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장현 전문가입니다.
김장현 전문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몇몇 나라들은 왜 110볼트를 사용할까요?
110V가 먼저 나와서 그렇게 하고 있을 뿐입니다.이미 인프라가 110v인데 220V로 바꾸려니 돈이 많이 드는 상황입니다.한국의 경우는 개발도상국 시절에 110V 인프라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220V로 바꾸더라도 비용의 차이가 들지 않았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과학의 발전속도가 논문이랑 관련 있나요?
과학의 발전 속도라는 것을 측정하는 지표로 논문을 활용할 수는 있겠으나 절대적인 것은 아닙니다.논문은 양 보다 질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다만 현재 과학이나 수학의 영역에서 인간이 해결할 수 있는 분야는 대부분 해결된 상태입니다.
토목공학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통초콜렛을 까는 구조를 전문적으로 표현하면 무슨 구조라고 하나요?
통초콜렛을 깐다는 것이 어떤 말씀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원통형 주변을 회전한다면 나선형 구조 = screwed structure로 보입니다.
화학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하루에 손발톱은 얼마나 자라나나요?
손톱은 보통 한 달에 1.8mm에서 5mm정도 자랍니다.발톱보다 2배 정도 빠른 차이입니다.즉, 발톱은 약 1mm ~ 2.5mm 정도 자랍니다.
물리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선풍기 회전이 왜 반대로 돌아가나요?
선풍기가 회전하는 것을 막으면 반대로 돌아간다는 것은 그렇게 설계를 했기 때문입니다.모든 기종이 그런 것은 아니며, 해당 회사에서 회전이 막힌 경우 반대로 돌리도록 만든 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태양광발전이 되는 원리가 무엇인가요?
태양 에너지 발전은 크게 태양열과 태양광 두개로 나뉩니다.태양열 발전은 수증기를 끓여서 열교환기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이고,태양광 발전은 빛 에너지가 전자와 부딪히면서 전자를 실제로 움직여 전기를 생산하는 방식입니다.사계절이 뚜렷한 우리나라의 경우 태양광이 조금 더 선호되고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몸 에서 나는 정전기 줄이는 법?
대부분의 정전기는 물체가 서로 마찰할 때 발생합니다.두 물체가 서로 접촉한 후에 분리하게 되면 분리된 경계면에서 전하가 이동하게 됩니다.이때 각각의 물체는 같은 양의 과잉 양전하와 음전하가 발생하여 전기가 흐르게 됩니다.피부에 수분이 많으면 전기가 중성상태가 되어 전기 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않습니다.반대로 건조한 사람은 전기가 잘 흐르게 되는 것입니다.따라서 보습제를 많이 바르고 가습기를 이용하는 등의 적절한 습도를 유지해야 정전기를 줄일 수 있습니다.
생물·생명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사람이 자면서 꿈을 꾸는 원리는 무엇인가요?
과학적인 측면에서 보는 꿈을 꾸는 이유는 렘 수면 상태이기 때문입니다.안구의 움직임이 빠르게 일어나는 상태인 렘 수면은, 얕은 잠을 자고 있는 단계 입니다.이 단계에서 수면 중 뇌가 가장 활발하게 활동하게 되고, 이것이 꿈입니다.즉 반대로 말하면, 꿈은 깊이 자고 있는 단계가 아닙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개기월식이 일어나는 상황이 궁금해요
월식은 지구의 공전, 달의 공전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입니다.월식은 달이 지구의 그림자에 들어오는 것이고, 태양 - 지구 - 달로 일직선상이 되면 나타납니다.지구의 그림자 안으로 달이 들어가면 굴절에 의해 빨간색 빛을 반사시키게 되고 달이 붉게 보입니다.
기계공학
2022년 11월 28일 작성 됨
Q.
쇠와솜중 무엇이 빨리 떨어질까요?
물리의 기본 공식 중 하나인 뉴턴의 운동 법칙은 F = ma => 힘 = 질량 x 가속도 입니다.중력에 대해서 F = ma = mg가 되고 ma = mg 에서 a = g가 됩니다.즉, 질량이 무겁더라도 그만큼 무거운 질량 때문에 더 많은 힘이 들게 됩니다.실제로는 솜이 가벼워서 공기저항 때문에 늦게 떨어지지만,공기저항이 없는 진공이라면 어떤 질량이든 똑같이 떨어지게 됩니다.
886
887
888
889
89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