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김재훈 전문가
SFTL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개월 전 작성 됨
Q.
소형모듈 원자로가 정확히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소형 모듈 원자로는 출력이 300MW이하인 소규모 원자로로 공장에서 모듈 형태로 제작해 현장에 조립 설치할 수 있어 건설 기간과 비용이 줄어 듭니다 기존 대형 원전보다 안전성을 높인 설계가 특징이며 피동 냉각 시스템 등올 사고 시 자종으로 열을 방출할 수 있습니다 전력 생산 뿐 아니라 지역 난방 수소 생산 해수 담수화 등 다양한 용도로 활용이 기대됩니다
전기·전자
2개월 전 작성 됨
Q.
미국에서 개발중인 마이크로 원자로는 어떤 원리로 전기를 만들어내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미국에서 개발 중인 마이크로 원자로는 핵분열 반응을 통해 열을 발생시키고 이 열로 증기를 만들어 터빈을 돌려 존기를 생산하는 방식으로 기존 원전과 원리는 같습니다 다만 크기가 작고 폐쇄형 시스템으로 설계돼 사고 위험이 낮고 일부는 냉각재로 액체금속이나 가스를 사용해 안전성을 높였습니다
전기·전자
2개월 전 작성 됨
Q.
핵융합 에너지의 유해성이 나올 가능성이 있나요? 또한 상온 초전도체란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핵융합은 핵분열과 달리 방사성 폐기물이 거의 없고 중수소 삼중수소 같은 연료도 비교적 안전해 유해성이 적다고 평가되지만 고에너지 중성자 방출로 인한 장비 손상이나 방사화 가능성 등 잠재적 위험은 여전히 연구 중입니다 상온 초전도체는 실현되면 전기저항이 0이므로 이론적으로 전류가 손실 없이 무한히 흐를 수 있지만 현실적 조건에서는 외부 자극이나 열 불안전성 등으로 인해 완벽한 무한 동작은 제한됩니다.
전기·전자
2개월 전 작성 됨
Q.
초전도체에 대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초전도체는 전기 저항 없이 전류를 흐르게 하며 강한 자기장을 안정적으로 생성할 수 있어 핵융합로의 자기장 가두기에 매우 유리한 핵심 기술입니다 하지만 핵융합에는 고온 플라즈마 유지 재료 내구성 에너지 수지 등 다른 기술적 난제들도 많아 초전도체만으로는 해경되지 않습니다
전기·전자
2개월 전 작성 됨
Q.
야광의 원리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야광은 인광이라는 현상으로 특수한 물질이 빛을 흡수해 전자에 에너지를 저장한 뒤 시간이 지나며 천천히 방출하면서 빛을 냅니다 이때 전자는 높은 에너지 상태로 올라갔다가 천천히 원래 상태로 돌아오며 빛을 내는 것입니다 전자기기가 없어도 물질 내부의 전자 에너지 변화로 인해 어둠 속에서 자체적으로 빛날 수 있습니다
221
222
223
224
225
카카오톡
전화 상담