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생물·생명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겨울 철새들이 견디는 온도는 어디까지 인가요?
여러 연구 결과에 의하면 겨울 철새들은 영하 10도 전후를 가장 쾌적한 환경으로 보고 있다고 합니다.관련 내용에 대한 기사를 첨부드립니다.https://newsteacher.chosun.com/site/data/html_dir/2016/01/05/2016010500327.html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빠르게 달리는 차의 휠을 보면 왜 반대로 회전하는 것처럼 보일까요?
말씀해주신 바퀴가 반대로 보이는 현상은 스트로보 효과입니다.이것은 착시 현상 중 하나입니다.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원인은 사람의 눈은 변화하는 순간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이 많이 떨어집니다.이런상황에서 바퀴가 일정 속도가 되면 바퀴가 그 상태가 그대로 있다고 착각하게 되고, 이 회전을 유지하면 멈추거나 반대로 돌아가는 상태로 인식하게 됩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기독교 혹은 천주교 과학자들은 진화론을 믿나요? 창조론을 믿나요?
종교는 개인적인 자유의 선택입니다.기독교 혹은 천주교 과학자들이라도 진화론이나 창조론에 대해서 의견이 분분할 수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심해어 중에 빛을 내는 물고기
심해어 자체가 빛을 내는 세포를 가지는 경우도 있지만,빛을 낼 수 있는 박테리아에 의해 빛을 내는 경우도 있습니다.심해는 매우 어둡기 때문에 심해어가 빛을 내는 방법으로 진화하여 빛을 이용하여 먹이를 잡거나 포식자를 위협하도록 진화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기계공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축구공의 조각이 한정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축구공은 정이십면체를 깎아서 만들었습니다.아래와 같이 정 20면체의 5면이 모이는 부분을아래처럼 깎은것입니다.따라서 조각수가 제한되어 있게 됩니다.아래 사이트에서 위의 그림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https://www.geogebra.org/m/bXhjS2KJ
생물·생명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골프공을 보면 2피스 3피스 4피스 등으로 구분되는데 조각이 많으면 무조건 좋은 것인가요?
골프공의 작은 홈을 딤플이라고 합니다.골프공 표면이 거칠수록 더 멀리 날아가기 때문에 그렇게 만들고 있습니다.골프공의 파인 홈이 공기 저항을 감소시키고, 그 틈에서 조그마한 소용돌이가 생기게 됩니다.이러한 소용돌이에 의해 공기의 압력이 내려가 공을 뒤쪽으로 잡아당기는 저항력이 생기게 됩니다.그 결과 공 전체의 기압 차이가 감소하게 돼 항력이 줄어들어 더 멀리 날아가게 됩니다.이때 피스는 딤플을 덮고 있는 홀을 만드는 겹수를 의미합니다.2피스의 경우는 딱딱하고 내구성이 좋지만 스핀이 적고, 4피스의 경우는 부드럽기 때문에 컨트롤하기가 좋습니다.
화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5G데이터 LTE쓰던시절이랑 크게 체감이 안나는데 왜그런건가요?...
통신을 하기 위해서는 주파수가 필요합니다.주파수는 국가에서 관리하여 통신사가 특정 주파수를 낙찰받아야 사용하도록 법으로 정해져 있습니다.5G는 LTE보다 높은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빠르게 전송이 가능하지만, 대신 그만큼 거리가 짧아져 기지국을 많이 설치해야 합니다.현재 주변에 5G 기지국이 적기 때문에 체감이 나지 않는 것으로 보입니다.
토목공학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겨울에는 낮이 짧아지는 이유가 궁금해요
지구는 태양을 공전하는데, 원 운동을 하지 않고 타원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따라서 겨울에는 태양과 지구 사이가 멀게 됩니다.이때 지구가 23도 정도 기울어져 있습니다.따라서 태양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의해 낮과 밤의 길이가 차이가 나게 되고 아래 그림처럼 겨울에 길이가 짧아집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지진 전조현상인 지진운은 어떻게 발생하는건가요?
지진운은 이론적으로 설명가능하나, 지진의 전조현상으로 받아들여지지는 않습니다.지진운은 자체는 전하의 정렬 현상으로 설명이 가능하지만,지진이 발생할 때마다 지진운이 관측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전조 현상으로 학계에서 받아들여지고 있지는 않습니다.
물리
2022년 11월 29일 작성 됨
Q.
핫팍이 필요한 날씨가 됐네요. 핫팩의 과학적 원리?
핫팩 안에 철가루로 따뜻해질 수 있습니다.철은 공기에 있는 산소와 접촉하게 되면 산화하기 시작하는데, 이 반응이 발열 반응입니다.이때 발생하는 열이 1g당 약 1.7kcal 의 열을 발생시킨다고 합니다.
876
877
878
879
88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