 하고 터지는 것입니다.멘토스 표면의 아라비아 고무가 이러한 폭발의 원인이 되고 있습니다.
물리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비행기가 안떨어지고 계속 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비행기가 뜰 수 있는 원리는 양력 입니다.일정 속도 이상으로 공기 속을 운동하게 되면, 운동방향의 직각으로 힘이 작용하게 됩니다.이 힘이 양력이고, 이것이 비행기가 공중에 뜨게 하는 역할을 합니다.그리고 비행기에 있는 비행기의 날개는 이러한 양력을 받아서 안정적으로 비행하도록 하는 역할을 맡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불랙홀은 어떻게 생기게되는것인가요?
우주 공간의 어떤 물질이 작은 공간에 압축되면 (별의 수명이 다하거나 여러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강한 중력이 발생합니다.이 강한 중력이 주변의 물질을 당기게 되고, 심지어 빛조차 빨아 들입니다.블랙홀은 중력이 매우 강해 주변 물질과 빛을 모두 흡수합니다.그래서 직접 촬영하는 것이 불가능합니다.그렇지만 블랙홀이 물질, 빛을 빨아들일 때 막대한 에너지가 방출됩니다.즉 이 에너지의 흐름을 촬영하면 그것이 블랙홀의 윤곽이라고 판단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그리고 이 흐름이 실제로 관측되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해왕성이 행성의 지위에서 물러날 수도 있나요?
세계천문학회에서 명왕성을 퇴출한 이유는 바로 명왕성이 작고 왜소하기 때문입니다.즉, 명왕성이 위성 성립이 가능한 중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태양계에서 퇴출하였습니다.실제 해왕성은 그냥 행성 중 하나이므로 행성의 지위에 머무냐 마냐는 그냥 분류학적인것입니다.
화학
2023년 2월 8일 작성 됨
Q.
기후위기는 무엇으로 막아야 할까요?
기후 위기를 막기 위해 일상생활에서 할 수 있는 것은 플라스틱을 줄이는 것입니다.플라스틱 제품은 만들 때도, 재활용할 때도, 소각할 때도 많은 이산화탄소가 들게 됩니다.따라서 현재 여러 나라들이 빨대를 종이 빨대로 바꾸거나 비닐 봉지 사용을 하지 않는 것도 좋습니다.
31
32
33
34
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