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비행기가 지나가고 나서 소리가 나는 이유 ?
비행기의 속도가 소리의 속도보다 빠르다면 비행기가 지나가고 나서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소리의 속도는 1마하 = 340m/s인데 비행기의 속도는 1 ~ 5마하 정도이므로,비행기가 소리보다 더 빠를 때 비행기가 지난 후 소리가 나게 됩니다.
화학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젤리는 고체인가요 액체인가요 ??
젤리는 고체와 액체 그 사이의 물질입니다.이러한 물질을 콜로이드에 속하는 겔과 졸이라고 부릅니다.콜로이드 입자들은 매우 작아서 액체와 고체가 서로 섞여있는 상태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남극과 북극. 같은 극지방이라도 온도차이가 나는 이유가 뭔가요?
지형적인 차이로 인해 남극이 더 춥습니다.북극의 평균 기온은 영하 35~40도인데 반해 남극의 평균 기온은 영하 60도 입니다.북극은 대부분 바다로 이루어져 있지만, 남극은 땅 위에 빙하가 덮은 상태 입니다.따라서 남극이 열을 쉽게 방출하고 태양열을 90% 정도 반사시키게 됩니다.그리고 남극의 겨울이 더 강한 바람이 자주 발생하고 흘러들어오는 열을 막습니다.이런 이유로 남극이 더 춥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모기를 멸종 시키면 안되나요?
모기 멸종에 대해서도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습니다만, 문제가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만약에 북극에 있는 모기가 사라진다면, 북극에 있는 철새의 먹이가 사라지게 됩니다.따라서 툰드라 지역에 둥지를 트는 철새의 개체수가 50% 감소할 것으로 보입니다.그럼 철새와 관련된 생태계는 연쇄적으로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파도가 치는 이유가 뭔지 알수 있을가요?
파도는 대부분 바람 때문에 생깁니다.바다는 넓고 주의에 산이나 나무 같은 장애물이 거의 없습니다.즉 바람이 잘 생기는 환경입니다.하지만 강이나 호수는 주변에 산이나 나무 같은 장애물이 있습니다.바다는 주변에 장애물이 없어 온전히 바람의 힘을 그대로 받아 파도가 치기 유리합니다.그리고 바람이 불지 않아도 약한 바람이 파도 전체에 작용하기 때문에 충분히 파도를 일으킬만한 힘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사막의 오아시스는 어떻게 존재 할수있나요
사막이라고 비가 아예 내리지 않는 것은 아닙니다.사막에 비가 내리게 되면 침식장용에 의해 빗물 지하수가 암반층까지 모래가 깎일 때까지 고이게 되고여기에 고인 물로 인해 오아시스가 형성이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지구에 빙하기는 왜 찾아오는건가요?
현재 연구에 따르면 지구상에는 약 5번의 빙하기가 있었습니다.이러한 빙하기는 사이클이 발생하고 있다고 보고 있으며 그 이유는 정확히 밝혀진 바는 없습니다.주장 중 하나는 지구 공전 궤도의 변화에 따라 지구에 시원한 여름이 이어질 때, 빙하기가 온다고 주장하는 경우가 있습니다.즉, 공전궤도 변화, 지구 자전축 기울기, 세차 운동의 사이클 등에 의해 빙하기가 온다고 보고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지금 우리가 사는 우주말고 ..
지금 우리가 사는 우주만 해도 모두 관측이 불가능합니다.다른 행성이 존재하는 다른 우주가 궁금하더라도 아직 관측할 방법이 없습니다.우리가 사는 지구는 커지지 않고 우주가 팽창하고 있습니다.인간이 살아 있는 동안 멈출지는 알 수 없습니다.팽창 속도는 점점 빨라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토목공학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하품을 하면 눈물이 나는 이유?
하품은 뇌에 산소를 보충하기 위한 현상입니다.이때 하품을 하게 되면 얼굴 근육이 움직이게 되고,눈물을 모아둔 신체의 눈물 분비기관이 눌러지고 자극되기 때문에 눈물이 나오게 됩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바다 물때는 어디를 기준으로하여 고/저조 높이가 측정 되나요?
각 나라마다 해발 기준이 다릅니다.우리나라의 경우는 인천에 있는 인하대 캠퍼스 입니다.해수면은 밀물과 썰물때문에 높이가 일정하지 않습니다.따라서 만조와 간조의 중간을 해수면 0m, 즉 해발고도 0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이 기준점을 육지에 설치해 놓는데 이것을 수준원점이라고 하며 현재 인천의 인하대학교 캠퍼스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881
882
883
884
8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