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명왕성이 행성계에서 빠진 이유가 뭔가요?
세계천문학회에서 명왕성을 퇴출한 이유는 바로 명왕성이 작고 왜소하기 때문입니다.즉, 명왕성이 위성 성립이 가능한 중력을 갖추지 못했기 때문에 태양계에서 퇴출하였습니다.명왕성 퇴출 날짜는 2006년 8월 24일입니다.
화학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유리잔에 뜨거운물 부었는데 왜 깨지나요?
뜨거운 액체에는 열 에너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이 열에너지가 유리로 전달되면서 유리의 분자들도 에너지를 얻게 됩니다.그리고 이 분자들이 에너지가 커져서 부피가 커지게 되고 갑작스러운 온도 차에 의해 결국 유리가 깨지게 됩니다.
화학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오존층이 하는 역활은 어떤 것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오존층은 태양의 자외선을 차단해줍니다.태양의 자외선이 오존층 없이 곧바로 우리에게 곧바로 온다면 지구의 생명체는 태양의 강력한 자외선에 의해 피부암 등이 발생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프왱카레 가설은 해결되었나요?
네 푸앵카레 추측은 난제 중의 난제로 해결하기가 거의 불가능합니다.그래서 아직도 푸엥카레 추측은 지금도 난제로 여전히 남아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지구 온난화가 심하면 어떤일이 일어나나요?
북극이나 남극이나 얼음이 녹게 되면 지구의 해수면이 높아집니다.그러면 해변에 가까운 육지는 침수 피해를 입게 됩니다.그리고 환경이 급변하면서 전염병이 창궐할수도 있고, 생태계가 파괴되게 됩니다.왜냐하면 빙하 내에 인류 탄생 전의 바이러스가 보존되어 있을 수도 있는데,아직까지 이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이 인간에게 아직 없기 때문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하늘을 보면 별이 반짝이는데 인공위성 있나요?
네 맞습니다.하늘을 보면 별이 반짝이지만 인공위성인 경우도 있습니다.멀리있는 별보다는 지구에 가까이 있는 인공위성이 보일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우주는 정말 존재하는건가요? 우리가 흔히 말하는 성운이요
네, 우주는 정말 존재합니다.가보지 않더라도 망원경이라는 기기를 이용하면 아주아주 멀리 있는 물체까지도 관측이 가능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달을 보면 토끼모양이 있어 달토끼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달을 보면 토끼 모양으로 보인다는 것은 사람마다 다릅니다.실제로 떡빵아가 구체적으로 보이지도 않으며, 사람마다 다르다고 봅니디ㅏ.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모기에 물리면 가렵게 하는 이유?
모기에 물리면 몸의 내부에서 모기의 타액을 이물질로 인식하기 때문에 가렵습니다.이물질로 인식하게 되면 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면역반응이 일어나게 되는데,이때 가려움을 발생하는 히스타민이 함께 분비됩니다.
토목공학
2023년 2월 6일 작성 됨
Q.
지진 규모가 7 이상이면 어느정도 인가요? 그리고 우리나라빌딩은 내진설계 강도가 어느정도인지요?
지진의 강도가 2.5라면 예민한 사람이 진동을 느낄 수 있고,3.5 정도에 대부분의 사람이 감지할 수 있습니다.5이하의 강도에서는 창문이 파손되기 시작하며7이하라면 오래된 구조물이 파손되기 시작합니다.그리고 9이하라면 산사태의 위험이 있고 그 이상은 건물이 파괴되기 시작합니다.
61
62
63
64
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