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낙뢰에너지로 발전이나 에너지를 활용하는 분야도 있을까요?
낙뢰의 경우 상당히 높은 에너지를 가지고 있더라도 에너지로 활용하기에는 매우 비효율적입니다.낙뢰가 일정한 장소에만 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그 에너지를 저장할 인프라를 만들어놓더라도 쓸 일이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태풍은 왜 어떻게 생겨나는 것일까요?
태풍은 기후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특히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따라서 태풍이 해수면 온도가 낮은 지역으로 오면 주변의 수증기양도 줄어들어 점점 소멸되게 됩니다.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방수 스프레이의 과학적 원리가 무엇인가요?
방수 스프레이가 물과 반응하지 않는 성분이기 때문에 방수가 가능합니다.발수제에는 불소수지가 들어 있는데, 불소수지는 분자구조가 매우 안정적입니다.따라서 물을 뿌려도 반응하지 않고 그냥 흘러내리게 됩니다.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염화칼슘은 눈을 어떻게 녹이나요?
제설제 = 염화칼슘을 이용해 어는점 내림 효과를 내기 위해서 입니다.물은 0도 이하에서 얼지만, 염화칼슘으로 인해 그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얼게 됩니다.따라서 염화칼슘을 충분히 섞으면 영하 50도 이하에도 얼지 않고 얼음을 녹일 수도 있습니다.
2023년 1월 26일 작성 됨
Q.
암흑물질은 실제로 존재하나요??
우주에 있는 은하의 질량을 직접 잴 수는 없으나, 여러 방법으로 질량을 잴 수 있습니다.별들의 밝기(광도 질량) 등이나 움직임을 보고 질량(역학적 질량)을 유추할 수 있는데,광도 질량 = 역학적 질량이어야 정확히 쟀다고 볼 수 있습니다.그런데 실제로 이 값은 너무 다르고, 역학적 질량이 4배 이상 무겁게 나타납니다.즉, 빛으로만은 측정할 수 없는 어둠의 질량이 있다는 뜻이 되고,이것이 바로 [암흑 물질]의 개념입니다.하지만 아직 암흑물질이 밝혀진 것은 아닙니다.
451
452
453
454
4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